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7세기 후반 淸의 정세 변화와 숙종의 武人 양성 — 閱武와 觀武才를 중심으로 — = The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during the Qing Dynasty and the Training of Military Officers by King Sukjong of Joseon in the Late 17th Centu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158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late 17th century, having obtained information on the battles between Russia, the Mongols, and the Qing, the court of Joseon predicted the defeat of the Qing and the resulting security crisis in the northern frontier region of Joseon. In respon...

      In the late 17th century, having obtained information on the battles between Russia, the Mongols, and the Qing, the court of Joseon predicted the defeat of the Qing and the resulting security crisis in the northern frontier region of Joseon. In response, King Sukjong tried to reinforce Namhan and Bukhan Mountain fortresses and Ganghwa Island, and promote the training of military officers through Royal Military Inspection (Yeolmu) and Royal Military Examination (Guanmujae).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these special military inspections and military examinations attended by the king were concentrated during the wars between Russia, the Mongols and the Qing. King Sukjong attempted to increase the military readiness and enhance the bond and loyalty of the army through direct contact with military officers. Yeolmu and Guanmujae were effective ways to increase King Sukjong’s dignity by reaffirming his command while building trust between the king and his military officers.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

      .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성무, "한국의 과거제도" 한국일보사 1976

      2 조좌호, "한국사 10" 국사편찬위원회 1977

      3 피터 C. 퍼듀, "중국의 서진" 도서출판 길 2005

      4 이희환, "조선후기당쟁연구" 國學資料院 1995

      5 정해은, "조선후기 무과의 직부전시" 31 : 1995

      6 배우성, "조선후기 국토관과 천화관의 변화" 일지사 1998

      7 노영구, "조선후기 漢城에서의 閱武 시행과 그 의미 -大閱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학연구소 (32) : 1-34, 2008

      8 백기인, "조선조 국왕의 열병 형태와 그 성격"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7 (27): 33-62, 2006

      9 심승구, "조선전기의 觀武才 연구" 65 : 2005

      10 정해은, "조선의 무관과 양반사회" 역사산책 2020

      1 이성무, "한국의 과거제도" 한국일보사 1976

      2 조좌호, "한국사 10" 국사편찬위원회 1977

      3 피터 C. 퍼듀, "중국의 서진" 도서출판 길 2005

      4 이희환, "조선후기당쟁연구" 國學資料院 1995

      5 정해은, "조선후기 무과의 직부전시" 31 : 1995

      6 배우성, "조선후기 국토관과 천화관의 변화" 일지사 1998

      7 노영구, "조선후기 漢城에서의 閱武 시행과 그 의미 -大閱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학연구소 (32) : 1-34, 2008

      8 백기인, "조선조 국왕의 열병 형태와 그 성격"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7 (27): 33-62, 2006

      9 심승구, "조선전기의 觀武才 연구" 65 : 2005

      10 정해은, "조선의 무관과 양반사회" 역사산책 2020

      11 심승구, "조선시대 사냥의 추이와 특성-講武와 捉虎를 중심으로-" 한국역사민속학회 (24) : 165-197, 2007

      12 차문섭, "조선시대 군제 연구" 단국대학교출판부 1973

      13 차문섭, "조선시대 군사관계 연구" 단국대학교출판부 1996

      14 정재훈, "조선시대 국왕의례에 대한 연구 – 강무(講武)를 중심으로 –" 한국사상문화학회 (50) : 225-248, 2009

      15 노영구, "조선시대 국왕의 열병 광경과 그 절차" 28 : 2004

      16 이규철 ; 이종오, "조선시대 강무(講武)의 메가이벤트적 성격과 강무콘텐츠 제작·활용 방안"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37) : 25-41, 2018

      17 이태진, "조선 후기의 정치와 군영제변천" 한국연구원 1985

      18 심승구, "조선 후기의 수도방위 체제" 서울학연구소 1998

      19 최효식, "조선 후기 군제사 연구" 신서원 1995

      20 김미성, "조선 현종~숙종 연간 기후 재난의 여파와 유민(流民) 대책의 변화" 한국역사연구회 (118) : 99-135, 2020

      21 이현수, "조선 초기 강무 시행사례와 군사적 기능"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45) : 233-264, 2002

      22 김우진, "숙종의 대청인식과 수도권 방어정책" 민속원 2022

      23 김우진, "숙종대 몽고‧러시아에 대한 知識情報 분석" 인문학연구원 (37) : 65-104, 2018

      24 박도식, "박성봉교수회갑기념논총" 1987

      25 間野潛龍, "강희제" 人物往來社 1967

      26 "試藝謄錄(奎12911)"

      27 "訓局謄錄(K2-3400)"

      28 "萬機要覽"

      29 "聖祖仁皇帝親征平定朔漠方略"

      30 "經國大典"

      31 "科擧謄錄"

      32 "禁衛營謄錄(K2-3292)"

      33 "朝鮮王朝實錄"

      34 김동진, "朝鮮前期 講武의 施行과 捕虎政策" 조선시대사학회 (40) : 93-132, 2007

      35 "承政院日記"

      36 "御營廳擧動謄錄(K2-3344)"

      37 吉林省檔案學會, "孝莊太后為何死后37年不下葬" 55 : 2010

      38 "增補文獻備考"

      39 "國朝五禮儀"

      40 "勅使謄錄(奎12904)"

      41 "備邊司謄錄"

      42 홍성구, "『朝鮮王朝實錄』에 비친 17세기 내륙아시아 정세와 ‘寧古塔回歸說’" 중국사학회 (69) : 273-307, 2010

      43 김문기, "17세기 중국과 조선의 재해와 기근" 이화사학연구소 (43) : 71-129, 2011

      44 김문기, "17세기 中國과 朝鮮의 小氷期 氣候變動" 부산경남사학회 (77) : 133-194, 2010

      45 조병노, "17~18세기 남한산성의 재수축에 관한 일고찰" 1 : 1997

      46 송미령, "17-18세기 조선정부의 몽골 이해" 중국사학회 (62) : 137-167,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4 1.24 1.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0.86 1.883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