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강원 북부 해안 화강암 구릉에 발달한 풍화 와지의 특성과 암석 강도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rock strength of weathering pits on coastal granite hills in northern part of Gangwon provi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750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풍화 와지에 대한 상당수의 연구는 그 형상과 특성 및 분포에 대해 강조점이 주어졌으며, 형성 과정을 해명할 수 있는 암석의 특성과 연관된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뤄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

      풍화 와지에 대한 상당수의 연구는 그 형상과 특성 및 분포에 대해 강조점이 주어졌으며, 형성 과정을 해명할 수 있는 암석의 특성과 연관된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뤄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고성군 문암리의 해안 화강암 암체에 발달한 암석 분지 형태 와지와 타포니를 대상으로 그 형상의 특성과 암석의 강도 특성을 조사 하였다. 연구 지역의 풍화 와지는 지형적인 환경에 따라서 해발 고도가 낮은 곳을 중심으로 형성되어있으며, 완경사 부분이나 평탄한 면보다는 상대적으로 경사가 급한 곳이나 급경사면에 형성되어 나타난다. 완경사면에 형성된 와지들은 암석 분지와 유사한 형태로 나타났는데, 이 지형들은 원래 천정이 있는 타포니 형태의 지형이었다가 천정부분이 붕괴되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반발 강도를 기준으로 볼 때 주변부에 비하여 와지 내부의 암석 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급경사면에 나타나는 풍화 와지들은 전형적인 타포니들로 처마가 존재하는 경우가 많으며 절리를 경계로 하여 절리 부근의 암석은 격벽의 형태를 지니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내부의 암석 강도는 전반적으로 주변 지역에 비하여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st of studies on the weathering pits or tafoni in Korea have been focused on the morphology and spatial distribution of those microforms. Only limited number of researches analized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rocks in relation t...

      Most of studies on the weathering pits or tafoni in Korea have been focused on the morphology and spatial distribution of those microforms. Only limited number of researches analized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rocks in relation to forming processes. Rock strength of the bedrock and form of the weathering pit or tafoni on the granite hill on the coast of Munam-ri, Gosung-gun, Gangwon Province are measured in this study. Most of weathering pits or tafoni are found from the low altitude area near of mean sea level. Slope angle of the area where most weathering forms are found are steeper than other parts. For the relatively gentle slopes, weathering pit or bock basin features are dominant and it is assumed that it was evolved from the tafoni or alveoli which have cover and visor. Collapsing of the cover of tafoni or alveoli changed to rock basin. The floor of the weathering pit showed higher rebound value with Schmidt hammer. Weathering forms on the steeper slope have cover and visor which is characteristic of tafoni. The compartments are formed along joint and those changed to the undulated part of wall of tafoni as a result of coalescence of two or more tafoni. Inner wall of tafone has lower rebound values than those of outside of the tafoni.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경근, "화강암 풍화미지형의 연구동향과 과제" 26 : 84-100, 2007

      2 Ikeda, H, "화강암 지형의 세계" 한울아카데미 2002

      3 황상일, "한반도 중부 동해안 석호 및 주변 유역의 지형특성과 하구부 퇴적환경" 한국지형학회 15 (15): 17-33, 2008

      4 김주환, "한국의 화강암에 발달된 Salt Weathering 현상에 관한 기후지형학적 연구" 4 (4): 29-53, 1978

      5 조화룡, "한국의 충적평야" 교학연구사 1987

      6 백홍기, "중부동해안지역 선사유적의분포특성과 지형환경-주문진-양양지역을 중심으로" 50 : 135-160, 1997

      7 김선웅, "울산 이진리 미문상화강암의 암석학적 및 지형학적 특성 연구" 한국암석학회 18 (18): 211-221, 2009

      8 박경, "서해안과 도서지역에 나타나는 타포니 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학회 16 (16): 73-84, 2009

      9 김종연, "기반암 하상 미지형과 슈미트 해머 반발 값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지형학회 19 (19): 51-69, 2012

      10 조득룡, "고성-간성 도폭 지질조사 보고서(축척 1:50,00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98

      1 박경근, "화강암 풍화미지형의 연구동향과 과제" 26 : 84-100, 2007

      2 Ikeda, H, "화강암 지형의 세계" 한울아카데미 2002

      3 황상일, "한반도 중부 동해안 석호 및 주변 유역의 지형특성과 하구부 퇴적환경" 한국지형학회 15 (15): 17-33, 2008

      4 김주환, "한국의 화강암에 발달된 Salt Weathering 현상에 관한 기후지형학적 연구" 4 (4): 29-53, 1978

      5 조화룡, "한국의 충적평야" 교학연구사 1987

      6 백홍기, "중부동해안지역 선사유적의분포특성과 지형환경-주문진-양양지역을 중심으로" 50 : 135-160, 1997

      7 김선웅, "울산 이진리 미문상화강암의 암석학적 및 지형학적 특성 연구" 한국암석학회 18 (18): 211-221, 2009

      8 박경, "서해안과 도서지역에 나타나는 타포니 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학회 16 (16): 73-84, 2009

      9 김종연, "기반암 하상 미지형과 슈미트 해머 반발 값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지형학회 19 (19): 51-69, 2012

      10 조득룡, "고성-간성 도폭 지질조사 보고서(축척 1:50,00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98

      11 오건환, "강원도중부(주문진-양양) 해안평야의 형성과정과 고환경" 10 (10): 53-68, 1996

      12 김수경, "강원도 동해안 문암리 해안지층의 제4기 후기 퇴적층서와 환경" 서울대학교 2002

      13 김건영, "강원도 고성-속초지역 흑운모 화강암 및 심부 시추코어의 암석화학" 102 : 2004

      14 Mol, L, "The role of rock surface hardness and internal moisture in tafoni development in sandstone" 2252-, 2011

      15 Goudie A. S, "The Schmidt hammer in geomorphological research" 30 : 703-718, 2006

      16 Ikeda, H, "Tafoni topography and its development process as seen in the Jhumonjin area of the Northeastern coastal Korean Peninsular" 18 : 49-66, 1989

      17 Meller, A, "Tafoni in the El Chorro area, Andalucia, southern Spain" 22 : 817-833, 1997

      18 Strini, A, "Tafoni development in a cryotic environment : an example from Northern Victoria Land, Antarctica" 33 : 1502-1519, 2008

      19 Cˇerná, B, "Surface and sub-surface Schmidt hammer rebound value variation for a granite outcrop" 36 : 170-179, 2011

      20 Grab, S, "Rock doughnut and pothole structures of the Clarens Fm. Sandstone in the Karoo Basin, South Africa: Possible links to Lower Jurassic fluid seepage" 131 : 14-27, 2011

      21 Trenhail, A. S, "Rock coasts, with particular emphasis on shore platforms" 48 : 7-22, 2002

      22 Mcbride, E.F, "Origin and development of tafoni in Tunnel spring tuff, Crystal peak, Utah, USA" 25 : 869-879, 2000

      23 Curry, A. M, "Lateglacial and Holocene talus slope development and rock wall retreat on Mynydd du, U.K" 58 : 85-106, 2004

      24 Selby, M. J, "Hillslope materials and processes"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25 McKinley, J.M, "Gypsum formation in non-calcareous building sandstone: A case study of Scrabo sandstone" 26 : 869-875, 2001

      26 Sancho, C, "Factors controlling tafoni weathering in the Ebro basin(NE Spain)" 34 : 167-177, 1990

      27 Robinson, D, "Experimental weathering of sandstone by combinations of salts" 25 : 1309-1315, 2000

      28 Matukura, Y, "Effect of rock hardness and moisture content on tafoni weathering in the granite mount Doeg-sung, Korea" 82 (82): 59-67, 2000

      29 Conca, J. L, "Core softening in cavernously weathered tonalite" 93 : 59-73, 1985

      30 Dill, H. G, "Constraining the physical-.chemical conditions of Pleistocene cavernous weathering in Late Paleozoic granites" 121 : 283-290, 2010

      31 ISRM, "Commission on standardization of laboratory and field tests. Suggested methods for determining hardness and abrasiveness of rocks" 15 : 89-97, 1978

      32 Campbell, S. W, "Chemical weathering associated with tafoni at Pagoda park, central Arizona" 24 : 271-278, 1999

      33 Witlow, R, "Bornhardt micro-geomorphology: form and origin of micro-valleys and rimmed gutters, Domboshava, Zimbabwe" 32 : 179-194, 1988

      34 Mustoe, G. E, "Biogenic origin of coastal honeycomb weathering" 35 : 424-434,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 0.71 0.769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