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ngbulsa Temple, Hwangju, is located in the Jeongbang Mountain Castle in Hwangju-gun, Hwanghae-buk-do, and was founded in 898 by Doseon Guksa(道詵國師, 827-898). This paper is a study analyzing the Seongbulsa Dangju Muryangsuju Seongwonmun(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551184
이경주 (불교문화재연구소)
2023
Korean
北韓地域 佛敎彫刻 ; 高麗後期 佛像 ; 琉璃乾板 寫眞 ; 黃州 成佛寺 ; 高麗時代 宦官 ; 高麗時代 佛敎 施主者 ; 無量壽佛 ; 國立中央博物館 ; 북한지역 불교조각 ; 고려후기 불상 ; 유리건판 사진 ; 황주 성불사 ; 고려시대 환관 ; 고려시대 불교 시주자 ; 무량수불 ; 국립중앙박물관 ; Buddhist sculptures in North Korea ; Buddhist sculpture of the late Goryeo Dynasty ; Gelatin dry plate photograph ; Hwangju Seongbulsa Temple ; Eunuchs in the Goryeo Dynasty ; Buddhist Patrones and Donors in the Goryeo Dynasty ; Amitabha ; National Muserum of Korea
KCI등재
학술저널
121-164(4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ongbulsa Temple, Hwangju, is located in the Jeongbang Mountain Castle in Hwangju-gun, Hwanghae-buk-do, and was founded in 898 by Doseon Guksa(道詵國師, 827-898). This paper is a study analyzing the Seongbulsa Dangju Muryangsuju Seongwonmun(成...
Seongbulsa Temple, Hwangju, is located in the Jeongbang Mountain Castle in Hwangju-gun, Hwanghae-buk-do, and was founded in 898 by Doseon Guksa(道詵國師, 827-898). This paper is a study analyzing the Seongbulsa Dangju Muryangsuju Seongwonmun(成佛社堂主無量壽鑄成願文, Prayer of Casting the Hall Master Amitabha of Seongbulsa, hereafter the Prayer), found from the relics film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in Seongbulsa Temple. The folded Prayer commemorates the background, purpose, and patrons of the Seongbulsa Amitabha triad project in 1327. Among the forty-one patrons, it can be seen that about thirty were officials, indicating that it was a project led by officials.
In particular, Bak Hwan-●(朴桓●), who used the terms "Jeonggung-wiha (正宮位下)" and "Hwaja(火者)," is believed to be a Yuan eunuch(元宦官) of Goryeo birth, suggesting that he was an official of Yuan Empress's court.
Another participant named Yun Seok(尹碩) is known to be a close confidant of King Chungsuk(忠肅王, 1294-1339, r. 1332-1339). In addition, many officials from Hwangju (黃州) and Pyeongan-do(平安道) participated; this reflects the geographic characteristics of Hwangju, which is adjacent to Pyeongan-do. In this way, the Prayer is an uncommon case as it was participated by the Yuan eunuch of Goryeo birth, officials close to King Chungsuk, and officials of the Pyeongan-do region.
It is known that there was a large-scale architectural project for the entire temple complex at Seongbulsa Temple in 1327, as the Eungjinjeon Hall was built together with the Amitabha triad. According to an ink inscription stating the eunuch Yi Samdae(李三大) 's participation, eunuchs seem to be critical Buddhist patrons of this projec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Seongbulsa project shows the trend of 14th century Goryeo, in which the Yuan eunuchs of Goryeo birth conveyed various Buddhist patron activities in Goryeo and Yuan Dynasty based on their wealth and power.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glass plate picture of the Buddhist statue that is believed to the storage of the Prayer. The way the robe is worn and the detailed expressions are similar to the Copper Seated Amitabha Buddha(1333)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 Gilt-bronze Seated Bhaisajyaguru Buddha of Janggoksa Temple, Cheongyang(1346). It is noteworthy that there are also similar 8 Buddha statues in the North Korean region. Therefore, the Buddha statue in the glass plate picture of Seongbulsa is certainly a statue made in the 14th century.
국문 초록 (Abstract)
황주 성불사는 황해북도 황주군 正方山城 내에 위치한 사찰로 898년 도선국사가 창건한 고찰이다.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성불사를 촬영한 여러 유물 가운데<성불사당주무량수주성원문(成...
황주 성불사는 황해북도 황주군 正方山城 내에 위치한 사찰로 898년 도선국사가 창건한 고찰이다.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성불사를 촬영한 여러 유물 가운데<성불사당주무량수주성원문(成佛社堂主無量壽鑄成願文)>을 분석한 연구이다. 원문은 1327년 성불사의 무량수여래삼존상을 조성한 배경과 목적, 시주자들을 기록한 절첩본 형식의 발원문이다. 41명의 시주자 중 약 30명이 관료층이라는 점에서 관료 중심의 불사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正宮位下’와 ‘火者’라는 명칭을 사용한 박환○은 元에서 활동한 고려인 출신 원 환관으로 원 황후에 소속된 관리임을 알 수 있다. 또 함께 참여한 윤석(尹 碩)은 충숙왕의 최측근 세력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이 밖에도 황주(黃州)와 평안도 지역 관료들이 다수 참여하고 있는데 평안도와 인접한 황주의 지리적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성불사당주무량수주성원문>은 고려인 출신 원환관과 충숙왕의 측근 관료, 평안도 일대의 관료층이 중심이 된 참여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특이한 경우라 할 수 있다.
1327년은 성불사에서는 무량수여래삼존상과 함께 응진전(應眞殿)을 건립하고 있어 당시 사찰 전체에 대한 대규모 불사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환관 이삼대(李 三大)가 함께 발원한다는 묵서가 있어 환관들이 중요한 시주자로 참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14세기에 고려인 출신 원 환관들이 자신의 재력과 권력을 바탕으로 고려와 원에서 여러 불사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점에서 성불사도 그러한 경향을 보여준다 할 수 있다.
한편, 성불사 <무량수주성원문>을 납입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불상이 유리건판 사진으로 남아있다. 대의를 입은 방식과 세부 표현에서 국립중앙박물관소장 금동여래좌상(1333)과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1346)과 비슷하다. 특히, 북한지역에도 이와 유사한 8구의 여래상이 전하고 있어 주목된다. 비록 유리건판 사진에 기초한 비교, 분석이라는 한계와 14세기 전반 불상과의 일부 양식적 차이가 감지되지만 성불사 상은 대체로 14세기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대구박물관,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불복장"
2 문화재청, "한국의 사찰문화재 –2011년 인천광역시․경기도(1)" 2012
3 권희경, "한국기록관리학회학술논문집" 2006
4 杉山信三, "한국고건축 보존: 부석사·성불사수리공사보고" 韓國古建築の保存刊行 1996
5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건축사연구자료27: 북한의 전통건축 -황해남도1-" 2007
6 신은제,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의 복장 발원문과 발원자들" 미술사연구회 (29) : 51-83, 2015
7 정은우,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과 복장유물의 내력과 특징" 미술사연구회 (29) : 7-28, 2015
8 권강미, "일제강점기 기록으로 보는 成佛寺 鐵造菩薩坐像 연구" 미술사연구회 (40) : 83-107, 2021
9 국립중앙박물관, "유리건판으로 보는 북한의 불교미술" 2014
10 이범직, "원 간섭기 立省論과 柳淸臣" 81 : 2002
1 국립대구박물관,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불복장"
2 문화재청, "한국의 사찰문화재 –2011년 인천광역시․경기도(1)" 2012
3 권희경, "한국기록관리학회학술논문집" 2006
4 杉山信三, "한국고건축 보존: 부석사·성불사수리공사보고" 韓國古建築の保存刊行 1996
5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건축사연구자료27: 북한의 전통건축 -황해남도1-" 2007
6 신은제,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의 복장 발원문과 발원자들" 미술사연구회 (29) : 51-83, 2015
7 정은우,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과 복장유물의 내력과 특징" 미술사연구회 (29) : 7-28, 2015
8 권강미, "일제강점기 기록으로 보는 成佛寺 鐵造菩薩坐像 연구" 미술사연구회 (40) : 83-107, 2021
9 국립중앙박물관, "유리건판으로 보는 북한의 불교미술" 2014
10 이범직, "원 간섭기 立省論과 柳淸臣" 81 : 2002
11 이정신, "원 간섭기 환관의 행적" 고려사학회 (57) : 85-115, 2014
12 리기웅, "성불사" 조선문화보존사 2010
13 정은우, "서일본지역의 고려 불상과 불화" 민족문화 2010
14 강인구, "서산문수사 금동여래좌상복장유물" 18 : 1975
15 국립중앙박물관, "사경변상도의 세계 -부처 그리고 마음-" 2007
16 이경주, "북한지역 고려 후기 금동불 연구 -중대형 금동불을 중심으로-" 미술사연구회 (35) : 153-192, 2018
17 대한불교조계종, "북한의 전통사찰 7 : 황해북도" 양사재 2011
18 대한불교조계종, "북한의 전통사찰 4 : 평안북도(下)" 양사재 2011
19 대한불교조계종, "북한의 전통사찰 3 : 평안북도(中)" 양사재 2011
20 대한불교조계종, "북한의 전통사찰 1 : 평양 및 평안남도" 양사재 2011
21 대한불교진흥원, "북한의 사찰" 2009
22 한국불교종단협의회, "북한사찰연구" 사찰문화연구원 1993
23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24 "국립중앙박물관 일제강점기 자료 원문 _ 유리건판 및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
25 허형욱, "국립중앙박물관 유리건판 사진에 보이는 북한 소재 불교조각의 고찰" 미술사연구회 (40) : 25-57, 2021
26 정은우, "고려의 성물, 불복장" 경인문화사 2017
27 김갑동, "고려시대 도령(都領)" 3 : 91-92, 1996
28 허흥식, "고려로 옮긴 인도의 등불" 일조각 1997
29 김형수, "고려 충숙왕 12년(1325)교서의 재검토" 24 : 2001
30 한정훈, "고려 전기 兩界의 교통로와 운송권역" 한국사연구회 (141) : 123-156, 2008
31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축문화재해체수리자료집 -사찰편(건축)-" 2010
32 北村秀人, "高麗時代の瀋王についての一考察" 24 (24): 1973
33 장희흥, "高麗後期 宦官制의 定着過程과 地位變動" 한국사학회 (83) : 39-72, 2006
34 "高麗史節要"
35 "高麗史"
36 김광철, "高麗 忠肅王 12年의 改革案과 그 性格" 5·6 : 1990
37 수덕사근역성보관, "韓國의 佛腹藏: 至心歸命禮" 2004
38 賣志道, "重修華嚴堂經本記碑"
39 "稼亭集"
40 "東文選"
41 "朝鮮王朝實錄"
42 정은우, "敬天寺址10層石塔과 三世佛會考" 미술사연구회 (19) : 31-58, 2005
43 "成佛寺事蹟碑"
44 小川敬吉, "小川敬吉調査文化財資料" 1994
45 황수영, "安城 淸源寺의 高麗寫經 -高麗國王發願 銀字大藏-" 5 : 1975
46 윤기엽, "在元 高麗人 관련의 大都寺院" 불교학연구회 11 : 201-230, 2005
47 寺刹文化硏究院, "北韓寺刹硏究" 韓國佛敎宗團協議會 1993
48 "元史"
49 이개석, "元 宮廷의 高麗 출신 宦官과 麗元關係" 동양사학회 (113) : 143-170, 2010
50 최선일, "A Study on Mid-fourteenth-century Gilt-bronze Seated Buddha Statues in North Korean Temples"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3 (33): 39-78, 2020
51 이서희, "15世紀 後半 阿彌陀如來三尊像 硏究" 이화여대 2022
52 이익주, "14세기 전반 高麗·元關係와 政治勢力의 동향 -忠肅王代 瀋王擁立運動을 중심으로-" 9 : 2000
호류지(法隆寺) 헌납보물 아스카시대(飛鳥時代) 금동불상 재고 - 조형과 제작기법 측면에서의 상호관련성을 중심으로
17세기 초 금산사 비로자나 오불좌상의 조성 의의와 도상 선택 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