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실수업 및 평가에 대한 중학생 인식의 종단적 변화 탐색: 학생 특성 및 교사-수업 요인과의 관계 = Latent Classes by Trajectories of Students’ Perceptions of Classroom Instruction and Assessment: Their Relationships with Student Characteristics and Teacher-Instructional Fac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649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latent classes depending on trajectories of students’ perception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in the three subjects(Korean, Mathematics, English) and to investigate their relationships with student charact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latent classes depending on trajectories of students’ perception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in the three subjects(Korean, Mathematics, English) and to investigate their relationships with student characteristics and teacher-instructional factors in middle school. For these purposes, we used the three-point data from the fourth grade panel of SELS(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First, we assumed that the growth trajectory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perception during middle school would appear as a heterogeneous type and conducted LCGA(latent class growth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all subjects, the latent classes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perceptions are divided into three such as a) a high-level maintaining group(65.6∼69.5%), b) a increasing-group(22.9∼24.3%) and c) a decreasing-group(7.6∼10.1%). Second, When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s positive, the students a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high-level maintaining-group. Third, the high-level maintaining group showed the highest learning effort, learning method, class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the three latent classe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discussions on effective teaching and evaluation method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교과별(국어, 수학, 영어) 수업 및 평가 인식의 종단적 변화양상과 학생 특성 및 교사-수업 요인과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 초4패...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교과별(국어, 수학, 영어) 수업 및 평가 인식의 종단적 변화양상과 학생 특성 및 교사-수업 요인과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 초4패널 4~6차년도의 세 시점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수업 및 평가 인식은 교사의 교수활동 및 과제점검에 대한 학생의 인식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시기 수업 및 평가 인식 변화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성장궤적이 이질적인 유형으로 나타날 것이라 가정하였다. 이에 따라 3-step 방식에 기반한 잠재계층성장분석(Asparouhov & Muthen, 2013)을 실시한 결과, 모든 교과에서 수업 및 평가 인식 변화의 잠재계층은 수업 및 평가 인식이 3년 동안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상유지집단(65.6∼69.5%), 인식이 점차 높아지는 상승집단(22.9∼24.3%), 인식이 낮아지는 하락집단(7.6∼10.1%)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잠재계층을 예측하는 요인을 탐색한 결과, 모든 교과에서 교사-학생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하락집단 및 상승집단 보다는 상유지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셋째, 학습노력, 학습방법, 수업참여, 학업성취도는 상유지 집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수업 및 평가에 관한 교육적 시사점 및 논의를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하혜숙, "학업적응에서 끈기(Grit)와 목표의식, 성실성, 탄력성의 역할" 한국상담학회 18 (18): 371-388, 2017

      2 황매향,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관계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차이" 교육연구소 7 (7): 187-203, 2006

      3 소연희, "학습자가 지각한 교사의 수업활동,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의 구조적인 관계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20 (20): 19-32, 2011

      4 박정, "학습을 위한 평가(AFL) 실제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차이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409-428, 2017

      5 이빛나, "피드백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피드백, 학습과제 및 학습자 특성에 따른 차이" 한국교육평가학회 31 (31): 501-529, 2018

      6 박주경, "초등학교 수학 학습 부진 발생 경향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7 (17): 265-283, 2013

      7 강대중, "초등학교 교사들의 형성평가에 대한 인식 및 실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27-43, 2014

      8 김성식, "초등학교 교과 학습부진 학생 특성 분석: 국어과 수학과목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원 24 (24): 37-53, 2013

      9 이빛나, "초등교사의 형성적 피드백이 학생의 기본심리욕구와 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 교사-학생 관계의 조절효과" 한국교육평가학회 30 (30): 123-143, 2017

      10 박민애, "초등 교실수업에서의 학습을 위한 평가와 정의 및 인지적 성취와의 관계" 한국초등교육학회 30 (30): 21-42, 2017

      1 하혜숙, "학업적응에서 끈기(Grit)와 목표의식, 성실성, 탄력성의 역할" 한국상담학회 18 (18): 371-388, 2017

      2 황매향,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관계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차이" 교육연구소 7 (7): 187-203, 2006

      3 소연희, "학습자가 지각한 교사의 수업활동,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의 구조적인 관계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20 (20): 19-32, 2011

      4 박정, "학습을 위한 평가(AFL) 실제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차이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409-428, 2017

      5 이빛나, "피드백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피드백, 학습과제 및 학습자 특성에 따른 차이" 한국교육평가학회 31 (31): 501-529, 2018

      6 박주경, "초등학교 수학 학습 부진 발생 경향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7 (17): 265-283, 2013

      7 강대중, "초등학교 교사들의 형성평가에 대한 인식 및 실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27-43, 2014

      8 김성식, "초등학교 교과 학습부진 학생 특성 분석: 국어과 수학과목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원 24 (24): 37-53, 2013

      9 이빛나, "초등교사의 형성적 피드백이 학생의 기본심리욕구와 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 교사-학생 관계의 조절효과" 한국교육평가학회 30 (30): 123-143, 2017

      10 박민애, "초등 교실수업에서의 학습을 위한 평가와 정의 및 인지적 성취와의 관계" 한국초등교육학회 30 (30): 21-42, 2017

      11 교육부,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1]"

      12 이현철, "초‧중학생의 교사관계 인식의 종단적 변화 양상과 예측 요인" 교육연구소 21 (21): 57-82, 2015

      13 조홍식, "체육수업 분위기가 학생들의 도움요청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12 (12): 91-108, 2008

      14 정유지, "청소년기 생애목표 프로파일의 종단적 변화 및 예측요인 검증" 한국교육심리학회 32 (32): 79-98, 2018

      15 박성선, "수학 수업의 질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인식" 한국수학교육학회 21 (21): 151-162, 2018

      16 박민애, "수업참여와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상호 관계와 변화 양상: 다차원 수업참여 모형" 한국교육평가학회 31 (31): 201-224, 2018

      17 이현주, "목표 중요성, 수행 피드백, 성취목표지향성 간의 상호작용이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의 학습시간 투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27 (27): 829-852, 2013

      18 손준호, "동형검사를 활용한 진단 및 형성평가가 초등과학 수업에 미치는 효과 : ‘지구와 달’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35 (35): 619-628, 2015

      19 최영미, "대학생의 미래지향목표, 근접하위목표, 과제도구성지각 및 자기조절전략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27 (27): 77-98, 2013

      20 김은지, "대학 수업에서 학습 몰입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내·외적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탐색" 교육연구소 16 (16): 107-129, 2015

      21 김남희, "기본심리욕구와 수업참여를 매개로 한 학생-교사애착관계와 학업성취도의 관계: 교사지지와 학생-교사애착관계의 의미와 역할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25 (25): 763-789, 2011

      22 McMillan, J. H., "교실평가의 원리와 실제: 기준참조수업과의 연계" 교육과학사 2015

      23 조영민, "교실평가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유형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1 (21): 197-217, 2018

      24 김난옥, "교사의 특성과 피드백이 초등학생의 정의적, 인지적 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1 (21): 129-151, 2018

      25 노현종, "교사의 숙제 피드백이 학생의 자기조절학습, 과제가치, 학습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평가학회 28 (28): 879-902, 2015

      26 지은림, "교사의 수업 및 평가활동이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교육학회 24 (24): 165-184, 2011

      27 김종백, "교사와 학생의 교사-학생 관계 지각이 학생의 수업이해에 미치는 영향: 교사의 직무만족과 학생의 또래 및 부모신뢰를 배경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245-267, 2014

      28 박현정, "과학 수업에서의 탐구 활동 및 교사 피드백에 대한 학생 인식 유형: 학생-학교수준 영향요인 및 정의적 특성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31 (31): 557-582, 2018

      29 주정흔, "‘즐거운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천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교육인류학회 13 (13): 71-102, 2010

      30 Brookhart, S. M., "Testing a theory about the role of classroom assessment in student motivation and achievement" 12 (12): 409-425, 1999

      31 Brown, G. T., "Students’ conceptions of assessment: Links to outcomes" 15 (15): 3-17, 2008

      32 Brown, G. T., "Student conceptions of feedback : Impact on self-regulation,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86 : 606-629, 2016

      33 Brookhart, S. M., "SAGE handbook of research on classroom assessment" SAGE 35-54, 2013

      34 Clark, S. L., "Relating latent class analysis results to variables not included in the analysis"

      35 Smith, H., "Opening classroom interaction : the importance of feedback" 36 (36): 485-502, 2006

      36 Muthén, B. O., "Mplus Version 8.1 [Software]"

      37 Alderman, M. K., "Motivation for achievement: Possibilities for teaching and learning" Routledge 2008

      38 Greenleaf, E. A., "Improving rating scale measures by detecting and correcting bias components in some response styles" 29 (29): 176-, 1992

      39 Lipnevich, A. A., "Handbook of Human and Social Conditions in Assessment" Routledge 169-185, 2016

      40 McMillan, J. H., "Handbook of Human and Social Conditions in Assessment" Routledge 221-243, 2016

      41 Nagin, D. S., "Group-based modeling of develop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2005

      42 Shute, V. J., "Focus on formative feedback" 78 (78): 153-189, 2008

      43 Wigfield, A., "Expectancy–value theory of achievement motivation" 25 (25): 68-81, 2000

      44 Gentry, M., "Examining perceptions of challenge and choice in classrooms :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their students and comparisons between gifted students and other students" 46 (46): 145-155, 2002

      45 Reeve, J., "Enhancing students' engagement by increasing teachers' autonomy support" 28 (28): 147-169, 2004

      46 Butler, R., "Effects of task and ego achievement goals on help-seeking behaviors and attitudes" 87 (87): 261-, 1995

      47 Pat-El, R., "Effects of formative feedback on intrinsic motivation : Examining ethnic differences" 22 (22): 449-454, 2012

      48 Poulos, A., "Effectiveness of feedback : The students’ perspective" 33 (33): 143-154, 2008

      49 Black, P., "Developing the theory of formative assessment" 21 (21): 5-31, 2009

      50 Asparouhov, T., "Auxiliary variables in mixture modeling : Three-step approaches using M plus" 21 (21): 329-341, 2014

      51 Black, P., "Assessment and classroom learning" 5 (5): 7-74, 1998

      52 Nagin, D. S., "Analyzing developmental trajectories: a semiparametric, group-based approach" 4 (4): 139-, 1999

      53 Jung, T., "An introduction to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and growth mixture modeling" 2 (2): 302-317, 2008

      54 Brookhart, S. M.,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role of classroom assessment in motivating student effort and achievement" 10 (10): 161-180, 1997

      55 Merz, E. L., "A latent profile analysis of the Five Factor Model of personality : Modeling trait interactions" 51 (51): 915-919, 2011

      56 Lipnevich, A. A., ""I really need feedback to learn : "students’ perspective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differential feedback messages. Educational Assessment" 21 (21): 347-,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0.9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2 1.03 1.646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