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베트남 파병에 대한 채명신 사령관의 인식과 한국군의 작전 수행 = Commander Chae Myeong-Shin’s Perception of the Development of Troops to Vietnam and Operation of the Korean Milita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931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 파병에 대한 채명신 사령관의 인식이 작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현대사를 이해함에 있어 베트남 전쟁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베트남 전쟁은 국내·외적으로 많은 변화를 초래한 중요한 요인이었기 때문이다. 베트남 파병은 다양한 분야에 많은 영향을 미쳤고, 특히 한국군의 현대화에 중요한 변곡점이었다. 한국군은 베트남 파병을 통해 무기 신형화는 물론 창군 이후에 최초로 파병하여 전투에서 많은 성과를 달성함으로써 우방국으로부터 많은 찬사와 주목을 받았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한국군의 성공적인 작전에 주목하여 작전의 성공요인과 작전 수행과정/결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했다. 이들은 작전의 성공이 채명신의 뛰어난 전술적 식견과 독창적인 교리에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이는 채명신의 게릴라전 경험과 모택동 교리 연구에서 기인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이들은 채명신이 어떤 구상과 생각을 가지고, 한국군을 지휘했는지 체계적으로 분석하지는 못했다.
      채명신은 육군본부 작전참모부장 재직 시부터 전투부대 파병에 대해 부정적이었고, 비둘기 부대와 같은 비전투부대를 파병하여 미군과 남베트남군의 작전을 지원해야 된다고 생각했다. 왜냐하면 그는 게릴라전 위주의 베트남전은 정규군을 파병해도 적을 식별하기 어렵고, 남·북 베트남 국민 모두 북베트남의 지도자 호치민을 민족의 영웅으로 생각하고 있음을 잘 알았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그는 작전참모부장으로서 전투부대 파병이 필연적으로 받아들여야 할 사 안임을 깨닫고, 전투부대 파병을 ‘조국의 국위선양과 번영, 국군의 전투력 증강과 경제발전’이라는 국가적 목표와 결부시켜 생각했다. 이를 토대로 그는 주베트남한국군의 임무인 재건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면서 아군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침을 설정하고, 이를 파병 전부터 파병 복귀 시까지 다양한 분야에 적용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 파병에 대한 채명신 사령관의 인식이 작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현대사를 이해함에 있어 베트남 전쟁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베트남 전쟁은 국내·...

      본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 파병에 대한 채명신 사령관의 인식이 작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현대사를 이해함에 있어 베트남 전쟁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베트남 전쟁은 국내·외적으로 많은 변화를 초래한 중요한 요인이었기 때문이다. 베트남 파병은 다양한 분야에 많은 영향을 미쳤고, 특히 한국군의 현대화에 중요한 변곡점이었다. 한국군은 베트남 파병을 통해 무기 신형화는 물론 창군 이후에 최초로 파병하여 전투에서 많은 성과를 달성함으로써 우방국으로부터 많은 찬사와 주목을 받았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한국군의 성공적인 작전에 주목하여 작전의 성공요인과 작전 수행과정/결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했다. 이들은 작전의 성공이 채명신의 뛰어난 전술적 식견과 독창적인 교리에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이는 채명신의 게릴라전 경험과 모택동 교리 연구에서 기인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이들은 채명신이 어떤 구상과 생각을 가지고, 한국군을 지휘했는지 체계적으로 분석하지는 못했다.
      채명신은 육군본부 작전참모부장 재직 시부터 전투부대 파병에 대해 부정적이었고, 비둘기 부대와 같은 비전투부대를 파병하여 미군과 남베트남군의 작전을 지원해야 된다고 생각했다. 왜냐하면 그는 게릴라전 위주의 베트남전은 정규군을 파병해도 적을 식별하기 어렵고, 남·북 베트남 국민 모두 북베트남의 지도자 호치민을 민족의 영웅으로 생각하고 있음을 잘 알았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그는 작전참모부장으로서 전투부대 파병이 필연적으로 받아들여야 할 사 안임을 깨닫고, 전투부대 파병을 ‘조국의 국위선양과 번영, 국군의 전투력 증강과 경제발전’이라는 국가적 목표와 결부시켜 생각했다. 이를 토대로 그는 주베트남한국군의 임무인 재건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면서 아군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침을 설정하고, 이를 파병 전부터 파병 복귀 시까지 다양한 분야에 적용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Chae Myeong-shin’s perception of the Vietnam deployment on the operation. The Vietnam War is very important for understanding modern history. After all, the Vietnam War was an important factor that brought about many change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e deployment to Vietnam had a profound impact on a variety of fields, and was an important inflection point in the modernization of the Korean Armed Forces. The ROK military received a lot of praise and attention from its allies by not only renewing its weapons through the deployment of troops to Vietnam, but also by being the first to deploy troops after the founding of the army and achieving many achievements in battle.
      In the meantime, academia has paid attention to the successful operations of the ROK Armed Forces,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success factors of the operations and the process/results of the operation. They noted that the success of the operation was due to Chae Myeong-sin’s superior tactical acumen and original doctrine, which they attributed to Chae’s experience in guerrilla warfare and his study of Mao’s doctrine. However, they were unable to systematically analyze what ideas and ideas Chae Myeong-sin had in command of the ROK military.
      From his tenure as chief of the operational staff at the Army Headquarters, Chae Myeong-sin was negative about the deployment of combat troops, and he thought that non-combat units, such as the Pigeon Army, should be sent to support the operations of the US and South Vietnamese forces. This was because he was well aware that the Vietnam War, which was centered on guerrilla warfare, made it difficult to identify the enemy even if regular troops were deployed, and that both the North and South Vietnamese people considered Ho Chi Minh, the leader of North Vietnam, to be a national hero.
      However, as chief of the operational staff, he realized that the deployment of combat troops was an inevitable issue, and he linked the deployment of combat troops to the national goal of “national defense and prosperity of the motherland, and the enhancement of the combat power and economic development of the armed forces.” Based on this, he set a policy to minimize the damage to friendly forces while successfully carrying out the reconstruction of the Korean Army's mission in June, and applied it to various fields from before deployment to when returning to the arm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Chae Myeong-shin’s perception of the Vietnam deployment on the operation. The Vietnam War is very important for understanding modern history. After all, the Vietnam War was an important factor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Chae Myeong-shin’s perception of the Vietnam deployment on the operation. The Vietnam War is very important for understanding modern history. After all, the Vietnam War was an important factor that brought about many change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e deployment to Vietnam had a profound impact on a variety of fields, and was an important inflection point in the modernization of the Korean Armed Forces. The ROK military received a lot of praise and attention from its allies by not only renewing its weapons through the deployment of troops to Vietnam, but also by being the first to deploy troops after the founding of the army and achieving many achievements in battle.
      In the meantime, academia has paid attention to the successful operations of the ROK Armed Forces,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success factors of the operations and the process/results of the operation. They noted that the success of the operation was due to Chae Myeong-sin’s superior tactical acumen and original doctrine, which they attributed to Chae’s experience in guerrilla warfare and his study of Mao’s doctrine. However, they were unable to systematically analyze what ideas and ideas Chae Myeong-sin had in command of the ROK military.
      From his tenure as chief of the operational staff at the Army Headquarters, Chae Myeong-sin was negative about the deployment of combat troops, and he thought that non-combat units, such as the Pigeon Army, should be sent to support the operations of the US and South Vietnamese forces. This was because he was well aware that the Vietnam War, which was centered on guerrilla warfare, made it difficult to identify the enemy even if regular troops were deployed, and that both the North and South Vietnamese people considered Ho Chi Minh, the leader of North Vietnam, to be a national hero.
      However, as chief of the operational staff, he realized that the deployment of combat troops was an inevitable issue, and he linked the deployment of combat troops to the national goal of “national defense and prosperity of the motherland, and the enhancement of the combat power and economic development of the armed forces.” Based on this, he set a policy to minimize the damage to friendly forces while successfully carrying out the reconstruction of the Korean Army's mission in June, and applied it to various fields from before deployment to when returning to the arm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陸軍史"

      2 합동참모본부, "한미 및 한월간 군사실무자약정에 있어서 파월연락장교단장에게 주는 지침, In 월남공화국에 전투부대 파병을 위한 국방부 연락장교단의 현지파견결과 보고 및 관련 참고자료 (1965.8.16.)"

      3 최용호, "한권으로 읽는 베트남 전쟁과 한국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4

      4 오홍국, "한국군의 베트남전쟁 참전과 군대발전 과정 분석 : 한·미 안보협력과 연합 및 합동작전을 통한 한국군 발전"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13

      5 오홍국, "한국군의 베트남전쟁 참전과 국방현대화 과정 분석, 1960년대 중반 ‘브라운각서’의 추진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군사학회 (67) : 2011

      6 박태균, "한국군의 베트남전 참전" 역사문제연구소 (80) : 288-311, 2007

      7 한국군사혁명사 편찬위원회, "한국군사혁명사, 1-상권" 1963

      8 신상구, "한국군 민사심리전의 형성과 발전 - 1950∼60년대를 중심으로 -" 육군군사연구소 (151) : 67-102, 2021

      9 이신재, "파월한국군의 작전지휘권 결정과정 고찰"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96) : 283-322, 2015

      10 홍규덕, "파병외교와 안보신드롬" 32 (32): 1992

      1 "陸軍史"

      2 합동참모본부, "한미 및 한월간 군사실무자약정에 있어서 파월연락장교단장에게 주는 지침, In 월남공화국에 전투부대 파병을 위한 국방부 연락장교단의 현지파견결과 보고 및 관련 참고자료 (1965.8.16.)"

      3 최용호, "한권으로 읽는 베트남 전쟁과 한국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4

      4 오홍국, "한국군의 베트남전쟁 참전과 군대발전 과정 분석 : 한·미 안보협력과 연합 및 합동작전을 통한 한국군 발전"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13

      5 오홍국, "한국군의 베트남전쟁 참전과 국방현대화 과정 분석, 1960년대 중반 ‘브라운각서’의 추진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군사학회 (67) : 2011

      6 박태균, "한국군의 베트남전 참전" 역사문제연구소 (80) : 288-311, 2007

      7 한국군사혁명사 편찬위원회, "한국군사혁명사, 1-상권" 1963

      8 신상구, "한국군 민사심리전의 형성과 발전 - 1950∼60년대를 중심으로 -" 육군군사연구소 (151) : 67-102, 2021

      9 이신재, "파월한국군의 작전지휘권 결정과정 고찰"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96) : 283-322, 2015

      10 홍규덕, "파병외교와 안보신드롬" 32 (32): 1992

      11 육군대학, "특수학" (92·93) : 1968

      12 최용호, "통계로 본 베트남전쟁과 한국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7

      13 신상구, "채명신 장군의 군인정신 사례 연구 - 6.25 전쟁과 베트남 전쟁을 중심으로 -" 국방정신전력원 (64) : 89-135, 2021

      14 김진해, "지상작전 원칙 측면에서 손자병법의 유용성 연구" (422) : 2013

      15 조진구, "중소대립, 베트남 전쟁과 북한의 남조선혁명론, 1964-68" 아세아문제연구원 46 (46): 227-256, 2003

      16 주월한국군사령부, "주월미군작전교훈"

      17 주월한국군사령부, "주월군 소개"

      18 주월한국군사령부, "전투능력평가보고서" 1968

      19 빅터 D. 차 지음, "적대적 제휴 : 한국, 미국, 일본의 삼각 안보체제" 문학과 지성사 2004

      20 홍석률, "위험한 밀월 - 박정희 존슨ㆍ행정부기 한미관계와 베트남전쟁" 역사문제연구소 (88) : 216-243, 2009

      21 합동참모본부, "월남지원을 위한 국군부대 증파, In 월남공화국에 전투부대 파병을 위한국방부 연락장교단의 현지파견결과 보고 및 관련 참고자료(1965.8-1965.9)"

      22 주월한국군사령부, "월남전에서의 한국군 전술"

      23 박태균, "우방과 제국, 한미관계의 두 신화" 창비 2006

      24 박경석, "불후의 명장 채명신" 팔복원 2014

      25 이신재, "북한의 베트남전쟁 참전"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7

      26 장용운, "베트남전쟁이 한국군 현대화에 미친 영향" 한국국방연구원 26 (26): 209-245, 2011

      27 최용호, "베트남전쟁에서 한국군의 작전 및 민사심리전 수행방법과 결과"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06

      28 정지환, "베트남전쟁에서 한국군의 대게릴라전 연구 - 중대전술기지를 중심으로 -" 육군군사연구소 (129) : 187-211, 2010

      29 채명신, "베트남전쟁과 나" 팔복원 2006

      30 채명신, "베트남전쟁 연구 총서 1권"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2

      31 최동주, "베트남 파병이 한국경제의 성장과정에 미친 영향" (11) : 2001

      32 박태균, "베트남 파병을 둘러싼 한미 협상 과정: 미국 문서를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소 (74) : 144-189, 2006

      33 Stanley Robert Larsen, "베트남 참전동맹군"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국방부 군사편찬 연구소 2008

      34 박경석, "베트남 전쟁과 한국군" 베트남참전전우회 2002

      35 송재익, "베트남 전쟁 시 한국군의 독자적 작전지휘권 행사와 채명신 사령관 역할 연구" 육군군사연구소 (137) : 2014

      36 주월한국군사령부, "민사심리전순보"

      37 손석현, "대반란전 사례 연구"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6

      38 문순보, "닉슨 행정부 시기의 데탕트와 한미관계" 일민국제관계연구원 13 (13): 39-71, 2008

      39 김진웅, "냉전의 역사, 1945~1991" 비봉출판사 1999

      40 원조기획처, "내규, In 파월역사자료(예규철)"

      41 이훈섭, "그때 당신은 어디 있었는가" 샘터 1991

      42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국방조약집 1호"

      43 이병천, "개발독재와 박정희시대" 창비 2003

      44 한홍구, "개발독재와 박정희시대" 창비 2003

      45 "駐越韓國軍戰史資料集"

      46 이종민, "韓國軍의 베트남戰 派兵과 獨自的 作戰權 遂行"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47 李基琮, "韓國軍 베트남參戰의 決定要因과 結果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1

      48 김성은, "越南派兵, 轉換期의 내막" 조선일보사 1982

      49 양달승, "越南派兵 問題에서 考慮되어야 할 問題點(1965.1.6.), in 베트남 파병 결정과정 문서"

      50 주월한국군사령부, "越南戰爭綜合硏究" 駐越司整理團 1974

      51 김일수, "赤化戰術, 祖國을 좀 먹는 그들의 凶計" 경찰교양협조회 1949

      52 "派越歷史資料"

      53 "派越韓國軍戰爭史料"

      54 육군본부, "共産徒黨의 赤化遊擊戰術"

      55 Nagle, John A, "Learning to eat soup with a knife-Counterinsugency Lesson from Malaya and Vietnam"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5

      56 홍규덕, "1960년대의 대외관계와 남북문제" 백산서당 1999

      57 신상구, "1960년대 한국군의 베트남전 참전과 대반란전 이해" 고려대학교 2018

      58 신상구, "1960년대 한국군의 베트남전 참전과 대게릴라전 경험의 수용과정" 육군군사연구소 (150) : 137-171, 2020

      59 박태균, "1950·60년대 미국의 한국군 감축론과 한국정부의 대응" 9 (9): 2000

      60 육군본부, "(팜푸렡 355-41) 베트콩, 埋伏戰術"

      61 최용호, "(증언을 통해 본)베트남 전쟁과 한국군, 1"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