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교육에서 고전소설 수록과 활용 방안 : 일반목적 및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에 제재화된 작품을 중심으로 = Premodern Korean fiction work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Focusing on fiction work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foreign learn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937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일반목적 및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에 반영된 고전소설의 수용 양상을 분석하여 한국어 교육에서 고전소설의 활용 방안을 모색한다. 교재에 수록된 작품은 <흥부전>, <...

      이 연구에서는 일반목적 및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에 반영된 고전소설의 수용 양상을 분석하여 한국어 교육에서 고전소설의 활용 방안을 모색한다. 교재에 수록된 작품은 <흥부전>, <춘향전>, <심청전>, <토끼전>, <홍길동전>, <콩쥐팥쥐전> 6편이며 이 중에서 <흥부전>, <춘향전>, <심청전>이 반복적으로 사용되었다. 학문 목적 교재에서는 <심청전> 한 작품만이 예시로 언급되어 선행 연구가 권장한 십수 편의 작품을 현행 교재가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확장된 작품을 수록하려는 교재에서는 미수록 권장 작품을 중심으로 학습자 수준에 맞춘 축약본을 고려할 수 있겠다. 작품 수록 형식은 모두 다시 쓰기 방식이었고 양상은 전문, 축약, 발췌본 중에서 축약본이 가장 일반적이었다. 기존 축약본은 전통사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초래할 수 있는 부분의 왜곡이나 삭제, 일방향적인 주제 전달, 전문(全文)을 읽어야 풀이가 가능한 학습활동이 제시되는 경향이 있어 주의를 요한다. 축약본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희곡형 및 강의형을 활용할 수 있다. 희곡형은 대사가 많은 작품 각색에 적절하며 전근대의 문화 일반과 어긋나지 않은 각색과 해설자를 통한 전체 작품 설명이 필요하다. 강의형은 현대와 다른 가치관을 내포하여 현대 학습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작품의 활용에 적절하며 당대의 문화를 긍정적으로만 해석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다운, "한국학 전공 대학원생들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342-352, 2011

      2 류종렬, "한국어교재의 한국문학 텍스트 수록 현황과 방향" 한중인문학회 345-360, 2011

      3 백인자, "한국어교육에서의 고전문학교육" 이화여자대학교 22 : 61-83, 2004

      4 강충화, "한국어교육에서의 고전문학 활용과 교육 :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4

      5 윤여탁 ; 유영미 ; 박은숙, "한국어교육에서 한국문학 정전 목록 선정 연구 - 한국, 미국, 중국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연구소 (34) : 359-388, 2014

      6 이인화, "한국어교육 교재의 문학작품 수록 양상 분석" 한국어교육학회 (166) : 237-278, 2019

      7 김혜진,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적 문식력 신장을 위한 고전소설 교육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337-374, 2018

      8 이소영 ; 고경민,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문학작품의 적합성 판단과 기준 - 한국어 연수생의 문학작품 수업을 바탕으로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5 (5): 85-118, 2011

      9 박지순 ; 김유미, "한국어 교육에서의 고전 문학 활용 양상 분석 - 교재에 제재화된 고전 산문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8 (18): 103-138, 2022

      10 오세정, "한국 전래동화에 나타난 설화 다시 쓰기의 문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8 (18): 5-29, 2014

      1 정다운, "한국학 전공 대학원생들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342-352, 2011

      2 류종렬, "한국어교재의 한국문학 텍스트 수록 현황과 방향" 한중인문학회 345-360, 2011

      3 백인자, "한국어교육에서의 고전문학교육" 이화여자대학교 22 : 61-83, 2004

      4 강충화, "한국어교육에서의 고전문학 활용과 교육 :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4

      5 윤여탁 ; 유영미 ; 박은숙, "한국어교육에서 한국문학 정전 목록 선정 연구 - 한국, 미국, 중국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연구소 (34) : 359-388, 2014

      6 이인화, "한국어교육 교재의 문학작품 수록 양상 분석" 한국어교육학회 (166) : 237-278, 2019

      7 김혜진,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적 문식력 신장을 위한 고전소설 교육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337-374, 2018

      8 이소영 ; 고경민,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문학작품의 적합성 판단과 기준 - 한국어 연수생의 문학작품 수업을 바탕으로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5 (5): 85-118, 2011

      9 박지순 ; 김유미, "한국어 교육에서의 고전 문학 활용 양상 분석 - 교재에 제재화된 고전 산문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8 (18): 103-138, 2022

      10 오세정, "한국 전래동화에 나타난 설화 다시 쓰기의 문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8 (18): 5-29, 2014

      11 신영지,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 교과목 개설 모색"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69-186, 2016

      12 차숙정, "학문 목적 한국어에서의 문화 교육 연구 동향" 한국교양교육학회 15 (15): 297-307, 2021

      13 김미진, "판소리계열 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교육 연구" 전북대학교 2015

      14 서유경, "읽기 교육에서의 문학 텍스트 활용 탐색" 한국문학교육학회 (31) : 31-54, 2010

      15 양민정,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 교육 방안 연구- 한국 고전문학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센터 9 (9): 101-125, 2006

      16 김민라,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고전문학 교육 방법"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 : 15-32, 2015

      17 윤여탁, "외국어로서의 한국문학교육" 한국문화사 1-283, 2007

      18 강문희, "아동문학교육" 학지사 1-393, 1997

      19 강현화, "문화교수의 쟁점을 통해서 본 문화교수의 방향성 모색"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7 (7): 1-30, 2010

      20 신동일 ; 지현숙, "문화·예술·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둔 한국학 교육과정의 재설계" 국어교육연구소 (36) : 149-178, 2015

      21 주은정,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연구 : 초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2 양민정, "고전소설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법"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7 (7): 279-303, 2003

      23 한성금, "고전설화를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육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 : 165-186, 2015

      24 장원기, "고전문학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25 이정원, "고전문학과 한국어·한국문화교육" 집문당 161-184, 2017

      26 정선희, "고전문학과 한국어·한국문화 교육" 집문당 261-288, 2017

      27 조용호, "고전문학과 한국어·한국문화 교육" 집문당 37-70, 2017

      28 하윤섭, "고전문학과 한국어·한국문화 교육" 집문당 239-260, 2017

      29 홍혜준, "고전 작품을 통한 한국어 문화 교육 연구" 국어교육학회 (21) : 529-555,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7-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 1.44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