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SCOPUS

      3차원 전산화단층촬영으로 측정한 경상돌기의 정상크기 = Measurement of Normal Size of Styloid Process with 3D Reconstruction 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340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o measure the normal size of the styloid process using 3D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CT.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3D reconstruction images obtained after coronal and axial CT scanning of the temporal bone or...

      Purpose: To measure the normal size of the styloid process using 3D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CT.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3D reconstruction images obtained after coronal and axial CT scanning of the temporal bone or neck of 115 patients. The length and shape of both sides of the styloid process, the location of its tip, and calcification of the stylohyoid ligament were retrospectively analysed.
      Results: The mean length of the styloid process was 26.6 (±7.9)mm on the right side, and 26.4(±8.3)mm on the left, a statistically insignificant difference (p=0.694). Its mean length was 26.2 (±8.5)mm in men and 26.7 (±7.2)mm in women, a statically in significant difference (p=0.733). As for variation with age, mean length tended to increase until the third decade, but not beyond. Segmental type (104/230, 45.2%) and fragmental type (73/230, 31.7%) were more commonly seen in shape of styloid process, and tapering tip of styloid process (156/230, 67.9%) is more commonly seen than clubbing tip of it (74/230, 32.1%). The process was angulated in six cases (2.6%); its tip was more frequently located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carotid artery (211 cases, 91.7%) than more medially (19 cases, 8.3%). In the former location, the length of the process was 26.2(± 7.2)mm, and in the latter, 37.0(±6.0)mm.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0). Calcification had occurred in 33 cases (14.3%).
      Conclusion: The length of a normal styloid process was 18-32 mm.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ts two sides, or between the sexes. Length tended to increase until the third decade, but not beyond. Predominantly the tip was located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carotid artery, though the process was longer when its tip was located medial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3차원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해 한국인 경상돌기의 정상크기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경부나 측두골 CT를 시행한 11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3차원 재구성 영상과 관상단...

      목적: 3차원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해 한국인 경상돌기의 정상크기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경부나 측두골 CT를 시행한 11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3차원 재구성 영상과 관상단면이나 축상단면을 이용하여 좌우 각각의 경상돌기의 길이, 모양, 첨단의 위치, 경상설골인대의 석회화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경상돌기의 평균길이는 우측이 26.6(±7.9)mm, 좌측이 26.4(±8.3)mm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694). 성별 평균길이도 남자가 26.2(±8.5)mm, 여자가 26.7(±7.2)mm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733). 연령별 평균길이는 20대까지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그 이후로는 연령별 차이는 없었다. 경상돌기의 모양은 분절형(104/230, 45.2%)과 단절형(73/230, 31.7%)이 많았고 곤봉형 첨단(74/230, 32.1%)보다 체감형 첨단(156/230, 67.9%)이 많았다. 굴절형을 보인 경우는 6예(2.6%)이었다. 경상돌기의 첨단의 위치는 내경동맥과 외경동맥사이에 있는 경우(211/230, 91.7%)가 좀 더 내측에 위치한 경우(19/230, 8.3%)에 비해 월등히 많았다. 첨단의 위치에 따른 경상돌기의 길이는 내경동맥과 외경동맥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26.2(±7.2)mm, 좀더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 37.0(±6.0)mm를 보여 통계학적인 의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0). 경상설골인대의 석회화는 33예(14.3%)에서 보였다.
      결론: 경상돌기의 길이는 18-32 mm이며 좌우 길이나 성별 차이는 없었다. 연령별로는 20대까지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그 이후 연령별 차이는 없었다. 경상돌기의 첨단의 위치는 내경동맥과 외경동맥사이에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내경동맥과 외경동맥의 내측에 위치한 경우가 그 사이에 있는 경우보다 경상돌기의 길이가 길었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11-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Radiological Society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JKSR) KCI등재
      2016-11-15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Radiological Society ->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9-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방사선의학회지 -> 대한영상의학회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 0.1 0.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6 0.05 0.258 0.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