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한국 여성노인의 잘 나이들기: 성숙한 노화 개념의 탐색 = Search for Aging Well in the Korean Elderly Woman: Moving toward Matured Aging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matured aging as an alternative concept of successful aging to guide aging well for the elderly woman in Korean culture. As Korea is going to aged society very fast, it is expected that aged women will take numerical superiority to aged men in over 65 years old people. Longevity is a bright side of aged society, but the dark side of it is rapid raise of social burden for young generations to take.
      We reviewed a variety of changes as we age and several theoretical models for successful aging constructed in Western cultures in section 3. Then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cultural differences based on the comparisons of components and influential factors of successful aging through 79 researches done in western and Korean cultures.
      In section 4, we present three possible concepts of aging well for Korean elderly woman: happy aging, positive aging and matured aging. For happy aging, warm and intimate human relationships is more important. In positive aging focused on growing and development as we age, we examined the power of positivism of such as gratitude and wisdom. Lastly, we suggested that matured aging as an alternative model of successful aging based on matured personality shown in Confucianism. Matured aging is to move toward the expansion of human existence from self-control, to harmonize human relations, and finally to taking the social responsibility.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necessity of re-conceptualization of aging well in terms of Korean culture. There is a distinction of between matured aging to be aimed at a harmonized happiness for both elderly's happiness and young people's happiness and successful aging to be mainly aimed at personal growth and well-being in western culture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matured aging as an alternative concept of successful aging to guide aging well for the elderly woman in Korean culture. As Korea is going to aged society very fast, it is expected that aged women will take numerical superiorit...

      This study examined the matured aging as an alternative concept of successful aging to guide aging well for the elderly woman in Korean culture. As Korea is going to aged society very fast, it is expected that aged women will take numerical superiority to aged men in over 65 years old people. Longevity is a bright side of aged society, but the dark side of it is rapid raise of social burden for young generations to take.
      We reviewed a variety of changes as we age and several theoretical models for successful aging constructed in Western cultures in section 3. Then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cultural differences based on the comparisons of components and influential factors of successful aging through 79 researches done in western and Korean cultures.
      In section 4, we present three possible concepts of aging well for Korean elderly woman: happy aging, positive aging and matured aging. For happy aging, warm and intimate human relationships is more important. In positive aging focused on growing and development as we age, we examined the power of positivism of such as gratitude and wisdom. Lastly, we suggested that matured aging as an alternative model of successful aging based on matured personality shown in Confucianism. Matured aging is to move toward the expansion of human existence from self-control, to harmonize human relations, and finally to taking the social responsibility.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necessity of re-conceptualization of aging well in terms of Korean culture. There is a distinction of between matured aging to be aimed at a harmonized happiness for both elderly's happiness and young people's happiness and successful aging to be mainly aimed at personal growth and well-being in western cultur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고령 사회의 주역이 될 한국 여성노인의 잘 나이들기를 안내하는 개념으로서 행복한 노화, 긍정적 노화, 성숙한 노화 개념에 관해 탐색해보고자 한다. 먼저 한국이 세계에서 가장 급속하게 고령화되고 있으며, 65세 이상의 인구에서 나타나는 남녀 비율의 확연한 차이를 통해 고령화의 주역이 여성노인임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급속한 고령화는 노인 개인의 행복추구 대 사회의 부담 증가라는 두 얼굴을 갖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3장에서는 연령에 따라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변화와 그 노화에 잘 대응하는 개념으로서 생산적 노화, 건강한 노화를 중심으로 한 서구의 성공적 노화 개념들을 소개하였다. 그러나 한국 노인의 경우 성공적 노화에서 자녀와 가족이 갖는 함의가 매우 크며, 욕심을 버리고 마음을 편안하게 하는 마음복이 한국인의 성공적 노화 요소에 포함되는 문화적 차이를 보여줌으로써 성공적 노화의 문화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4장에서는 한국 여성노인의 잘 나이들기를 안내하는 개념으로서 행복한 노화, 긍정적 노화, 그리고 성숙한 노화를 논의하였다. 행복한 노화란 돈과 건강과 같은 물질적 조건보다는 따뜻하고 친밀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것임을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고찰하였다. 긍정적 노화에서는 나이가 들수록 성장하고 발전되는 측면에 초점을 두어 노인에게서 감사와 지혜가 갖는 긍정의 힘을 고찰하였다. 끝으로 성숙한 노화 개념에서는 유학사상에서 제시하는 군자와 성인의 개념을 토대로 잘 나이들려면 자기수양에서 대인관계의 조화, 그리고 사회적 책무의 자임이라는 방향으로 확장을 고찰하였다.
      본 논문은 한국 여성의 잘 나이들기를 유학사상에 내포된 성숙인격과 연계시키는 시도를 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유학자들이 그리는 성숙한 노화 과정은 타인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그들을 배려하여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도 군자의 경지에 이르도록 도와줌으로써 인간이 추구해야 할 도 속에서 다른 사람과 자신의 일체화를 이루는 것인데, 이 점은 행복론과 긍정심리학에서 제안하는 긍극적 목표와 다르지 않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성숙한 노화 개념은 특정 관계에 있는 당사자 모두의 행복을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통합적 행복을 목표로 삼는다는 점에서 개인의 행복에 초점을 둔 서구의 성공적 노화 개념과 차이가 있다고 하겠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고령 사회의 주역이 될 한국 여성노인의 잘 나이들기를 안내하는 개념으로서 행복한 노화, 긍정적 노화, 성숙한 노화 개념에 관해 탐색해보고자 한다. 먼저 한국이 세계에서 가장 ...

      이 논문은 고령 사회의 주역이 될 한국 여성노인의 잘 나이들기를 안내하는 개념으로서 행복한 노화, 긍정적 노화, 성숙한 노화 개념에 관해 탐색해보고자 한다. 먼저 한국이 세계에서 가장 급속하게 고령화되고 있으며, 65세 이상의 인구에서 나타나는 남녀 비율의 확연한 차이를 통해 고령화의 주역이 여성노인임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급속한 고령화는 노인 개인의 행복추구 대 사회의 부담 증가라는 두 얼굴을 갖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3장에서는 연령에 따라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변화와 그 노화에 잘 대응하는 개념으로서 생산적 노화, 건강한 노화를 중심으로 한 서구의 성공적 노화 개념들을 소개하였다. 그러나 한국 노인의 경우 성공적 노화에서 자녀와 가족이 갖는 함의가 매우 크며, 욕심을 버리고 마음을 편안하게 하는 마음복이 한국인의 성공적 노화 요소에 포함되는 문화적 차이를 보여줌으로써 성공적 노화의 문화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4장에서는 한국 여성노인의 잘 나이들기를 안내하는 개념으로서 행복한 노화, 긍정적 노화, 그리고 성숙한 노화를 논의하였다. 행복한 노화란 돈과 건강과 같은 물질적 조건보다는 따뜻하고 친밀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것임을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고찰하였다. 긍정적 노화에서는 나이가 들수록 성장하고 발전되는 측면에 초점을 두어 노인에게서 감사와 지혜가 갖는 긍정의 힘을 고찰하였다. 끝으로 성숙한 노화 개념에서는 유학사상에서 제시하는 군자와 성인의 개념을 토대로 잘 나이들려면 자기수양에서 대인관계의 조화, 그리고 사회적 책무의 자임이라는 방향으로 확장을 고찰하였다.
      본 논문은 한국 여성의 잘 나이들기를 유학사상에 내포된 성숙인격과 연계시키는 시도를 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유학자들이 그리는 성숙한 노화 과정은 타인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그들을 배려하여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도 군자의 경지에 이르도록 도와줌으로써 인간이 추구해야 할 도 속에서 다른 사람과 자신의 일체화를 이루는 것인데, 이 점은 행복론과 긍정심리학에서 제안하는 긍극적 목표와 다르지 않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성숙한 노화 개념은 특정 관계에 있는 당사자 모두의 행복을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통합적 행복을 목표로 삼는다는 점에서 개인의 행복에 초점을 둔 서구의 성공적 노화 개념과 차이가 있다고 하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휘숙, "호위대 모델에 기초한 한국 중년 성인들의 가까운 사회적 관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4 (24): 1-18, 2011

      2 김민희, "한국인의 지혜 개념 탐색과 중노년기 삶에서 지혜의 의미" 서울대학교 2008

      3 강유진, "한국여성노인들의 노년기 적응과 노년기 삶의 모습에 대한 질적 연구" 대한가정학회 41 (41): 131-146, 2003

      4 백지은, "한국사회와 서구사회의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에 대한 비교 문화적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5 (25): 137-153, 2007

      5 김미혜,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에 대한 경험" 한국노년학회 24 (24): 79-95, 2004

      6 김영범, "한국노인의 가족관계망과 삶의 만족도: 서울 지역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4 (24): 169-185, 2004

      7 백지은, "한국노인들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비교문화적 접근" 이화여자대학교 2006

      8 최혜경, "한국 노인들의 기대에 따른 성공적인 노화: 개념 형성과 중재방안의 탐구" 한국가족관계학회 13 (13): 145-168, 2008

      9 이승혜, "정서의 구조 : 정서 단어의 심리학적 분석" 부산대학교 1990

      10 조긍호, "이상적 인간형론의 동ㆍ서 비교" 지식산업사 2006

      1 장휘숙, "호위대 모델에 기초한 한국 중년 성인들의 가까운 사회적 관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4 (24): 1-18, 2011

      2 김민희, "한국인의 지혜 개념 탐색과 중노년기 삶에서 지혜의 의미" 서울대학교 2008

      3 강유진, "한국여성노인들의 노년기 적응과 노년기 삶의 모습에 대한 질적 연구" 대한가정학회 41 (41): 131-146, 2003

      4 백지은, "한국사회와 서구사회의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에 대한 비교 문화적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5 (25): 137-153, 2007

      5 김미혜,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에 대한 경험" 한국노년학회 24 (24): 79-95, 2004

      6 김영범, "한국노인의 가족관계망과 삶의 만족도: 서울 지역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4 (24): 169-185, 2004

      7 백지은, "한국노인들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비교문화적 접근" 이화여자대학교 2006

      8 최혜경, "한국 노인들의 기대에 따른 성공적인 노화: 개념 형성과 중재방안의 탐구" 한국가족관계학회 13 (13): 145-168, 2008

      9 이승혜, "정서의 구조 : 정서 단어의 심리학적 분석" 부산대학교 1990

      10 조긍호, "이상적 인간형론의 동ㆍ서 비교" 지식산업사 2006

      11 김지선, "연리지(連理枝)로 그려지는 노년기 배우자의 의미" 이화여자대학교 2008

      12 통계청, "연령별(전국)추계인구" 통계청 2011

      13 장휘숙, "성인후기의 자아정체감 발달과 중재, In 발달심리학의 기초와 응용의 만남: 전생애적 관점에서" 129-143, 2006

      14 김성태, "성숙인격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1975

      15 이주일, "성공적인 한국 노인의 삶: 다학제 간 심층 인터뷰 사례" 박학사 2008

      16 Rowe, J. W, "성공적인 노화" 학지사 2001

      17 강 인, "성공적 노화의 지각에 관한 연구" 20 (20): 95-116,

      18 정병은, "성공적 노화에 대한 세대별 인식 조사연구: 사회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조사연구학회 11 (11): 45-69, 2010

      19 안정신, "성공적 노화 연구의 비판적 고찰"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4 (24): 35-54, 2011

      20 성혜영, "성공적 노화 개념의 인식에 관한 연구 - Q 방법론적 접근 -" 한국노년학회 22 (22): 75-93, 2002

      21 이수림, "상담자의 지혜와 상담과정 및 성과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2008

      22 전길양, "배우자 사별노인의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및 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38 (38): 155-170, 2000

      23 원영희, "동 별거 형태가 한국노인의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15 (15): 97-116, 1995

      24 홍승표, "노인혁명" 예문서원 2007

      25 박봉길, "노인학대 인식도 분석을 통한 사회사업원조전략" 부산대학교 2000

      26 김태현, "노인의 가족결속도와 효의식 및 우울에 관한 비교문화적 연구" 19 (19): 79-96, 1999

      27 최혜경, "노인들의 인식을 통한 한국적인 성공적 노화의 개념"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1-10, 2005

      28 정태연, "노년기의 외로움 및 생활만족도와 관련된 변인탐색" 한국노년학회 25 (25): 55-71, 2005

      29 정여진,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가족관계 변인이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30 (30): 535-550, 2010

      30 권석만, "긍정 심리학" 학지사 2008

      31 이민아, "결혼상태에 따른 노인의 우울도와 성차" 한국사회학회 44 (44): 32-62, 2010

      32 윤현숙, "가족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18) : 5-31, 2006

      33 Sternberg, R. J., "theories of intelligence, creativity, and wisdom" 49 : 607-627, 1985

      34 Holliday, S. G, "Wisdom: explorations in adult competence. Basel" Karger 1986

      35 Baltes,P.B, "Wisdom: Its nature, origins, and development" Cambridge University 87-120, 1990

      36 Orwoll, L., "Wisdom: Its nature, origins, and development" Cambridge University 160-177, 1990

      37 Sternberg, R. J, "Wisdom: Its nature, origin and development" Cambridge University 1990

      38 Baltes, P. B, "Wisdom: A metaheuristic(Pragmatic) to orchestrate mind and virtue toward excellence" 55 : 122-136, 2000

      39 Clayton,V.P, "Wisdom and intelligence: the nature and function of knowledge in the later years" 15 : 315-321, 1982

      40 Arens, D. A, "Widowhood and well-being: an examination of sex differences within a causal model" 15 : 27-40, 1982

      41 Umberson. D, "Widowhood and depression: explaining long-term gender differences in vulnerability" 33 : 10-24, 1992

      42 Sheldon, K. M, "Why positive psychology is necessary" 56 (56): 216-218, 2001

      43 Myers, D. G, "Who is happy" 6 : 10-19, 1995

      44 Breetvelt, I. S, "Underreporting by cancer patients: The case of response-shift" 32 : 981-987, 1991

      45 Waterman, A. S, "Two Conceptions of Happiness: Contrasts of Personal Expressiveness(Eudaimonia) and Hedonic Enjoyment" 64 (64): 678-691, 1993

      46 Maslow, A. H,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Van Nostrand 1968

      47 Headey, B, "Top-down versus bottom-up theories of subjective well-being" 24 : 81-100, 1991

      48 Cattell, R. B, "Theory of fluid and crystallized intelligence; A critical experiment" 54 : 1-22, 1963

      49 Baltes, P. B, "Theoretical propositions of life-span developmental psychology; On the dynamics between growth and decline" 23 : 611-626, 1987

      50 Deci, E. L., "The what and the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11 : 227-268, 2000

      51 Okun, M. A, "The social activity/subjective relationship: A quantitative synthesis" 6 : 45-65, 1984

      52 Campbell, A,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Russell Sage Foundation 1976

      53 Myers, D. G, "The pursuit of happiness" Avon Books 1992

      54 Piaget, J, "The psychology of the child" Basic Books 1969

      55 Triandis, H. C., "The psychological measurement of cultural syndromes" 51 : 407-415, 1996

      56 Baumeister, R. F, "The need to belong: Desire for interpersonal attachments as a fundamental human motivation" 117 : 497-529, 1995

      57 Keyes,C.L.M, "The mental health continuum:From languishing to flourishing in life" 43 : 207-222, 2002

      58 Berscheid, E., "Th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McGraw-Hill 913-281, 1998

      59 McCullough, M. E, "The grateful disposition: A conceptual and Empirical topography" 82 : 112-127, 2002

      60 Myers, D. G, "The funds, friends, and faith of happy people" 55 : 56-67, 2000

      61 McCraty, R, "The effects of emotion on short-term power spectrum analysis of heart tate variability" 76 : 1089-1093, 1995

      62 Mroczek, D. K, "The effects of daily stress, age, and personality on daily negative affect" 72 : 354-378, 2004

      63 Mroczek, D. K, "The efect of age on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 developmental perspective on happiness" 75 : 1333-1349, 1998

      64 Riegel, K. F, "The dialectics of human development" 31 : 689-700, 1976

      65 Ryff, C. D, "The contours of positive human health" 9 : 1-28, 1998

      66 Emmons, R. A, "The Psychology of ultimate concerns: Motivation and spirituality in personality" Guilford 1999

      67 Argyle, M, "The Psychology of Happiness" 1987

      68 Baddeley, A, "The Oxford handbook of memory" Oxford University 2000

      69 Bakan,D, "The Duality of Human Existence" Rand McNally 1966

      70 Baltes, M. M, "Successful Aging: Perspectives from Behavioral Sciences" Cambridge University 1-34, 1990

      71 Horley, J, "Subjective well-being and age" 34 (34): 275-282, 1995

      72 Carstensen, L. L, "Socioemotional selectivity theory and the regulation of emotion in the second half of life" 27 : 103-123, 2003

      73 Brandtstadter, J, "Self-percepts of control in middle and later adulthood: Buffering losses by recalling goals" 9 : 265-273, 1994

      74 Torres, S., "Relational Values and Ideas Regarding successful Aging" 33 (33): 417-432, 2002

      75 Ikels, D, "Promoting successful and productive aging" 1995

      76 Wink, P, "Practical and transcendent wisdom: Their nature and some longitudinal findings" 4 (4): 1-15, 1997

      77 Ryff,C.D, "Possible selves in adulthood and old age:A tale of shifting horizons" 6 : 286-295, 1991

      78 Vaillant, G. E, "Positive aging in two male cohorts" 158 : 839-847, 2001

      79 Okun, M. A, "Physician-and self-ratings of health, neuroticism,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men and women" 5 : 533-540, 1984

      80 Ryff, C. D, "Philosophical Transactions Royal Society London B" 2004

      81 Watten, R. G, "Personality factors and somatic symptoms" 11 (11): 57-68, 1997

      82 Baltes, P. B, "People nominated as wise: A comparative study of wisdom-related knowledge" 10 : 155-166, 1995

      83 Lazarus, R. S., "Passion and reason: Making sense of our emotions" Oxford University 1994

      84 McKee, P, "On defining wisdom" 49 : 149-164, 1999

      85 Deci, E. L,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l" Lincoln University of Nebraska 237-288, 1991

      86 Hofstede, G, "National cultures in four dimensions, a research-based theory on cultural differences among nations" 14 : 46-74, 1983

      87 Carstensen, L. L, "Motivation and self-regulation across the life span" Cambridge University 341-364, 1998

      88 Inglehart, R, "Modernization and post-modernization: Cultural, economic, and political change in 43 societie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1997

      89 Verhaeghen, P., "Meta-analyses of age-cognition relations in adulthood:Estimates of linear and nonlinear age effects and structural models" 122 (122): 231-249, 1997

      90 Veroff, J, "Mental health in America: Patterns of help-seeking from" Basic Books 1957-1976, 1981

      91 Fromm, E, "Man for Himself. An Inquiry Into the Psychology of Ethics" Hot, Rinehard, and Winston 1947

      92 Clayton, V. P, "Life-span development and behavior" Academic 103-135, 1980

      93 Kunzmann, U, "Is age-related stability of subjective well-being a paradox?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evidence from the Berlin Aging Study" 15 : 511-526, 2000

      94 Deci, E. L,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Plenum 1985

      95 Deci, E. L, "Intrinsic motivation" Plenum 1975

      96 Brief, A. P, "Integrating bottom-up and top-down theories of subjective well-being: The case of health" 64 : 646-653, 1993

      97 Triandis, H. C, "Individualism-collectivism. Boulder" Westview 1995

      98 Erikson, E. H, "Identity: Youth and crisis" W. W. Norton 1968

      99 Erikson, E. H, "Identity and the life cyc" International University 1959

      100 George, L. K, "Health and Subjective Well-being: A Replicated Secondary Data Analysis" 19 : 133-156, 1984

      101 Freedman, J. L, "Happy people" Harcourt brace Jovanovich 1978

      102 Ryff, C. D,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57 : 1069-1081, 1989

      103 Wilson, R. S, "Handbook of neuropsychology and aging" Plenum 7-14, 1997

      104 Horn, J. L, "Handbook of developmental psychology" Prentice Hall 847-870, 1982

      105 Diener, E, "Handbook of Emotions" Guilford Press 325-337, 2000

      106 Freud, S, "Group psychology and the analysis of the ego" 1952 : 664-696, 1952

      107 McCullough, M. E, "Gratitude as moral affect" 127 : 249-266, 2001

      108 Emmons, R. A, "Gratitude as a human strength: Appraising the evidence" 19 (19): 56-69, 2000

      109 Fitzgerald, P, "Gratitude and justice" 109 : 19-153, 1998

      110 Lee., G. R., "Gender differences in the depressive effect of widowhood in later life" 56 : 56-61, 2001

      111 Perry, W. I, "Forms of intellectual and ethical development in the college years" Holt, Rinehart & Winston 1970

      112 Keyes,C.L.M, "Flourishing: Positive psychology and the life well-lived"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93-312, 2003

      113 Kramer, D. A, "Everyday problem solving: Theory and applications" Praeger 138-152, 1989

      114 Ardelt, M, "Empirical Assessment of a Three-Dimensional Wisdom Scale" 25 : 275-324, 2003

      115 Carstensen, L. L, "Emotional Experience in Everyday Life Across the Adult Life Span" 79 (79): 644-655, 2000

      116 Ryff, C. D, "Emotion, social relationships" Oxford University 2001

      117 Lawton, M. P, "Emotion in later life" 10 : 120-123, 2001

      118 Hofstede,G, "Cultures and Organizations: Software of the Mind" McGraw-Hill 1991

      119 Inglehart, R, "Culture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1990

      120 Lucas, R. E, "Culture and subjective well-being" MIT 291-317,

      121 Triandis,H.C, "Cultural syndromes and subjective well-being" MIT 13-36, 2000

      122 Triandis, H. C, "Cross-cultural studies of personality, attitudes, and cognition" Macmillan 60-95, 1988

      123 Helson, R., "Creative and wise people: Similarities, differences, and how they develop" 28 (28): 1430-1440, 2002

      124 Pinsker, H, "Clinical and research issues in short-term dynamic psychotherapy"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04-116, 1985

      125 Erikson, E. H., "Childhood and society" Norton 1963

      126 Peterson, C,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of classification, Washington" Oxford University 2004

      127 Ryff, C. D, "Biopsychosocial challenges of the new millennium" 69 : 170-177, 2000

      128 Diener, E, "Beyond money: Toward an economy of well-being" 5 : 1-31, 2004

      129 Labouvie-Vief, G, "Beyond formal operations: Modes and methods in the study of adult and adolescent thought" Praeger 1990

      130 Labouvie-Vief, G., "Beyond formal operations: Late adolescent and adult cognitive development" Praeger 158-180, 1985

      131 Shackelford, T. K., "Betrayal in mateships, friendships, and coalitions" 22 : 1151-1164, 1996

      132 Allport, "Becoming: Basic considerations for a psychology of personality. New Haven" Yale University 1955

      133 Seligman, M. E. P,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Free 2002

      134 Borges, M. A, "Attitudes toward aging" 16 : 220-224, 1976

      135 Adler, M. G, "Appreciation: individual differences in finding value and meaning as a unique predictor of subjective well-being" 73 (73): 79-114, 2005

      136 Ardelt, M, "Antecedents and effects of wisdom in old age: A longitudinal perspective on aging well" 22 : 360-394, 2000

      137 Triandis, H. C., "Allocentric versus idiocentric tendencies: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ation" 19 : 395-415, 1985

      138 Vaillant, G. E, "Aging well" Little, Brown 2002

      139 Tornstam, L, "Aging and the religious dimension" Auburn House 1994

      140 Charles, S. T, "Age-related differences and change in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over 23 years" 80 : 136-151, 2001

      141 Pinquart, M, "Age differences in perceived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and affect balance in middle and old age" 2 : 375-405, 2001

      142 Diener, E., "Age and subjective well-being: an international analysis" 17 : 304-324, 1997

      143 Herzog, A. R, "Age and satisfaction: data from several large surveys" 3 : 142-165, 1981

      144 Lawton, M. P, "Affect and age: Cross-sectional comparisons of structure and prevalence" 8 : 165-175, 1993

      145 Arlin, P. K, "Adult development: Vol. 1. Comparisons ad applications of developmental models" Praeger 197-216, 1989

      146 Perlmutter, M, "Adult development and aging" Wiley 1985

      147 Vaillant, G. E, "Adaptive mental mechani는: Their role in positive psychology" 55 : 89-98, 2000

      148 Vaillant, G. E, "Adaptation to life. Boston" Little, Brown 1977

      149 Diener, E, "A value-based index for measuring national quality of life" 36 : 107-127, 1995

      150 Torres, S, "A preliminary empirical test of a culturally-relevant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study of successful aging" 18 (18): 79-100, 2003

      151 Schulz, R, "A life span model of successful aging" 51 : 702-714, 1996

      152 Levinson, D. J, "A conception of adult development" 41 : 3-13, 1986

      153 Sternberg, R. J, "A balance theory of wisdom" 2 : 347-365, 1998

      154 통계청, "2010 고령자 통계" 통계청 2010

      155 통계청, "2009 한국의 사회지표" 통계청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9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0.99 2.523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