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저항성 트레이닝이 40대 성인 비만 여성의 신체 조성, 혈관 염증 인자 및 마이오카인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Resistanc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Factors of Vascular inflammation and Myokine of obese female in 4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880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성인 비만 여성을 대상으로 13주간 저항성 트레이닝이 신체 조성. 혈중 염증 인자 및 마이오카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40세 이상의 성인 비만 여성 19명으로, 저항성 트레이닝 집단(10명)과 통제 집단(9명)으로, 저항성 트레이닝은 1RM의 60 % 강도로 10회씩 3set의 운동을 실행하였으며 1일 훈련 프로그램은 준비운동 10분, 본운동 50분, 정리운동 10분으로 주 3회 빈도로 13주간 적용하였다.
      결과: 저항성 트레이닝 집단의 신체 조성 변인인 체중, 신체질량지수 및 체지방률은 유의하게 저하하였나, 제지방량은 유의하게 상승하였다(p<.05). 혈관 염증 인자 변인인 아디포넥틴은 유의하게 상승하였으며(p<.05), 마이오카인 변인인 이리신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인터류킨-6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결론: 비만은 신체 조성, 혈중 염증 인자 그리고 마이오카인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생각되며, 본 연구에서구성한 저항성 트레이닝은 40대 성인 비만 여성들의 비만, 혈관 염증 및 대사질환 예방과 면역기능 향상에효과적인 운동 형태인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는 성인 비만 여성을 대상으로 13주간 저항성 트레이닝이 신체 조성. 혈중 염증 인자 및 마이오카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40세 이상의 성인 비만 여성...

      목적: 본 연구는 성인 비만 여성을 대상으로 13주간 저항성 트레이닝이 신체 조성. 혈중 염증 인자 및 마이오카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40세 이상의 성인 비만 여성 19명으로, 저항성 트레이닝 집단(10명)과 통제 집단(9명)으로, 저항성 트레이닝은 1RM의 60 % 강도로 10회씩 3set의 운동을 실행하였으며 1일 훈련 프로그램은 준비운동 10분, 본운동 50분, 정리운동 10분으로 주 3회 빈도로 13주간 적용하였다.
      결과: 저항성 트레이닝 집단의 신체 조성 변인인 체중, 신체질량지수 및 체지방률은 유의하게 저하하였나, 제지방량은 유의하게 상승하였다(p<.05). 혈관 염증 인자 변인인 아디포넥틴은 유의하게 상승하였으며(p<.05), 마이오카인 변인인 이리신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인터류킨-6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결론: 비만은 신체 조성, 혈중 염증 인자 그리고 마이오카인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생각되며, 본 연구에서구성한 저항성 트레이닝은 40대 성인 비만 여성들의 비만, 혈관 염증 및 대사질환 예방과 면역기능 향상에효과적인 운동 형태인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resistance training for 13 weeks on body composition, factors of vascular inflammation and myokine responses in adult obese women.
      Methods: Nineteen adult obese women were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s subjects, an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resistance training group(n=10) or control group(n=9). The subjects in resistance training program for intensity of 60% 1RM, three times per week for 13 weeks. Exercise programs were strictly prohibited in the control group, and all participants were asked to sustain their ordinary physical activity pattern and dietary intake throughout the intervention period.
      Results: Main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ile weight, BMI and % body fat were markedly decreased, % lean body mass was markedly increased in resistance training group. Second, the levels of adiponectin significantly increased in resistance training group. Third, While the concentration of irisin was markedly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Interleukin-6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resistance training group.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hat long-term resistance training would be beneficial for body composition, factors of vascular inflammation and myokine responses in adult obese women.
      번역하기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resistance training for 13 weeks on body composition, factors of vascular inflammation and myokine responses in adult obese women. Methods: Nineteen adult obese women were volunteered to particip...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resistance training for 13 weeks on body composition, factors of vascular inflammation and myokine responses in adult obese women.
      Methods: Nineteen adult obese women were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s subjects, an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resistance training group(n=10) or control group(n=9). The subjects in resistance training program for intensity of 60% 1RM, three times per week for 13 weeks. Exercise programs were strictly prohibited in the control group, and all participants were asked to sustain their ordinary physical activity pattern and dietary intake throughout the intervention period.
      Results: Main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ile weight, BMI and % body fat were markedly decreased, % lean body mass was markedly increased in resistance training group. Second, the levels of adiponectin significantly increased in resistance training group. Third, While the concentration of irisin was markedly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Interleukin-6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resistance training group.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hat long-term resistance training would be beneficial for body composition, factors of vascular inflammation and myokine responses in adult obese wome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