본 연구는 정보통신윤리 의식 강화를 위한 마음공부기반 역할놀이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하여 정보통신윤리 의식을 강화시키고 실제 행동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실천의지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126955
2012
Korean
370.714
KCI등재
학술저널
181-188(8쪽)
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정보통신윤리 의식 강화를 위한 마음공부기반 역할놀이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하여 정보통신윤리 의식을 강화시키고 실제 행동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실천의지를 ...
본 연구는 정보통신윤리 의식 강화를 위한 마음공부기반 역할놀이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하여 정보통신윤리 의식을 강화시키고 실제 행동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실천의지를 기르고자 하였다. 즉 마음공부 역할놀이 수업모형은 마음활동의 과정적 요소와 마음교육의 방법적 요소, 역할놀이 활동 단계를 고려하여 설계하였으며 마음공부를 역할놀이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경험하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를 위해서 첫째, 문헌 및 사레연구를 통하여 마음공부기반 역할놀이 수업모형 초안을 설계하고, 둘째,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봄으로서 모형 초안에 대한 강점과 개선점을 중심으로 모형 초안을수정·보완한 후 완성된 형태의 모형을 설계하였다. 도출된 모형의 초안을 J시 J대학의 교직과목인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을 수강하는 교육학과 2학년 학생 총 36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여 개발하였다. 또한 수업모형의 효과성 검증은 현장에 있는 교사 10명과 5학년 24명, 6학년 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적용 결과 마음공부기반 역할놀이 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에서 정보통신윤리교육이 재미있는가와 관련한 문항에서 자료의 투입 후 긍정적으로 응답한 비율이 90%이상이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develop a role-playing instruction model based on mind practice. The proposed model can strengthe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and enhance the will to act which leads to behavioral changes. It is also designed consider...
In this study, we develop a role-playing instruction model based on mind practice. The proposed model can strengthe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and enhance the will to act which leads to behavioral changes. It is also designed considering methodological and procedural elements of mind education and the steps of role-playing. It has much importance on having students experience mind practice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role-playing. Firstly, an instruction model for a role-playing is designed based on other researches and case studies. Secondly, it was applied to students to find out the advantages and improvements and modified the earlier version and then, it was applied to 36 sophomores in J university in J city for five weeks. They are majoring in Education and are taking Instructional method and Instructional technology.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model, it was also applied 5th year 24 students, 6th year 26 students and 10 teachers in an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show that more than 90% students respond positively about how interest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after participating in a role-playing instruction model based on mind practic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맹수, "한국근대 민중종교의 개벽사상과원불교의 마음공부" 동학학회 11 (11): 225-250, 2007
2 강정미, "창의적 대화 작성 역할놀이 수업이 의사소통 능력과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47-43, 2008
3 한내창, "원불교"마음공부"정의(定義)의 한 시도" 29 : 151-182, 2005
4 백준흠, "원불교 마음공부에 관한 연구" 28 : 109-138, 2004
5 김성장, "원불교 마음 공부 개념에 대한 연구" 원불교사상연구원 29 : 117-149, 2005
6 조우종, "원불교 "마음공부"의 교육학적 해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7 조수정, "역할놀이 모형 구안을 적용한 인권교육" 42 : 7-37, 2007
8 남세진, "역할놀이"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9 추병완, "사이버윤리교육의 새로운 접근 모색" 12 : 5-239, 2003
10 안관수, "마음공부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원불교사상연구원 45 (45): 483-516, 2010
1 박맹수, "한국근대 민중종교의 개벽사상과원불교의 마음공부" 동학학회 11 (11): 225-250, 2007
2 강정미, "창의적 대화 작성 역할놀이 수업이 의사소통 능력과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47-43, 2008
3 한내창, "원불교"마음공부"정의(定義)의 한 시도" 29 : 151-182, 2005
4 백준흠, "원불교 마음공부에 관한 연구" 28 : 109-138, 2004
5 김성장, "원불교 마음 공부 개념에 대한 연구" 원불교사상연구원 29 : 117-149, 2005
6 조우종, "원불교 "마음공부"의 교육학적 해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7 조수정, "역할놀이 모형 구안을 적용한 인권교육" 42 : 7-37, 2007
8 남세진, "역할놀이"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9 추병완, "사이버윤리교육의 새로운 접근 모색" 12 : 5-239, 2003
10 안관수, "마음공부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원불교사상연구원 45 (45): 483-516, 2010
11 이경열, "마음공부 상담"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1101-1123, 2007
12 유선영, "대안학교 마음공부 효과 연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3 황윤한, "교육의 질과 교육연구의 새로운 접근" 90 : 123-142, 1998
14 박도순, "교육연구방법론" 문음사 2001
15 김병성, "교육연구방법" 학지사 1996
16 "http://www.kisa.kr"
17 Richard James Severson, "The principles of information ethics" M.. E. Sharpe, Inc 1997
18 F.R.Shaftel, "Role Playing in the Curriculum" Prentice-Hall 1982
19 Shaftel, F. R, "Role -playing for social values: Decision-making in the social studies" Prentice-Hall, Inc 1967
20 Richard A. Spinello, "CyberEthics: Morality and Law in Cyberspace" Jones and Bartlett 2000
학습을 위한 인터넷 사용, 게임사용 및 지각된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구조 관계 연구
사이버대학 강의에서 학생의 사회적 실재감과 학업성취 간에 미치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의 조절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 | 1.5 | 1.4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1 | 1.25 | 1.991 | 0.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