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상운송인의 화재면책의 의의와 요건 - 대법원 2019. 8. 29. 선고 2015다220627 판결 - = The Significance and Requirements of the Carrier's Exemption from Liability for Fire - Supreme Court Decision 2015Da220627, Decided on Aug. 29, 2019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상법 제795조 제2항에 따라 해상운송인이 화재로 인한 운송물의 손해에 대해 면책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요건이 구비되어야 한다. 먼저 상법 제794조에서규정하는 해상운송인의 감항능력 주의의무는 상법상 운송인의 다른 주의의무에 우선하는 의무이므로, 운송인이 화재면책을 주장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감항능력 주의의무를 해태하지 않았다는 사실에 대해 증명하여야 한다. 나아가 상법제795조 제1항은, 운송인이 운송물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을 면하기 위해서는 운송물의 보관 및 운송 등 상사적 주의의무를 다하였다는 사실을 증명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운송물에 대한 손해가 상법 제795조 제1항에서 규정한 운송인의 주의의무를 위반하여 발생한 때에는 운송인의 화재면책은 인정되기 어렵다. 상법 제795조 제2항의 해석과 관련하여 다수의 견해와 판례는 화재가 반드시 선박 내에서 발생할 것을 요구하지 않지만, 상법상 해상운송인의 화재면책의 입법취지를 고려한다면 육상에서의 화재의 경우에는 화재면책을 부인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한편 상법 제795조 제2항은 운송인 자신의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화재에 대해서만 운송인이 책임을 부담하므로, 해원 등 선박사용인의 과실로 인한 손해에 대해서는 운송인이 면책되는 것은 당연하다. 다만 운송인의 화재면책은 운송인 자신의 고의 또는 과실이 없을 것을 요건으로 하지만, 상법은 운송인의 고의 또는 과실의 증명책임의 배분에 대해서는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해상운송인과 손해배상청구권자 사이의 증명책임의 배분에 관한 상법 제794조 및 제795조 제1항의 규정의 취지와 대부분의 경우운송인의 과실을 증명하기 위한 증거가 운송인에게 편재되어 있는 사정 등을 고려하면, 운송인의 화재면책을 위해서는 운송인이 자신의 무과실에 대한 증명책임을 부담한다고 해석하여야 한다.
      번역하기

      상법 제795조 제2항에 따라 해상운송인이 화재로 인한 운송물의 손해에 대해 면책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요건이 구비되어야 한다. 먼저 상법 제794조에서규정하는 해상운송인의 감항능력 주...

      상법 제795조 제2항에 따라 해상운송인이 화재로 인한 운송물의 손해에 대해 면책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요건이 구비되어야 한다. 먼저 상법 제794조에서규정하는 해상운송인의 감항능력 주의의무는 상법상 운송인의 다른 주의의무에 우선하는 의무이므로, 운송인이 화재면책을 주장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감항능력 주의의무를 해태하지 않았다는 사실에 대해 증명하여야 한다. 나아가 상법제795조 제1항은, 운송인이 운송물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을 면하기 위해서는 운송물의 보관 및 운송 등 상사적 주의의무를 다하였다는 사실을 증명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운송물에 대한 손해가 상법 제795조 제1항에서 규정한 운송인의 주의의무를 위반하여 발생한 때에는 운송인의 화재면책은 인정되기 어렵다. 상법 제795조 제2항의 해석과 관련하여 다수의 견해와 판례는 화재가 반드시 선박 내에서 발생할 것을 요구하지 않지만, 상법상 해상운송인의 화재면책의 입법취지를 고려한다면 육상에서의 화재의 경우에는 화재면책을 부인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한편 상법 제795조 제2항은 운송인 자신의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화재에 대해서만 운송인이 책임을 부담하므로, 해원 등 선박사용인의 과실로 인한 손해에 대해서는 운송인이 면책되는 것은 당연하다. 다만 운송인의 화재면책은 운송인 자신의 고의 또는 과실이 없을 것을 요건으로 하지만, 상법은 운송인의 고의 또는 과실의 증명책임의 배분에 대해서는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해상운송인과 손해배상청구권자 사이의 증명책임의 배분에 관한 상법 제794조 및 제795조 제1항의 규정의 취지와 대부분의 경우운송인의 과실을 증명하기 위한 증거가 운송인에게 편재되어 있는 사정 등을 고려하면, 운송인의 화재면책을 위해서는 운송인이 자신의 무과실에 대한 증명책임을 부담한다고 해석하여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cording to Article 795, Paragraph 2 of the Commercial Code, in order for a carrier to be exempt from liability for damage to goods caused by fire, several requirements must be met. Firstly, the duty of care regarding sea-worthiness of the vessel stipulated in Article 794 of the Commercial Code takes precedence over other duties of care imposed on carriers under the Commercial Code. Therefore, in order for the carrier to assert an exemption from liability for fire, they must prove that they did not neglect their duty of care regarding sea-worthiness. Furthermore, Article 795, Paragraph 1 of the Commercial Code requires that in order for the carrier to be exempt from liability for damages to goods, they must prove that they fulfilled their commercial duty of care regarding the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goods. Therefore, if damage to goods occurs due to a violation of the carrier's duty of care as stipulated in Article 795, Paragraph 1 of the Commercial Code, the carrier's exemption from liability for fire is unlikely to be recognized.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795, Paragraph 2 of the Commercial Code, majority of opinions and precedents suggest that it is not necessary for the fire to occur exclusively on the vessel. However, considering the legislative intent behind the carrier's exemption from liability for the fire under the Commercial Code, it would be reasonable to deny such exemption in cases of the fire occurring on land. On the other hand, Article 795, Paragraph 2 of the Commercial Code states that the carrier is only liable for fires caused by their own intent or negligence, so it is natural that the carrier is exempt from liability for damages caused by the negligence of crew members or other employees of the vessel. However, the carrier's exemption from liability for fire requires that there be no intent or negligence on the carrier, but the Commercial Code does not explicitly stipulate the allocation of the burden of proof regarding the carrier's intent or negligence. Considering the circumstances in which evidence to prove the carrier's negligence is predominantly in the possession of the carrier, as well as the legislative intent of Articles 794 and 795(1) of the Commercial Code regarding the allocation of the burden of proof between the carrier and the claimant for damages,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the carrier bears the burden of proof regarding the fact that they had no intent or negligence in order to be exempt from liability for fire.
      번역하기

      According to Article 795, Paragraph 2 of the Commercial Code, in order for a carrier to be exempt from liability for damage to goods caused by fire, several requirements must be met. Firstly, the duty of care regarding sea-worthiness of the vessel sti...

      According to Article 795, Paragraph 2 of the Commercial Code, in order for a carrier to be exempt from liability for damage to goods caused by fire, several requirements must be met. Firstly, the duty of care regarding sea-worthiness of the vessel stipulated in Article 794 of the Commercial Code takes precedence over other duties of care imposed on carriers under the Commercial Code. Therefore, in order for the carrier to assert an exemption from liability for fire, they must prove that they did not neglect their duty of care regarding sea-worthiness. Furthermore, Article 795, Paragraph 1 of the Commercial Code requires that in order for the carrier to be exempt from liability for damages to goods, they must prove that they fulfilled their commercial duty of care regarding the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goods. Therefore, if damage to goods occurs due to a violation of the carrier's duty of care as stipulated in Article 795, Paragraph 1 of the Commercial Code, the carrier's exemption from liability for fire is unlikely to be recognized.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795, Paragraph 2 of the Commercial Code, majority of opinions and precedents suggest that it is not necessary for the fire to occur exclusively on the vessel. However, considering the legislative intent behind the carrier's exemption from liability for the fire under the Commercial Code, it would be reasonable to deny such exemption in cases of the fire occurring on land. On the other hand, Article 795, Paragraph 2 of the Commercial Code states that the carrier is only liable for fires caused by their own intent or negligence, so it is natural that the carrier is exempt from liability for damages caused by the negligence of crew members or other employees of the vessel. However, the carrier's exemption from liability for fire requires that there be no intent or negligence on the carrier, but the Commercial Code does not explicitly stipulate the allocation of the burden of proof regarding the carrier's intent or negligence. Considering the circumstances in which evidence to prove the carrier's negligence is predominantly in the possession of the carrier, as well as the legislative intent of Articles 794 and 795(1) of the Commercial Code regarding the allocation of the burden of proof between the carrier and the claimant for damages,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the carrier bears the burden of proof regarding the fact that they had no intent or negligence in order to be exempt from liability for fir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