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南宋代 牧谿 筆 禪宗畵에 대한 一考察 = A Study on the Zen Paintings by Muqi in the Chinese Southern Song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511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Zen Painting, Seonjonghwa or Seonhwa in Korean is a general term for paintings related to Buddhist Zen Sect. Zen monks place a great deal of importance on Zen meditation and the venerable monks who teaches them how to do it. And they also used Zen paintings, which intuitively visualized the state of enlightenment, as a means of handing down Buddhism. In other words, Zen painting originally started as a medium to inherit the method of practice leading to enlightenment in Zen monks and Zen temples. And since then, as the Zen sect became prevalent and spread, and the literati loved these paintings, the category gradually expanded.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Zen paintings, the unique ink-and-wash painting techniques were recognized as suitable for revealing the secular character and momentary enlightenment of Zen monks, and it became one of the main styles of painting. In particular, the Zen paintings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1127-1279) are an early group of works that have an important meaning enough to be called the norm of East Asian Zen paintings.
      This paper reviewed the Zen Buddhist paintings by Muqi(牧谿), one of the representative painters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He is a painter from Sichuan who was active in the 13th century in the Southern Song Dynasty and is closely related to Zen Buddhism. He belonged to the family of Zen master Wuzhun Shifan(1178-1249), and his main temple was Liutongsi Temple near West Lake in Hangzhou. Many researchers have studied Muqi's paintings in the past, and as a result, many aspects and meanings of the paintings have been revealed. However The Practice of Meditation (禪僧入定圖) from the Seikadobunko(靜嘉堂文庫) Collection Japan, is a work that has not been analyzed in detail. For that reason, this paper focused on the painting style and iconography of this work. In particular, this thesis analyzes the expression technique of the Practice of Meditation, and based on this, similarity of technique was found by comparing it with Guanyin, Gibbons, and Crane (觀音 猿鶴圖), and Laozi (老子圖) among his works.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iconography of the Practice of Meditation specifically reflected the contents of the biographies of old high priests such as Liang-Gao-Seng-Zhuan(梁高僧 傳), and that the wearing of the ‘bokduui’(覆頭衣), a form of wearing a monk's robe covering over the head was closely related to Zen monks.
      Based on these points, this thesis suggests that it is reasonable to give this painting a specific name, 'the Practice of Meditation', even though this painting was vaguely called 'Arhat painting' in the past.
      번역하기

      Zen Painting, Seonjonghwa or Seonhwa in Korean is a general term for paintings related to Buddhist Zen Sect. Zen monks place a great deal of importance on Zen meditation and the venerable monks who teaches them how to do it. And they also used Zen pai...

      Zen Painting, Seonjonghwa or Seonhwa in Korean is a general term for paintings related to Buddhist Zen Sect. Zen monks place a great deal of importance on Zen meditation and the venerable monks who teaches them how to do it. And they also used Zen paintings, which intuitively visualized the state of enlightenment, as a means of handing down Buddhism. In other words, Zen painting originally started as a medium to inherit the method of practice leading to enlightenment in Zen monks and Zen temples. And since then, as the Zen sect became prevalent and spread, and the literati loved these paintings, the category gradually expanded.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Zen paintings, the unique ink-and-wash painting techniques were recognized as suitable for revealing the secular character and momentary enlightenment of Zen monks, and it became one of the main styles of painting. In particular, the Zen paintings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1127-1279) are an early group of works that have an important meaning enough to be called the norm of East Asian Zen paintings.
      This paper reviewed the Zen Buddhist paintings by Muqi(牧谿), one of the representative painters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He is a painter from Sichuan who was active in the 13th century in the Southern Song Dynasty and is closely related to Zen Buddhism. He belonged to the family of Zen master Wuzhun Shifan(1178-1249), and his main temple was Liutongsi Temple near West Lake in Hangzhou. Many researchers have studied Muqi's paintings in the past, and as a result, many aspects and meanings of the paintings have been revealed. However The Practice of Meditation (禪僧入定圖) from the Seikadobunko(靜嘉堂文庫) Collection Japan, is a work that has not been analyzed in detail. For that reason, this paper focused on the painting style and iconography of this work. In particular, this thesis analyzes the expression technique of the Practice of Meditation, and based on this, similarity of technique was found by comparing it with Guanyin, Gibbons, and Crane (觀音 猿鶴圖), and Laozi (老子圖) among his works.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iconography of the Practice of Meditation specifically reflected the contents of the biographies of old high priests such as Liang-Gao-Seng-Zhuan(梁高僧 傳), and that the wearing of the ‘bokduui’(覆頭衣), a form of wearing a monk's robe covering over the head was closely related to Zen monks.
      Based on these points, this thesis suggests that it is reasonable to give this painting a specific name, 'the Practice of Meditation', even though this painting was vaguely called 'Arhat painting' in the pas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禪宗畵는 불교 禪宗과 관련된 회화의 총칭으로, 일명 ‘禪畵’라고도 부른다. 禪 宗은 敎外別傳, 不立文字, 見性成佛, 直指人心을 표방한다. 따라서 선종계 승려들은 참선 수행과 사유법을 傳受하는 스승과 傳燈에 큰 의미를 두었고, 때론 以心傳 心의 경지를 직관적으로 ‘시각화’한 禪宗畵를 傳法의 수단으로 삼기도 했다. 이렇듯 선종화는 본래 禪家에서 깨달음과 전법의 매개체로 출발했다. 그리고 이후 선종이 성행하고 文人들이 본인들의 사유 방식과 선의 이념을 연계시켜 감상용으로도 제작하면서 선종화의 범주가 점차 확대되었다. 그 결과 선종화는 禪宗과 관련된 회화 전반을 의미하게 되었으며 세부적으로 그 유형도 매우 다양해졌다. 그뿐만 아니라 선종화는 전개 과정에서 水墨 減筆法 혹은 潑墨法이 禪門 수행자의 탈속적 성품과 찰나의 깨달음을 드러내는데 적합한 화법으로 인식되면서 인물화의주요 양식 중 하나로 자리잡게 된다. 특히 南宋代(1127-1279) 선종화는 동아시아선종화의 규범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초기 작품군이다.
      본 논문은 당시 대표적인 화가 牧谿의 선종화를 중심으로 검토했다. 목계는 南 宋 말에 활동한 蜀, 즉 四川 출신의 화가이다. 목계의 法諱는 法常이다. 그는 臨濟 宗 禪師 無準師範(1178-1249)의 門派에 속하며 주석 사찰은 杭州 西湖 六通寺로 알려져 있다. 목계의 작품은 기존에 많은 연구성과가 발표되었고 그 양상과 의미가 많이 밝혀져 있다. 하지만, 일본 靜嘉堂文庫미술관 소장 <禪僧入定圖>는 목계를 연구할 때 언급되기는 했지만 구체적인 분석이 미진했던 작품이다. 그러한 이유로 본고는 이 작품의 화풍과 도상을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특히 <선승입정도> 의 표현기법을 분석하고, 이를 그의 작품 중 ≪관음원학도≫ 및 <노자도>와 비교해 기법의 유사성을 찾아 제시했다. 그리고 <선승입정도>의 도상이 역대 고승전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반영한 것이며 覆頭衣 착용이 禪僧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내용을 근거로 이 그림이 기존에 막연히 ‘나한도’라고 불렸지만, 선종화의 범주에서 이해해야 하며 ‘선승입정도’라는 구체적인 명칭을 부여하는 것이 타당함을 제시했다.
      번역하기

      禪宗畵는 불교 禪宗과 관련된 회화의 총칭으로, 일명 ‘禪畵’라고도 부른다. 禪 宗은 敎外別傳, 不立文字, 見性成佛, 直指人心을 표방한다. 따라서 선종계 승려들은 참선 수행과 사유법을 ...

      禪宗畵는 불교 禪宗과 관련된 회화의 총칭으로, 일명 ‘禪畵’라고도 부른다. 禪 宗은 敎外別傳, 不立文字, 見性成佛, 直指人心을 표방한다. 따라서 선종계 승려들은 참선 수행과 사유법을 傳受하는 스승과 傳燈에 큰 의미를 두었고, 때론 以心傳 心의 경지를 직관적으로 ‘시각화’한 禪宗畵를 傳法의 수단으로 삼기도 했다. 이렇듯 선종화는 본래 禪家에서 깨달음과 전법의 매개체로 출발했다. 그리고 이후 선종이 성행하고 文人들이 본인들의 사유 방식과 선의 이념을 연계시켜 감상용으로도 제작하면서 선종화의 범주가 점차 확대되었다. 그 결과 선종화는 禪宗과 관련된 회화 전반을 의미하게 되었으며 세부적으로 그 유형도 매우 다양해졌다. 그뿐만 아니라 선종화는 전개 과정에서 水墨 減筆法 혹은 潑墨法이 禪門 수행자의 탈속적 성품과 찰나의 깨달음을 드러내는데 적합한 화법으로 인식되면서 인물화의주요 양식 중 하나로 자리잡게 된다. 특히 南宋代(1127-1279) 선종화는 동아시아선종화의 규범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초기 작품군이다.
      본 논문은 당시 대표적인 화가 牧谿의 선종화를 중심으로 검토했다. 목계는 南 宋 말에 활동한 蜀, 즉 四川 출신의 화가이다. 목계의 法諱는 法常이다. 그는 臨濟 宗 禪師 無準師範(1178-1249)의 門派에 속하며 주석 사찰은 杭州 西湖 六通寺로 알려져 있다. 목계의 작품은 기존에 많은 연구성과가 발표되었고 그 양상과 의미가 많이 밝혀져 있다. 하지만, 일본 靜嘉堂文庫미술관 소장 <禪僧入定圖>는 목계를 연구할 때 언급되기는 했지만 구체적인 분석이 미진했던 작품이다. 그러한 이유로 본고는 이 작품의 화풍과 도상을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특히 <선승입정도> 의 표현기법을 분석하고, 이를 그의 작품 중 ≪관음원학도≫ 및 <노자도>와 비교해 기법의 유사성을 찾아 제시했다. 그리고 <선승입정도>의 도상이 역대 고승전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반영한 것이며 覆頭衣 착용이 禪僧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내용을 근거로 이 그림이 기존에 막연히 ‘나한도’라고 불렸지만, 선종화의 범주에서 이해해야 하며 ‘선승입정도’라는 구체적인 명칭을 부여하는 것이 타당함을 제시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京都五山 禪の文化」展"

      2 "梁高僧傳"

      3 陳俊吉, "梁楷 ≪八高僧圖≫ 繪畫 探究" 12 : 2009

      4 신광희, "한국의 나한도" 한국미술연구소 CAS 2014

      5 楊氣峰, "초기 선종사 Ⅰ·Ⅱ" 김영사 1990

      6 성명숙, "중국과 일본의 한산습득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2

      7 정형민, "중국 회화사 삼천년" 학고재 1999

      8 정성본, "중국 선종 성립사 연구" 민족사 1991

      9 서윤정, "역사와 사상이 담긴 조선시대 인물화" 학고재 2009

      10 정우택, "시각문화의 전통과 해석" 예경 2007

      1 "「京都五山 禪の文化」展"

      2 "梁高僧傳"

      3 陳俊吉, "梁楷 ≪八高僧圖≫ 繪畫 探究" 12 : 2009

      4 신광희, "한국의 나한도" 한국미술연구소 CAS 2014

      5 楊氣峰, "초기 선종사 Ⅰ·Ⅱ" 김영사 1990

      6 성명숙, "중국과 일본의 한산습득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2

      7 정형민, "중국 회화사 삼천년" 학고재 1999

      8 정성본, "중국 선종 성립사 연구" 민족사 1991

      9 서윤정, "역사와 사상이 담긴 조선시대 인물화" 학고재 2009

      10 정우택, "시각문화의 전통과 해석" 예경 2007

      11 이현주, "송원대 수묵 수월관음도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47) : 209-231, 2016

      12 김호귀, "선종의 법맥의식과 전등사서의 형성" 불교문화연구원 (68) : 91-112, 2014

      13 김영욱, "선의 통쾌한 농담" 김영사 2020

      14 정성본, "불교사회문화연구 1"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문화연구원 2000

      15 정우택, "깨달음의 길을 간 얼굴들" 직지성보박물관 2000

      16 홍선표, "고려 회화" 한국미술연구소 CAS 2022

      17 "集古十種"

      18 "釋氏源流應化事蹟"

      19 "達磨至慧能六代祖師圖" 中國書店 2013

      20 脇本十九郎, "足利義満と宋元画" 38 : 1935

      21 板倉聖哲, "谷文晁、東アジア絵画への眼差し" 일본학연구소 37 : 75-106, 2013

      22 嚴雅美, "試論宋元禪宗繪畫" 4 : 2000

      23 김정희, "觀音과 達磨 : 운문사 대웅보전 관음보살‧달마대사벽화 도상의 연원" 한국미술사교육학회 34 : 33-62, 2017

      24 "聖地 寧波" 奈良國立博物館 2009

      25 "續高僧傳"

      26 정성본, "禪의 歷史와 禪 思想" 三圓社 1994

      27 久松眞一, "禪畵の本質" 26 : 1955

      28 신광희, "禪定羅漢 圖像 硏究" 한국문화사학회 (27) : 925-951, 2007

      29 須藤弘敏, "禪定比丘図像と敦煌第285窟" 毎日新聞出版 183 : 1989

      30 衛藤駿, "禪宗繪畵としての白衣觀音圖" 68 : 1981

      31 金沢弘, "禪と美術" 佛敎美術硏究上野記念財團 1981

      32 "禪" 東京國立博物館 2016

      33 "神僧傳"

      34 신광희, "祖師 信仰과 祖師圖 연구 - 三十三祖師圖를 중심으로" 동악미술사학회 (29) : 7-31, 2021

      35 "祖堂集"

      36 "碧巖錄"

      37 "畵史叢書 2" 上海人民出版社 1961

      38 鈴木敬, "牧谿資料" 1188 : 1994

      39 福井利吉郎, "牧谿一滴(第二章)" 136 : 1944

      40 福井利吉郎, "牧谿一滴(第一章)" 135 : 1944

      41 海老根聰郞, "牧谿: 憧憬の水墨画" 五島美術館 1996

      42 "牧谿: 憧憬の水墨画"

      43 강희연, "牧谿 繪畵 受容 樣相 硏究 : <觀音猿鶴圖>와 <栗枾圖>를 中心으로" 서울대학교대학원 2019

      44 小川裕充, "牧谿 : 古典主義の変容(上)" 4 : 1988

      45 백인산, "澗松文華-道釋" 한국민족미술연구소 2009

      46 宮治 昭, "涅槃と彌勒の圖像學" 吉川弘文館 1992

      47 "法苑珠林"

      48 福井利吉郎, "水墨画" 岩波書店 1933

      49 板倉聖哲, "梁楷 出山釋迦圖(東京國立博物館)をめぐる諸問題" 344 : 2016

      50 "松齋梅譜"

      51 樋口一貴, "東山御物の美-足利將軍家の至宝" 三井記念美術館 2014

      52 "東山御物の美-足利將軍家の至宝" 三井記念美術館 2014

      53 板倉聖哲, "東山御物の美-足利將軍家の至宝" 三井記念美術館 2014

      54 "東坡全集"

      55 "景德傳燈錄"

      56 梶谷亮治, "日本の美術 388 : 僧侶の肖像" 至文堂 1998

      57 "敦煌石窟" 文化出版局 2001

      58 "悟りの美"

      59 "山谷集"

      60 "室町将軍家の至宝を深る" 德川美術館 2008

      61 "宗鏡錄"

      62 "大智度論"

      63 "圖畫見聞志"

      64 "元代道釋人物畵"

      65 "僧佛羅漢" 上海書畵出版社 2003

      66 "傳法正宗記"

      67 "佛祖正傳宗派圖"

      68 李善亨, "中國 南宋代 十六羅漢圖의 圖像硏究" 弘益大學校 大學院 1988

      69 鈴木敬, "中国絵画史(中之一)" 吉川弘文館 1984

      70 "世界美術全集 東洋編6 - 南宋·金" 小學館 2000

      71 梅澤 惠, "上堂圖" 1359 : 2009

      72 Helmut Brinker, "Zen in the Art of Painting" ARKANA 1987

      73 Helmut Brinker, "ZEN Masters of Meditation in Images and Writings" Artibus Asiae 1996

      74 Yoshiki Shimizu, "Six Narrative Paintings by Yin T’o-lo: Symbolic Content" 33 : 1980

      75 Nancy Wey, "Mu-ch’i and Zen Painting" The University of Chicago 1974

      76 James Cahill, "Continuations of Ch’an Ink Painting into Ming-Ch’ing and the Prevalence of Type Images" 50 : 1997

      77 James Cahill, "Chinese Painting" Skira 1960

      78 木下政雄, "(日本美術全集 14)禪宗の美術" 學習硏究社 1999

      79 木下政雄, "(日本美術全集 14)禪宗の美術" 學習硏究社 1999

      80 金沢弘, "(日本の美術 No.69) 初期水墨画" 至文堂 1972

      81 ユキコ·リピット, "(アジア佛敎美術論集) 東アジアⅣ 南宋·大理·金" 中央公論美術出版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