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골의 「무서운 복수」에 나타난 서사의 이중구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266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골은 러시아 소설의 형성기에 살았으며, 소설의 형성화에 직접적으로 관계된 작가 가운데 한 사람이다. 특히 고골은 다양한 서사 기법과 서사자를 시험함으로써 소설의 서사 형식에 다양...

      고골은 러시아 소설의 형성기에 살았으며, 소설의 형성화에 직접적으로 관계된 작가 가운데 한 사람이다. 특히 고골은 다양한 서사 기법과 서사자를 시험함으로써 소설의 서사 형식에 다양화를 보여주었다. 『지칸카 근교 야회』에 수록된 작품 「무서운 복수」 역시 대비적인 서사 기법으로 구성되며, 이것은 작품의 독특한 분위기 형성에 한 몫을 한다.
      이때 대비적인 서사는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역사적이고 사실적인 주인공인 다닐로는 대체로 자세하고 유머러스하게 묘사되어 독자에게 친근감을 불러일으킨다. 반면 장인은 주로 집약적으로 기술되고, 그에게 공포가 스며있다. 다닐로가 죽고 난 후에 서사자가 장인에게 한층 더 집중하면서, 작품의 서사는 보다 환상적이고 유머 없이 리드미컬하게 전개된다. 이와 같은 대비적인 서사는 다닐로의 영웅적 행위에 대한 감정을 고조시키는 반면 장인에게는 거리감을 두면서, 작품의 비극성을 강화시킨다.
      마지막 장인 16장에서 고골은 눈먼 장님인 반두라 연주자라는 새로운 서사자를 창조한다. 이 서사자는 노래를 통해 장인의 행위와 불행을 설명한다. 당시 고골은 우크라이나 노래가 ‘역사’라고 불릴 수 있으며 실제 삶과 연관된다고 주장한 바 있다. 따라서 고골은 노래로 된 서사를 통해 이 이야기를 일반적인 삶의 문제로 만들고자 한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무서운 복수」에 나타난 복잡한 대비적 서사 구조에 주목하여 작품이 지닌 특징에 접근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결과가 고골의 시학과 서사 기법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tudies the narrative strategies and the narrators in “A Terrible Vengeance” written by Nicolai Gogol. Gogol was one of writers who lived in the formative period of the Russian novels and was directly involved in forming Russian novels....

      This paper studies the narrative strategies and the narrators in “A Terrible Vengeance” written by Nicolai Gogol. Gogol was one of writers who lived in the formative period of the Russian novels and was directly involved in forming Russian novels. His works are worth studying not only for their contents but also for their forms. Gogol is well-known for using a variety of narrative techniques and narrators. In particular, “A Terrible Vengeance” is composed of contrasting narrative techniques and narrators.
      These contrasting narrativ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characters. A historic and realistic hero, Danilo is described in detail and with humor. Readers witness the Cossacks’ life and feel a sense of closeness toward them. In contrast, Danilo’s father-in-law is depicted intensively and the description of him creates an atmosphere of terror that permeates the entire story. After Danilo’s death, the narrative focuses on his father-in-law, so the story is followed in fantastic and rhythmic prose without humor. These contrasting narratives make readers sympathize with Danilo and the Cossacks and get the tragic emotions heightened.
      In epilogue, Gogol created a new narrator, who is blind and play the bandura. This narrator sings a folktale, which can explain the father-in-law`s behavior and unhappiness. At that time, Gogol stated that Ukrainian folksongs are called history and related to real life. Therefore, he intended to make this story an essential and universal issue through his narrative.
      This research focuses on Gogol`s complex narrative structures with contrasting moods and approaches his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help understand Gogol`s poetics and his evolutionary process bett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I. 서론
      • II. 본론
      • Ⅲ.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요약
      • I. 서론
      • II. 본론
      • Ⅲ.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Чуприна, И.И, "「Страшная месть」 Н.В.Гоголя:п роблемы аксиологи и сторический контекст”// Филологические науки 9"

      2 한국현대소설학회, "현대소설론" 평민사 2006

      3 한일섭, "서사의 이론" 한국문화사 2009

      4 이희원, "문학작품의 구성과 시점" 13 (13): 2001

      5 이강은, "러시아 소설의 형식적 불안정과 화자" 경북대학교출판부 2015

      6 조혜경, "경계'의 시학: 고골의 <타라스 불리바> 연구" 한국노어노문학회 16 (16): 451-469, 2004

      7 Бахтин, М, "Эстетика словесного творчества" Искусство 1979

      8 Машинский С, "Художесвенный мир гоголя" просвещение 1971

      9 Тамарченко,Н. Д, "Теоретическая поэтика" РГГу 2002

      10 Бахтин, М, "Творчство Франсуа Рабле и народная культура средновекобья и ренессанса" Художественная литература 1990

      1 Чуприна, И.И, "「Страшная месть」 Н.В.Гоголя:п роблемы аксиологи и сторический контекст”// Филологические науки 9"

      2 한국현대소설학회, "현대소설론" 평민사 2006

      3 한일섭, "서사의 이론" 한국문화사 2009

      4 이희원, "문학작품의 구성과 시점" 13 (13): 2001

      5 이강은, "러시아 소설의 형식적 불안정과 화자" 경북대학교출판부 2015

      6 조혜경, "경계'의 시학: 고골의 <타라스 불리바> 연구" 한국노어노문학회 16 (16): 451-469, 2004

      7 Бахтин, М, "Эстетика словесного творчества" Искусство 1979

      8 Машинский С, "Художесвенный мир гоголя" просвещение 1971

      9 Тамарченко,Н. Д, "Теоретическая поэтика" РГГу 2002

      10 Бахтин, М, "Творчство Франсуа Рабле и народная культура средновекобья и ренессанса" Художественная литература 1990

      11 Белинский, В. Г,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в девяти томах, том первый" художественная литература 1976

      12 Гоголь, Н. В, "Соб. соч. в восьми томах" Правда 1984

      13 Заманова, И. Ф, "Пространство и время. Учебное пособие для студентов - филологических специальностей университетов и педвузов" БелГУ 2001

      14 Гоголь, Н. В, "Проблемы истории критики и поэтика реализма" Куйбшев 1981

      15 Филонов, Е, "Поэтика нарратива сборник статей" С-Петерб уни-т 2011

      16 Манн, Ю, "Поэтика гоголя Вариации к теме" Сода 1996

      17 Винонрадов, В. В, "О теории художественной речи" высшая школа 1971

      18 Лотман Ю. М, "О русской литературе статьи и исследование;история русской прозы, теория литератур" Исскуство 1997

      19 Софронова Л. А, "Мифопоэтика раннего Гоголя" Алетейя 2010

      20 Белый, A, "Мастерство Гоголя" МАЛП 1996

      21 Корман Б. О, "Изучение текста художественного произведения" просвещение 1972

      22 Поспелов Г. Н, "Гоголя" Государсвенное учебно- педогогическое издательстов 1953

      23 Karlinsky, S, "The Sexual Labyrinth of Nikolai Gogol" The Univ of Chicago Press 1976

      24 Fanger, D, "The Creation of Nikolai Gogol"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25 Terras Victop, "Handbook of Russian Literature" Yale Univ 1985

      26 Гоголь, Н. В, "Cоб. cоч. в восьми томах" Правда 198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6 0.16 0.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 0.19 0.37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