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불안의 발생 및 유지 요인으로 알려진 외상경험과 사후반추사고의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자비자비가 긍정적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지 매개효과를 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687564
서울: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5
학위논문(석사) --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 심리치료학과 여성 및 성 심리치료학전공 , 2015. 2
2015
한국어
616.8914 판사항(20)
서울
The Influence of Traumatic Experience and Post-Event Rumination on Social Anxiet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vi, 82 장; 26 cm.
서울여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박 경
부록: 1.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관한 설문지 외 수록
참고문헌: p. 53-6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불안의 발생 및 유지 요인으로 알려진 외상경험과 사후반추사고의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자비자비가 긍정적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지 매개효과를 검...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불안의 발생 및 유지 요인으로 알려진 외상경험과 사후반추사고의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자비자비가 긍정적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지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421명으로(남자 103명, 여자 318명, 평균 연령 만 19.99세), 연구 도구는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SIAS), 발표불안 척도(SAS), 외상경험 척도, 사후반추 사고 척도(PRQ), 자기자비 척도(SCS)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각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사회불안(대인불안 및 발표불안)은 외상경험, 사후반추사고와 정적상관이 있었으며, 자기자비와는 부적상관이 있었다.
외상경험과 사후반추사고, 자기자비가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이들 변인들의 설명력은 52.8%이었다. 사후반추사고와 외상경험, 자기자비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는 사후반추사고를 많이 하고 외상 경험이 많고, 자기자비 수준은 낮을수록 사회불안이 증가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외상경험과 사후반추사고, 자기자비가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이들 변인들의 설명력은 24.2%이었다. 사후반추사고, 자기자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후반추사고 수준이 높고 자기자비 수준이 낮을수록 사회불안이 증가함을 의미한다.
외상경험이 사회불안(대인불안 및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외상경험이 사회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자기자비를 통하여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후반추사고가 사회불안(대인불안 및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후반추사고는 사회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기자비를 통하여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사회불안 관련 연구들이 대부분 부정적 인지에 초점을 맞추었던 것에 비해 사회불안을 줄이기 위한 긍정적 변인으로서 자기자비를 탐색하였으며, 본 연구를 토대로 사회불안을 경험하는 이들을 위한 치료적 개입에 있어 자기자비의 촉진과 외상경험, 사후반추사고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비롯하여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