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비대면 온라인 성인태권도 맞춤형 교육과 수련자들이 선호하는 다양성을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대한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의 표집방법인 ‘유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34336
202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21-138(1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비대면 온라인 성인태권도 맞춤형 교육과 수련자들이 선호하는 다양성을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대한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의 표집방법인 ‘유목...
이 연구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비대면 온라인 성인태권도 맞춤형 교육과 수련자들이 선호하는 다양성을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대한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의 표집방법인 ‘유목적 표집법’을 사용하였고,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귀납적 범주분석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비대면 온라인 성인태권도 교육의 필요성은 사회 전반적으로 비대면 문화가 태권도 교육까지 확산되면서 언택트 시대에 익숙해진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비대면 태권도 교육은 당연히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비대면 온라인 성인태권도 교육의 문제점은 ‘환경’, ‘교육방안’, ‘흥미유발’, ‘상호간의 소통문제’가 주로 나타났다. 대면 교육과는 다르게 실시간으로 수련자의 정확한 자세교정이 어렵고, 서로의 표정을 볼 수 없어 실시간 이해도가 떨어진다. 그리고 태권도라는 무예의 특성상 일부 기술은 장소의 제한이 있어 일부 수련자에게는 문제로 나타났다. 셋째, 비대면 온라인 성인태권도 교육의 발전방안은 ‘학습관리시스템(LMS)’을 이용해 1:N 수업이 보편화 되도록 지도자는 도장프로그램을 재구성하여 수련생들에게 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콘텐츠와 온라인으로 쉽게 참여 가능한 수업환경을 만들 필요가 있다. 따라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태권도 관련기관에서 비대면 온라인 태권도 교육 프로그램과 다양한 콘텐츠 및 플랫폼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mprove untact-online customized Taekwondo class for adults and increase diversity preferred by trainees as COVID-19 has spread out. As to research methods, ‘The Purposeful Sampling’ for qualitative study was a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mprove untact-online customized Taekwondo class for adults and increase diversity preferred by trainees as COVID-19 has spread out. As to research methods, ‘The Purposeful Sampling’ for qualitative study was adopted. To come up with research findings as shown below, ‘Inductive Categorical Analysis’ was used. First, When it comes to necessity of untact-online adult Taekwondo class, the untact Taekwondo class must be developed to adjust to untact-friendly environment as the untact culture has expanded across society, even Taekwondo education as well. Second, Untact online adult Taekwondo class has problems including environment, education plan, arousing interest, and mutual communications. Unlike face-to-face education, it’s hard to correct posture of trainees accurately in real time. Also, it’s impossible to see each other’s face, which results in lower understanding in real time. Third, The trainers are required to re-organize Taekwondo studio program using Learning Management System(LMS) to generalize 1:N classes, and also create contents to keep trainees focused on the class and class environment where the trainees easily participate in online in order to develop the untact-online adult Taekwondo clas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곽정현, "태권도를 키워드로 하는 YouTube 채널 분석" 세계태권도문화학회 11 (11): 1-14, 2020
2 임태희, "태권도 수련의 심리적 변화모형 개발 및 효과검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3 김두한, "태권도 산업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응 방안" 세계태권도문화학회 11 (11): 53-61, 2020
4 오노균, "태권도 사범님 힘내세요"
5 김수정,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을 통해 변화를 시도하는 태권도교육 프로그램과 지도사례에 대한 연구" 세계태권도문화학회 11 (11): 47-63, 2020
6 양해림, "코로나19와 뉴노멀의 인문학 - 코로나19 이후, 인문학의 미래와 전망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60 (60): 251-276, 2021
7 선우유영, "코로나19에 따른 태권도 사범의 어려움과 극복 전략 탐색 : Giorgi 현상학적 접근" 한국스포츠사회학회 34 (34): 1-21, 2021
8 안근아,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줌(Zoom)을 활용한 비대면 실시간 실기 수업에 대한 태권도학과 학생들의 인식" 세계태권도문화학회 12 (12): 1-14, 2021
9 반은아, "코로나19 이후 태권도장의 경영환경 변화 예측 및 대응방안" 국기원 11 (11): 15-29, 2020
10 정근영, "코로나19 이후 태권도 수련 의식 변화에 기반을 둔 수련 프로그램의 방향성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911-922, 2021
1 곽정현, "태권도를 키워드로 하는 YouTube 채널 분석" 세계태권도문화학회 11 (11): 1-14, 2020
2 임태희, "태권도 수련의 심리적 변화모형 개발 및 효과검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3 김두한, "태권도 산업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응 방안" 세계태권도문화학회 11 (11): 53-61, 2020
4 오노균, "태권도 사범님 힘내세요"
5 김수정,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을 통해 변화를 시도하는 태권도교육 프로그램과 지도사례에 대한 연구" 세계태권도문화학회 11 (11): 47-63, 2020
6 양해림, "코로나19와 뉴노멀의 인문학 - 코로나19 이후, 인문학의 미래와 전망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60 (60): 251-276, 2021
7 선우유영, "코로나19에 따른 태권도 사범의 어려움과 극복 전략 탐색 : Giorgi 현상학적 접근" 한국스포츠사회학회 34 (34): 1-21, 2021
8 안근아,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줌(Zoom)을 활용한 비대면 실시간 실기 수업에 대한 태권도학과 학생들의 인식" 세계태권도문화학회 12 (12): 1-14, 2021
9 반은아, "코로나19 이후 태권도장의 경영환경 변화 예측 및 대응방안" 국기원 11 (11): 15-29, 2020
10 정근영, "코로나19 이후 태권도 수련 의식 변화에 기반을 둔 수련 프로그램의 방향성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911-922, 2021
11 제이슨 솅커, "코로나 이후의 세계" 미디어숲 2020
12 김한나, "코로나 19로 인한 원격수업 유형에 따른 사범학부 학생들의 강의만족도와 학습효과 연구: 동영상 제작 수업과 실시간 화상 수업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69-193, 2021
13 신광철, "위드/포스트 코로나 시대 문화콘텐츠 교육의 방향" 인문콘텐츠학회 (59) : 131-154, 2020
14 김용, "원격교원연수 질 제고를 위한 학습관리시스템기능 분석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569-577, 2014
15 손경아, "요구분석을 통한 원격교육기관 학습관리시스템 비교분석 및 개선방안 도출" 원격교육연구소 6 (6): 127-149, 2010
16 김현경, "온라인 음악교육 콘텐츠 현황" 16 (16): 2013
17 김규진, "온라인 무용교육 서비스품질이 학습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온라인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무용교육학회 31 (31): 117-134, 2020
18 이선희, "언콘택트 시대를 위한 유튜브 홈트레이닝 채널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29 (29): 181-191, 2020
19 박성원, "사스에서 코로나19까지: 세계적 감염병과 사회적 이슈" 한국사회과학연구회 (109) : 35-67, 2020
20 유지은, "비대면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만족도 연구: A 대학교 기독교교육과 강좌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67) : 277-298, 2020
21 석류, "나는 태권도를 왜 하는가? : 태권도 전공생의 수련동기와 미래계획에 대한 고민" 한국체육과학회 28 (28): 177-190, 2019
22 질병관리청, "검역단계에서 해외유입 신종코로나바이러스 확진환자 확인감염병 위기경보를 ‘주의’단계로 상향, 대응"
23 박순열, "‘사회’는 코로나-19에 대처할 수 있는가?: 사회의 가능성과 변화에 대한 관찰" 한국공간환경학회 30 (30): 62-98, 2020
24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무예도보통지』「등패」의 그림 배치 오류와 진법 연관성
무예도보통지 본국검보 조천세의 좌쌍수 파지법과 환집 기법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