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과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사전 학업성취도에 따라 문제해결력과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과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사전 학업성취도에 따라 문제해결력과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초등 수학과 문제중심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 사전 학업성취도, 문제해결력(문제이해력, 문제실행력, 문제반성력), 학습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2. 초등 수학과 문제중심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사전 학업성취도가 문제해결력(문제이해력, 문제실행력, 문제반성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초등 수학과 문제중심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사전 학업성취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의 남·여 6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검사 도구는 사전검사로서 학업성취도 검사와 자기조절학습능력 검사를 사용하였고, 사후검사로는 사후 문제해결력 검사와 학습만족도 검사를 사용하였다. 실험 수업은 주 4시간씩 3주에 걸쳐 12시간동안 정규 수업 시간 및 재량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자료 분석 방법은 첫째, 자기조절학습능력 검사, 사후 문제해결력 검사, 학습만족도 검사의 신뢰도를 구하기 위해 Cronbach α계수를 사용하였다. 둘째, 자기조절학습능력, 사전 학업성취도, 문제이해력, 문제실행력, 문제반성력 및 학습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사전 학업성취도가 문제이해력, 문제실행력, 문제반성력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투입형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학습능력, 사전 학업성취도, 문제해결력, 학습만족도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조절학습능력은 문제반성력, 학습만족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은 문제해결력의 세 가지 하위변인-문제이해력, 문제실행력, 문제반성력-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 학업성취도는 문제반성력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고와 보다 유연성 있는 문제해결능력을 기르는 데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사전 학업성취도 둘 다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학습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통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지식을 구성함으로써 학습흥미와 호기심이 높아지고, 학습의욕과 지적 만족감이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