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는 성인 비만 여성을 대상으로 13주간 저항성 트레이닝이 신체 조성. 혈중 염증 인자 및 마이오카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40세 이상의 성인 비만 여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88069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31-141(1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성인 비만 여성을 대상으로 13주간 저항성 트레이닝이 신체 조성. 혈중 염증 인자 및 마이오카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40세 이상의 성인 비만 여성...
목적: 본 연구는 성인 비만 여성을 대상으로 13주간 저항성 트레이닝이 신체 조성. 혈중 염증 인자 및 마이오카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40세 이상의 성인 비만 여성 19명으로, 저항성 트레이닝 집단(10명)과 통제 집단(9명)으로, 저항성 트레이닝은 1RM의 60 % 강도로 10회씩 3set의 운동을 실행하였으며 1일 훈련 프로그램은 준비운동 10분, 본운동 50분, 정리운동 10분으로 주 3회 빈도로 13주간 적용하였다.
결과: 저항성 트레이닝 집단의 신체 조성 변인인 체중, 신체질량지수 및 체지방률은 유의하게 저하하였나, 제지방량은 유의하게 상승하였다(p<.05). 혈관 염증 인자 변인인 아디포넥틴은 유의하게 상승하였으며(p<.05), 마이오카인 변인인 이리신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인터류킨-6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결론: 비만은 신체 조성, 혈중 염증 인자 그리고 마이오카인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생각되며, 본 연구에서구성한 저항성 트레이닝은 40대 성인 비만 여성들의 비만, 혈관 염증 및 대사질환 예방과 면역기능 향상에효과적인 운동 형태인 것으로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resistance training for 13 weeks on body composition, factors of vascular inflammation and myokine responses in adult obese women. Methods: Nineteen adult obese women were volunteered to particip...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resistance training for 13 weeks on body composition, factors of vascular inflammation and myokine responses in adult obese women.
Methods: Nineteen adult obese women were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s subjects, an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resistance training group(n=10) or control group(n=9). The subjects in resistance training program for intensity of 60% 1RM, three times per week for 13 weeks. Exercise programs were strictly prohibited in the control group, and all participants were asked to sustain their ordinary physical activity pattern and dietary intake throughout the intervention period.
Results: Main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ile weight, BMI and % body fat were markedly decreased, % lean body mass was markedly increased in resistance training group. Second, the levels of adiponectin significantly increased in resistance training group. Third, While the concentration of irisin was markedly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Interleukin-6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resistance training group.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hat long-term resistance training would be beneficial for body composition, factors of vascular inflammation and myokine responses in adult obese women.
체육 교과서 변천 과정 및 해외 사례를 통한 시사점 탐색
청소년 골프선수가 지각한 코치 피드백 유형과 의도적 연습의 관계 : 스포츠 능력믿음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국민체력100 건강증진운동 프로그램 참여가 여성노인의 신체구성 지표 및 일상생활 체력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