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그림지도 학습을 위한 멀티미디어 코스웨어의 개발 : 초등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1815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컴퓨터가 학교 현장에 도입되면서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교육인적자원부는 최근에 교육의 정보화 방안으로 교육 현장에서 적합한 교육매체를 활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극...

      컴퓨터가 학교 현장에 도입되면서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교육인적자원부는 최근에 교육의 정보화 방안으로 교육 현장에서 적합한 교육매체를 활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 하고자 모든 국민공통기본교과에 ICT 활용교육을 10%이상 반영되도록 하는 학습 활동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림지도에 관한 기존의 수업방식에서 탈피하여 그래픽, 사운드, 애니메이션, 동영상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해서 보다 입체적이고 구체적인 상황하에서 학생들이 그림지도 학습을 흥미있게 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코스웨어를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다음과 같다.
      먼저 멀티미디어 코스웨어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탐색하고, 실제 교육 현장에서 하고 있는 그림지도 학습에 대하여 부산시 소재 교사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조사하였으며 아울러 학습자와 코스웨어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의 일방적인 전달이 아닌 학습자 스스로 그림지도에 대한 개념과 지식을 구성해 나갈 수 있도록 하였다. 상호작용의 구현을 위해 멀티미디어 저작도구인 플래시를 사용하였고 직관적 판단을 할 수 있는 화면을 구성하였으며, 학습자 반응에 대하여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설계하였다.
      멀티미디어 코스웨어는 수업매체용 소프트웨어로 분류 기준에 따라 다양한 유형이 있으나 여기서는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사회과 그림지도 영역과 관련된 다양한 학습경험을 제공하고, 이것을 통해 학습자의 개별화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코스웨어를 작성하여 개별 학습용 형태로 개발하였다.
      초기의 코스웨어가 객관주의적 이론을 많이 반영했지만 최근의 코스웨어는 구성주의적 이론을 많이 반영하고 있다. 구성주의의 설계 원리를 바탕으로 실제 학습자가 그림지도를 활용할 수 있는 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그래픽, 이미지, 애니메이션, 동영상, 사운드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통해 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현된 멀티미디어 코스웨어를 사용함으로써 학습자는 보다 쉽게 그림지도의 개념을 이해할 수 있고, 원하는 시간에 어디서나 학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학습자가 스스로 지식을 구성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학습 의욕을 높일 수 있는 개별화 학습 자료로써 단계적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아동의 수준에 맞게 단계를 높여 학습 활동을 하는 수준별 학습도 가능케 하였다.
      ※ 본 논문은 2002년 2월 부산교육대학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have been changes in the teaching and studying methods since computers were introduced in schools.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has demanded in recent years that more than 10% of ICT-based instruction be used in all nati...

      There have been changes in the teaching and studying methods since computers were introduced in schools.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has demanded in recent years that more than 10% of ICT-based instruction be used in all national basic and common curricular in order to maximize the educational effect by using instructional media applicable to school classrooms as part of realizing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multimedia courseware which can make studying picture map interesting in a more concrete and three-dimensional situation by using multimedia materials such as graphics, animation, and moving images, which breaks from the past teaching methods for picture map.
      In order to attain such objective, the following research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First,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using multimedia courses was searched, and 50 teachers who are currently teaching in Pusan were surveyed on teaching picture map which is taught in schools. Activ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courseware enables learners to construct the concept and knowledge on picture map not through unilateral way of conveying knowledge but through students participation. In order for interaction to be realized, Flash, which is multimedia authoring systems, was used, and the scenes was made up so that intuitive decisions can be made, and the proper feedback for learners' reaction was planned to be provided through interaction with teachers.
      While there are various types of multimedia courseware according to classification system, in this research was introduced a courseware that can meet learners' individualized needs through the diverse learning experience related to picture map in the social studies of elementary school third graders, and through focusing on providing necessary data.
      The early coursewares reflected a large amount of objective theories, but the a number of recent coursewares reflects constructionism. Based on constructionism, the environment which is similar to the ones where learner can actually make use of picture map was realized by using multimedia materials such as graphics, animation, moving images, and sound.
      The multimedia courseware used in this research can help learners understand the concept on picture map in a much easier way, and study wherever and whenever they want to. In addition, students can pass through the levels up according to their levels through the process of students' constructing the knowledge by themselves and individualized materials which can enhance their desire to learn and make the individualized learning possibl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 2. 연구 방법 및 제한점 = 2
      • II. 그림지도 학습 = 4
      • 목차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 2. 연구 방법 및 제한점 = 2
      • II. 그림지도 학습 = 4
      • 1. 지도 = 4
      • 1) 지도의 정의 = 4
      • 2) 지도 학습 = 4
      • 3) 기초적인 지도 기능 = 6
      • 2. 그림지도 = 9
      • 1) 그림지도 학습 = 9
      • 2) 그림지도 학습의 실태 분석 = 12
      • III. 멀티미디어 코스웨어 = 20
      • 1. 멀티미디어 = 20
      • 1) 멀티미디어의 개념 = 20
      • 2) 멀티미디어의 발달 과정 = 21
      • 3) 멀티미디어 저작도구 = 22
      • 2. 코스웨어 = 25
      • 1) 코스웨어란 = 25
      • 2) 코스웨어의 설계 절차 = 25
      • 3) 코스웨어 구현을 위한 교수 - 학습이론 = 28
      • 3. 멀티미디어 코스웨어 = 37
      • 1) 멀티미디어 코스웨어의 개념 = 37
      • 2) 멀티미디어 코스웨어의 유형 = 38
      • 3) 멀티미디어 코스웨어의 평가 기준 = 39
      • IV. 그림지도 학습을 위한 멀티미디어 코스웨어의 설계 = 41
      • 1. 설계를 위한 요구 분석 = 41
      • 1) 대상 교과 및 내용 선정 = 41
      • 2) 교수 목표의 설정 및 내용 분석 = 42
      • 2. 개발 환경 및 순서 = 46
      • 1) 개발 환경 = 46
      • 2) 개발 순서 = 48
      • 3. 전체 학습 흐름도 = 50
      • 4. 주제별 세부 내용 = 50
      • V. 그림지도 학습을 위한 멀티미디어 코스웨어의 구현 = 54
      • 1. 화면 구성 = 54
      • 2. 그림지도 학습을 위한 주제별 학습내용 = 57
      • VI. 결론 및 제언 = 66
      • 참고문헌 = 68
      • ABSTRACT = 72
      • 부록 = 7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