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 캠퍼스 환경조각과 외부 공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서울 소재 대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of environment sculpture and outside space in campuses : focused on universities in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9759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서울시립대학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 조경학과 , 2018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525.9 판사항(6)

      • DDC

        712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 128 p. : 삽화, 지도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상석
        권말부록: 대학 캠퍼스 외부공간과 환경조각 특성 ; 대학 캠퍼스 환경조각 현황
        참고문헌: p. 102-103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등교육의 확산으로 매년 늘어나는 학생을 수용하기 위해여 대학 캠퍼스 외부 공간 개발 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생기고 있다. 서울시의 땅값이 오르면서 학교는 캠퍼스를 확장하지 못하고, 학교 시설 및 건물이 한 장된 공간에 세워지고 있다. 하지만 급격히 늘어나는 학생들을 수용하기에는 환경이 부족하며, 건물이 밀집된 공간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도 지속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캠퍼스 외부공간에서 오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키기 위해 캠퍼스 내에 환경조각이 설치된 외부공간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환경조각이 설치된 외부공간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어 왔지만, 조각공원 그리고 도시공간과 건축공간에서의 조사로 한정되었다. 또한 환경조각이 설치되어 있는 외부공간에 위치와 공간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환경조각과 대학 캠퍼스의 외부공간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려고 한다. 서울시에 있는 4년제 대학교 23곳을 선발하여서 101개소의 환경조각이 설치되어 있는 공간을 조사하였다. 환경조각의 특성과 외부공간의 특성을 도출하고, 그 두 항목을 교차 분석하여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 항목을 구축하였다.
      환경조각이 설치된 대학 캠퍼스 외부공간은 위치, 행태, 진입방법으로 나누었고, 환경조각의 특성은 규모, 재료, 색채, 양식적 특성, 기능으로 분류된다. 조사해온 서울시 대학 캠퍼스의 환경조각 조성 공간의 특성과 환경조각의 특성 항목을 가지고 교차분석을 하여 관계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른 환경조각과 외부공간을 조사한 연구와는 달리 대학 캠퍼스라 외부공간이라는 특이성에 중심을 두어 체계적으로 외부공간과 환경조각을 조사하였고, 두 사이의 관계성을 도출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대학 캠퍼스를 이용하고 있는 학생과 지역주민들에게 필요한 환경조각 설치 공간을 만들기 위한 조성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고등교육의 확산으로 매년 늘어나는 학생을 수용하기 위해여 대학 캠퍼스 외부 공간 개발 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생기고 있다. 서울시의 땅값이 오르면서 학교는 캠퍼스를 확장하지 ...

      고등교육의 확산으로 매년 늘어나는 학생을 수용하기 위해여 대학 캠퍼스 외부 공간 개발 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생기고 있다. 서울시의 땅값이 오르면서 학교는 캠퍼스를 확장하지 못하고, 학교 시설 및 건물이 한 장된 공간에 세워지고 있다. 하지만 급격히 늘어나는 학생들을 수용하기에는 환경이 부족하며, 건물이 밀집된 공간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도 지속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캠퍼스 외부공간에서 오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키기 위해 캠퍼스 내에 환경조각이 설치된 외부공간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환경조각이 설치된 외부공간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어 왔지만, 조각공원 그리고 도시공간과 건축공간에서의 조사로 한정되었다. 또한 환경조각이 설치되어 있는 외부공간에 위치와 공간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환경조각과 대학 캠퍼스의 외부공간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려고 한다. 서울시에 있는 4년제 대학교 23곳을 선발하여서 101개소의 환경조각이 설치되어 있는 공간을 조사하였다. 환경조각의 특성과 외부공간의 특성을 도출하고, 그 두 항목을 교차 분석하여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 항목을 구축하였다.
      환경조각이 설치된 대학 캠퍼스 외부공간은 위치, 행태, 진입방법으로 나누었고, 환경조각의 특성은 규모, 재료, 색채, 양식적 특성, 기능으로 분류된다. 조사해온 서울시 대학 캠퍼스의 환경조각 조성 공간의 특성과 환경조각의 특성 항목을 가지고 교차분석을 하여 관계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른 환경조각과 외부공간을 조사한 연구와는 달리 대학 캠퍼스라 외부공간이라는 특이성에 중심을 두어 체계적으로 외부공간과 환경조각을 조사하였고, 두 사이의 관계성을 도출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대학 캠퍼스를 이용하고 있는 학생과 지역주민들에게 필요한 환경조각 설치 공간을 만들기 위한 조성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each year as it accommodates more students has resulted in several problems in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campus outside spaces. As the land prices rose in Seoul, universities could not afford to expand their campuses . So universities built facilities and buildings of study in one space. However, the environment is not good enough to accommodate the rapidly growing students and problems began to appear steadily in crowded spaces. Reduce the negative impact of these campus spaces, university is required outside space which built in environment sculpture in campuses.
      So far,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on the outside spaces built in environmental sculptures, but the research has limited to research in sculpture park and urban spaces and architectural spaces. They also analyzed the location and character of the space in the outside space where environmental sculptures are installed.
      This thesis conducted a study on environmental sculpture and outside space in the university campus. It has selected 23 four-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investigated the space on which 101 pieces of the environment sculptures were installed to deriv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sculpture and outside space
      The two characteristics items were cross-analysis and research items were created to determine their relevance. The outside space in campus which an environmental sculpture is installed is divided by the location and the method of entry into the campus.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sculptures are classified as size, material, color, form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allation outside spa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vironment sculpture at the university campus in Seoul were used to cross-reference and draw relevance.
      In this study, project focused on the uniqueness of outside space in the university campuses. This project systematically examined outside space and environment sculpture and find out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characters.
      Based on these results, It provides directions for formation to create the environmental sculptures and outside spaces for students and local residents on campus.
      번역하기

      The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each year as it accommodates more students has resulted in several problems in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campus outside spaces. As the land prices rose in Seoul, universities could not afford to expand their campu...

      The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each year as it accommodates more students has resulted in several problems in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campus outside spaces. As the land prices rose in Seoul, universities could not afford to expand their campuses . So universities built facilities and buildings of study in one space. However, the environment is not good enough to accommodate the rapidly growing students and problems began to appear steadily in crowded spaces. Reduce the negative impact of these campus spaces, university is required outside space which built in environment sculpture in campuses.
      So far,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on the outside spaces built in environmental sculptures, but the research has limited to research in sculpture park and urban spaces and architectural spaces. They also analyzed the location and character of the space in the outside space where environmental sculptures are installed.
      This thesis conducted a study on environmental sculpture and outside space in the university campus. It has selected 23 four-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investigated the space on which 101 pieces of the environment sculptures were installed to deriv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sculpture and outside space
      The two characteristics items were cross-analysis and research items were created to determine their relevance. The outside space in campus which an environmental sculpture is installed is divided by the location and the method of entry into the campus.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sculptures are classified as size, material, color, form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allation outside spa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vironment sculpture at the university campus in Seoul were used to cross-reference and draw relevance.
      In this study, project focused on the uniqueness of outside space in the university campuses. This project systematically examined outside space and environment sculpture and find out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characters.
      Based on these results, It provides directions for formation to create the environmental sculptures and outside spaces for students and local residents on campu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 제 2 절 연구의 범위 3
      • 1. 내용적 범위 3
      • 목 차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 제 2 절 연구의 범위 3
      • 1. 내용적 범위 3
      • 2. 공간적 범위 4
      • 제 3 절 연구의 방법 6
      • 제 2 장 이론적 고찰 9
      • 제 1 절 선행 연구 고찰 9
      • 1. 대학 캠퍼스에 관련 연구 9
      • 2. 환경조각 관련 연구 13
      • 3. 종합 16
      • 제 2 절 대학 캠퍼스의 관한 고찰 16
      • 1. 대학 캠퍼스의 개념 및 배경 16
      • 2. 대학 캠퍼스의 유형 18
      • 3. 서울시 소재 대학 캠퍼스의 특성 및 현황 19
      • 제 3 절 환경조각의 관한 고찰 23
      • 1. 환경조각의 개념 및 배경 23
      • 2. 환경조각 관련 법규 및 설치기준 24
      • 3. 환경조각 조성 공간의 환경 현황 25
      • 제 3 장 연구의 틀 30
      • 제 1 절 대학 캠퍼스 조각 설치 공간 특성 30
      • 1. 대학 캠퍼스의 공간적 성격 32
      • 2. 대학 캠퍼스 공간의 형태적 특성 34
      • 제 2 절 대학 캠퍼스에 설치된 환경조각의 특성 35
      • 1. 환경조각의 형태적 요소 35
      • 2. 환경조각의 재료 요소 37
      • 3. 환경조각의 표현 양식 38
      • 4. 환경 조각의 기능 39
      • 제 3 절 분석의 틀 41
      • 제 4 장 대학 캠퍼스의 환경조각과 외부공간의 특성분석 44
      • 제 1 절 환경조각이 설치된 대학 캠퍼스 외부공간의 특성 44
      • 1. 환경조각의 설치된 외부공간의 위치 44
      • 2. 환경조각이 설치된 외부공간의 형태 50
      • 3. 환경조각이 설치된 외부공간의 진입방법 51
      • 제 2 절 대학 캠퍼스에 설치된 환경조각의 특성 52
      • 1. 환경조각의 규모 52
      • 2. 환경조각의 재료 특성 56
      • 3. 환경조각의 색채 특성 65
      • 4. 환경조각의 양식적 특성 68
      • 5. 환경조각의 기능 73
      • 제 5 장 대학 캠퍼스의 외부공간과 환경조각의 특성 78
      • 제 1 절 외부공간의 위치와 환경조각의 관계 78
      • 제 2 절 공간의 형태적 특성과 조각의 관계 87
      • 제 3 절 공간의 진입방법과 조각의 관계 95
      • 제 6 장 결론 97
      • ▪ 참고문헌 100
      • ▪ 부록 1 102
      • ▪ 부록 2 1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