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외교는 자국의 이익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정부와 연계하여 정부는 물론 국민 모두가 참여하여 외교관의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문화외교는 공공 외교의 하위개념이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공공외교는 자국의 이익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정부와 연계하여 정부는 물론 국민 모두가 참여하여 외교관의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문화외교는 공공 외교의 하위개념이다...
공공외교는 자국의 이익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정부와 연계하여 정부는 물론 국민 모두가 참여하여 외교관의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문화외교는 공공 외교의 하위개념이다. 공공외교가 차용하여 활용하는 문화교류에 대해서는 보수적 견 해와 진보적 견해가 해석을 달리 하고 있다. 또한, 공공외교의 하나로서 정부가 추진 하는 문화교류는 교류 대상으로서 선정된 문화의 대표성과 정부의 의도로 인해 국제 사회의 갈등을 야기하기도 한다. 따라서 성공적인 공공외교는 문화우월주의를 경계하 고, 외국문화 수용에도 적극적이어야 한다. 게다가 현 시대는 통신기술의 발달과 전 세계 문화의 교류로 인해 세대 간의 단절이 더 심각한 문제로 나타난다. 그러나 문화교류는 자국의 인지도를 높이고 홍보하며 자국에 대한 지지도를 제고하는 데에 대단히 효과적인 수단이다. 국제사회에서 한국은 아직 많이 알려지지 않았다. 조사결과는 현재 한류가 한국문화를 대표하며, 한국문화를 접한 외국인은 한국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는다. 특히 이들은 한국에 대한 호감과 함께 한국산 제품 구매에 도 적극적이다. 성공적인 공공외교를 위해서는 싸이의 강남스타일처럼 공공외교 정책 이슈의 수립부터 확산과 지지까지 모두의 참여를 유도하는 공공외교의 과정이 요청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문화체육관광부, "해외한류조사결과 보고-아시아, 미주, 유럽지역대상-" 2012
2 세계일보, "한류타고...올 방한 관광객 1130만 명 전망"
3 이준웅, "한류의 커뮤니케이션 효과: 중국인의 한국 문화상품 이용이 한국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47 (47): 1-35, 2003
4 김문환, "한류의 문화정책: 문화 외교적 관점에서" (69) : 2006
5 아사히신문, "한류관련 설문조사, 2012년 8월 중순 조사, 조사대상자 3,146명 온라인조사"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2012
6 홍성태, "한류가 한국산 제품에 대한 평가 및 구매의도에 미친 영향: 일본시장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마케팅관리학회 12 (12): 71-90, 2007
7 한충민, "한류가 한국 화장품 브랜드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류 광고 vs. 국가이미지 효과" 한국경영학회 40 (40): 1055-1074, 2011
8 황인석, "한국 드라마 만족도의 중국 내 한류 효과- 한국 휴대폰 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마케팅학회 9 (9): 245-270, 2008
9 김명섭, "프랑스의 문화외교: 미테랑대통령집권기(1981-1995)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7 (37): 343-364, 2003
10 김성섭, "태국사회에서 한류 대중문화 상품이 한국의 국가이미지 인식과 한국 방문의향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23 (23): 101-125, 2009
1 문화체육관광부, "해외한류조사결과 보고-아시아, 미주, 유럽지역대상-" 2012
2 세계일보, "한류타고...올 방한 관광객 1130만 명 전망"
3 이준웅, "한류의 커뮤니케이션 효과: 중국인의 한국 문화상품 이용이 한국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47 (47): 1-35, 2003
4 김문환, "한류의 문화정책: 문화 외교적 관점에서" (69) : 2006
5 아사히신문, "한류관련 설문조사, 2012년 8월 중순 조사, 조사대상자 3,146명 온라인조사"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2012
6 홍성태, "한류가 한국산 제품에 대한 평가 및 구매의도에 미친 영향: 일본시장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마케팅관리학회 12 (12): 71-90, 2007
7 한충민, "한류가 한국 화장품 브랜드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류 광고 vs. 국가이미지 효과" 한국경영학회 40 (40): 1055-1074, 2011
8 황인석, "한국 드라마 만족도의 중국 내 한류 효과- 한국 휴대폰 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마케팅학회 9 (9): 245-270, 2008
9 김명섭, "프랑스의 문화외교: 미테랑대통령집권기(1981-1995)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7 (37): 343-364, 2003
10 김성섭, "태국사회에서 한류 대중문화 상품이 한국의 국가이미지 인식과 한국 방문의향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23 (23): 101-125, 2009
11 정형식, "중국시장에서 소비자의 한류지각이 한국상품 구매 및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자학회 17 (17): 79-102, 2006
12 이운영, "일본 내 한류가 원산지효과에 미친 영향" 한국통상정보학회 8 (8): 237-261, 2006
13 배일현, "우즈베키스탄 시장에서의 한류열풍이 한국제품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국제지역학회 16 (16): 175-195, 2012
14 배일현, "엔터테인먼트상품의 성공으로 인한 한류열풍이 한국제품의 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국제지역학회 12 (12): 175-201, 2008
15 중앙뉴스, "싸이, ‘강남스타일’, 유튜브 조회 수 3억 건 돌파"
16 Pressian, "싸이 강남스타일이 선공한 진짜 이유?"
17 국가브랜드위원회, "문화한류를 통한 전략적 국가브랜드맵 작성연구" 2011
18 배일현, "문화콘텐츠 제품의 성공을 통한 태국시장에서의 한류확산전략" 한국상품학회 29 (29): 21-32, 2011
19 홍기원, "문화정책의 관점에서 문화외교의 논쟁적 요소들에 대한 고찰" 한국예술경영학회 (18) : 67-93, 2011
20 김문환, "문화외교의 사상적 기초-두개의 문화국가론과 연관하여" (174) : 2000
21 "뉴스타운"
22 "나라지표"
23 "U.S. Department of State, Under Secretary for Public Diplomacy an Public Affairs"
24 "U. S. Department of State, dictiona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Terms, Washington, D.C"
25 Wolf, Charles ,Jr., "Public Diplomacy: How to Think About and Improve It" RAND-Initiated Research
26 "PSY-Gangnam Style M/V"
27 Dubosclard, Alain, "Les Principles de l’action culturelle exterieure de la France aux États-Unis au vingtième siècle L' Essai de definition, In Entre Rayonnement et Reciprocite: Contributions a l’histoire de la Diplomatie Culturelle" Publication de la Sorbonne 2002
28 Dubosclard, Alain, "Diplomatie culturelle et propagande rançaises aux États-Unis pendant le premier vingtième siècle" Societe d'Histoire Moderne et Contemporaine 48 (48): 2001
29 Magaret Mead, "Culture and Commitment" Doubleday 1978
30 DongA.com, "CNN도 뚫은 싸이"
방폐장 유치 주민투표의 정치,사회적 심리와 향후 정책과제 -경주 사례 분석-
멕시코 경제회복의 정치경제: -지속가능한 경제회복을 저해하는 정치구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3-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09-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8 | 0.68 | 0.6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65 | 0.904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