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업가정신과 진로인식간의 교육 프로그램 만족도의 매개효과 연구 - 창업영재캠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Mediating Effect of Educational Program Satisfaction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Career Recognition - Focusing on the Founding Bizcool Startup Camp Program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243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 중 하나인 창업영재캠프를 중심으로 청소년 기업가정신의 함양수준 및 효과성을 검증하고 기업가정신 수준이 진로인식의 변화에 어떤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 중 하나인 창업영재캠프를 중심으로 청소년 기업가정신의 함양수준 및 효과성을 검증하고 기업가정신 수준이 진로인식의 변화에 어떤 영향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서 향후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활성화 및 진로교육을 위한 상호 연계 협력 방안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가설은 기업가정신이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 관계, 기업가정신과 진로인식 관계에서 프로그램 만족도의 매개효과,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의 기업가정신 변화차이 등이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기업가정신의 구성요소인 혁신성, 위험감수성, 진취성, 자율성, 성취욕구 등의 모든 요소가 진로인식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기업가정신과 진로인식 관계에서 프로그램 만족도의 매개효과 분석결과 혁신성, 진취성, 자율성, 성취욕구 등이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위험감수성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가정신 교육 전과 후의 변화차이를 분석한 결과 기업가정신의 모든 구성요소들이 정(+)의 유의한 변화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고려할 때 현재의 기업가정신 교육의 방식과 내용에 있어 보다 학생의 참여와 체험중심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정부부처 내에 기업가정신 교육 협의체 등을 다양한 이해관계가자 참여하여 조정 운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여 소프트웨어 교육 및 기업가정신 교육, 진로교육이 종합적으로 연계 운영될 경우 보다 효과적인 교육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and effectiveness of youth entrepreneurship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level and career change perceptions, And suggested ways of mutual cooperation and cooperation for a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and effectiveness of youth entrepreneurship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level and career change perceptions, And suggested ways of mutual cooperation and cooperation for activat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The research hypothesis is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on career recogn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program satisfaction on entrepreneurship and career awareness, and the difference in entrepreneurship change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First, all factors such as innovativeness, risk sensitivity, entrepreneurship, autonomy, achievement desire, etc., Which are components of entrepreneurship, have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recogni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program satisfaction on entrepreneurship and career recognition has positive effects on innovativeness, enthusiasm, autonomy and achievement desire. However, the risk sensitivity was not significan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change before and after entrepreneurship education, all components of entrepreneurship were analyzed as positive (+). Considering thes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urrent method and conten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o focus on student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Second, it is necessary to coordinate and manage entrepreneurship education councils in government ministries with various stakeholders. Third, it is expected that future-oriented education will be possible if software educati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are integrated and operated in preparation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균택, "초등학생의 진로 인식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경영관리대학원 2001

      2 하문선, "초기 남자청소년의 도구성, 힘․성취에 대한 욕구와자아존중감의 관계 : 지각된 학업성취를 매개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1 (21): 389-411, 2013

      3 하현정, "청소년 창업교육이 기업가정신, 진로의식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4 박재희, "청소년 창업교육(Bizcool) 참여 여부와 창업, 진로인식간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5 김진수,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실태조사" 창업진흥원 2014

      6 김송숙,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설계에 관한 연구" 국민대 2017

      7 조윤희, "창업자의 기업가정신이 엔젤투자평가에 미치는 영향 : 창업교육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2013

      8 문경목, "창업교육(Bizcool) 만족도가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벤처창업학회 8 (8): 9-23, 2013

      9 이상화, "창업가정신, 창업역량이 창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플로우(Flow)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10 (10): 137-150, 2015

      10 교육과학기술부, "진로교육 5개년 기본계획"

      1 임균택, "초등학생의 진로 인식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경영관리대학원 2001

      2 하문선, "초기 남자청소년의 도구성, 힘․성취에 대한 욕구와자아존중감의 관계 : 지각된 학업성취를 매개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1 (21): 389-411, 2013

      3 하현정, "청소년 창업교육이 기업가정신, 진로의식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4 박재희, "청소년 창업교육(Bizcool) 참여 여부와 창업, 진로인식간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5 김진수,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실태조사" 창업진흥원 2014

      6 김송숙,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설계에 관한 연구" 국민대 2017

      7 조윤희, "창업자의 기업가정신이 엔젤투자평가에 미치는 영향 : 창업교육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2013

      8 문경목, "창업교육(Bizcool) 만족도가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벤처창업학회 8 (8): 9-23, 2013

      9 이상화, "창업가정신, 창업역량이 창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플로우(Flow)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10 (10): 137-150, 2015

      10 교육과학기술부, "진로교육 5개년 기본계획"

      11 이춘우, "조직앙트라프러뉴십의 역할과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 자원기초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9

      12 김동일, "잠재계층분석을 이용한 지적장애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특성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50 (50): 41-61, 2015

      13 김경회, "예비 서비스 창업자의 동기요인이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대학교 수강자를 중심으로-" 대한경영정보학회 30 (30): 511-537, 2011

      14 고재윤, "실업계 고등학교의 창업교육 효과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5 강원덕, "성취동기, 직업가치, 진로장벽이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6 박윤희, "상업계 고등학교에서의 창업교육 활성화 연구" 2 (2): 117-143, 2001

      17 신진교, "산업클러스터의 체계성과 중소기업의 기업가정신, R&D역량 및 기술혁신" 대한경영정보학회 33 (33): 171-188, 2014

      18 최선정, "비즈쿨(Bizcool) 프로그램을 이용한 실업계 고등학생의 진로 지도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9 박상용, "벤처기업 CEO의 기업가정신과조직유효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혁신성, 위험감수성, 진취성을 중심으로 -" 한국기술혁신학회 7 (7): 479-505, 2004

      20 박광오, "대학의 창업교육이 학생들의 창업의지에 미치는영향" 대한경영정보학회 33 (33): 233-247, 2014

      21 이우진, "대학의 창업교육 품질이 교육만족도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28 (28): 105-131, 2013

      22 조준희, "대학생의 창업가 특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경영인학회 17 (17): 109-126, 2014

      23 조영준,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대학 창업교육 만족도를 매개효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197-208, 2014

      24 한정화, "기업가정신 교육 활성화 포럼"

      25 이정호, "기업가 정신, 조직구조, 조직문화 및 조직성과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5

      26 Miller, D., "The correlates of entrepreneurship in three types of firms" 29 (29): 770-791, 1983

      27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51 (51): 1177-, 1986

      28 Stevenson H., "The Entrepreneurial Ventur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9

      29 Feldman, D. C., "Skill Utilization of Overseas Interns:Antecedents and Consequences" 6 : 29-47, 2000

      30 Drucker, P. F., "Post-Capitalist Society" Harper Press 1993

      31 Roseman, P. M., "Post modernism and the social sciences Insights, inroads. and intrusions" NJ Prinston University Press 1992

      32 Damanpour, F.,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performance The problem of organizational lag" 29 : 392-409, 1994

      33 Rauch M., "Let's put the person back into entrepreneurship research : A meta-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owners' personality traits, business creation, and success" 16 (16): 353-385, 2007

      34 Downs, G. W., "Innovation research and public policy" 75-100, 1980

      35 West, M. A., "Innovation and creativity at wort Psychological and organizational strategies" John Wiley & Sons 3-13, 1989

      36 Sexton D. L., "Female and male entrepreneurs :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ir role in gender-related discrimination" 5 (5): 29-36, 1991

      37 Baron, R. A., "Entrepreneurship: A Process Perspective" Thomson South-Western 2005

      38 Czop, K.,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veness : in search of the interrelationships" 10 (10): 156-175, 2011

      39 Rogers, E., "Diffusion of innovations" Free Press 1995

      40 Lumpkin, G. T., "Clarifying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Construct and Linking it to Performance" 21 (21): 135-172, 1996

      41 Van de ven, A. H., "Central Problems in the management of innovation" 32 : 590-607, 1986

      42 Stewart, T. A., "Brainpower: How Intellectual Capital is Becoming America's Most Valuable Asset"

      43 정의정, "Bizcool 창업교육과 연계한 진로탐색교육 효과분석" 한국벤처창업학회 9 (9): 89-95, 2014

      44 Van G. M., "Autonomy as a start-up motive" 13 (13): 23-32, 2006

      45 Gartner, W. B., "A Plausible History and Exploration of Stevenson’s Definition of Entrepreneurship" 30 (30): 2-, 2010

      46 Covin, J. G., "A Conceptual Model of Entrepreneurship Firm Behavior" 16 (16): 7-25, 1991

      47 류지은, "4년제 이공계 여대생의 진로장벽 인식과 진로타협유형화 연구" 서울대학교 2016

      48 교육과학기술부, "2017년 업무계획"

      49 창업진흥원, "2017년 업무계획"

      50 한국경제연구원, "2016년 한국의 기업가정신 지수 추정"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경영정보연구 -> 경영과 정보연구
      외국어명 : Management Information Review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8 0.98 0.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0.97 1.06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