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동북아 메가허브항(Mega Hub Port)을 위한 부산항의 항만 경쟁력 강화 방안 = The Device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Port of Busan for Mega Hub Port in North-East As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329631

      • 저자
      • 발행사항

        부산: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0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통상행정학과 , 2008. 2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26.369 판사항(3)

      • 발행국(도시)

        부산

      • 기타서명

        The Device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Port of Busan for Mega Hub Port in North-East Asia

      • 형태사항

        v, 60 p.: 삽도; 26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김상구
        참고문헌: p. 57-60

      • 소장기관
        • 국립한국해양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my assist for port policy of The State. And I will study the device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Port of Busan in marine transport · port environment of North-East Asia, subject of The Port of Busan for mega hub port in North-East Asia.
      This study concentrates on literature study through journal article, inside data of relation agency and analysis of preceding study.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 modify Two Port plan, which is port policy of The State with One Port plan for the Port of Busan. And it can lead to the strengthening the connection between Hub & Spoke service besides it will be able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Port of Busan with the revitalization of developing New Port of Busa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my assist for port policy of The State. And I will study the device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Port of Busan in marine transport · port environment of North-East Asia, subject of The Port of Busan 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my assist for port policy of The State. And I will study the device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Port of Busan in marine transport · port environment of North-East Asia, subject of The Port of Busan for mega hub port in North-East Asia.
      This study concentrates on literature study through journal article, inside data of relation agency and analysis of preceding study.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 modify Two Port plan, which is port policy of The State with One Port plan for the Port of Busan. And it can lead to the strengthening the connection between Hub & Spoke service besides it will be able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Port of Busan with the revitalization of developing New Port of Busa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제2절 연구범위와 방법 -3
      • 1. 연구범위 -3
      • 2. 연구방법 -4
      • 제 1 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제2절 연구범위와 방법 -3
      • 1. 연구범위 -3
      • 2. 연구방법 -4
      • 제 2 장 세계 해운 · 항만 환경의 변화와 허브 & 스폭 서비스 -6
      • 제1절 세계교역의 지속적 성장 -6
      • 1. 컨테이너 화물의 증가 -6
      • 2. 해운기업의 글로벌화 -7
      • 3. 컨테이너 선박의 대형화 및 고속화 -8
      • 제2절 허브 & 스폭 서비스 -11
      • 1. 허브 & 스폭 서비스의 개념 -11
      • 2. 허브 & 스폭 서비스의 사례 -12
      • 3. 허브 & 스폭 서비스의 장점 -15
      • 제 3 장 부산항의 현황과 경쟁력 위기 -17
      • 제1절 부산항의 현황 -17
      • 1. 부산항의 변천과정 -18
      • 2. 컨테이너 부두의 현황 -19
      • 1) 자성대 컨테이너 터미널 -20
      • 2) 우암 컨테이너 터미널 -21
      • 3) 신감만 컨테이너 터미널 -21
      • 4) 감만 컨테이너 터미널 -22
      • 5) 신선대 컨테이너 터미널 -22
      • 6) 감천 컨테이너 터미널 -23
      • 3. 일반부두의 현황 -24
      • 1) 1부두 -24
      • 2) 2부두 -24
      • 3) 3부두 -24
      • 4) 4부두 -25
      • 5) 7부두 -25
      • 6) 8부두 -25
      • 7) 양곡부두 -26
      • 8) 중앙부두 -26
      • 9) 감천중앙부두 -26
      • 10) 용호부두 -26
      • 제2절 부산항의 경쟁력 위기 -28
      • 1. 동북아 주요 항만의 성장과 허브항만 전략 -28
      • 1) 중국의 허브항만 전략 -32
      • 2) 일본의 허브항만 전략 -33
      • 2. 부산항의 물동량 감소의 직접적 원인 -34
      • 1) 중국항만의 성장 -34
      • 2) 국내 항만 간의 경쟁 -37
      • 3. 중앙정부 항만계획상의 비효율성 -38
      • 4. 부산항의 열악한 항만배후단지(Port Hinterland) -42
      • 제 4 장 경쟁력 강화를 통한 부산항의 메가허브항 방안 -44
      • 제1절 신항만 활성화를 통한 항만경쟁력 강화 -44
      • 1. 신항만 개발 및 관리 · 운영 주체의 분리 -46
      • 2. 부산 · 진해 경제자유구역 항만배후단지 투자유치 -47
      • 제2절 중앙정부 항만계획의 수정 -49
      • 제3절 허브 & 스폭 서비스 강화 -52
      • 제 5 장 결론 -54
      • 참고문헌 -57
      • - 표 차 례 -
      • [표 2-1] 세계 대륙별 물동량 전망(2015년까지) -7
      • [표 2-2] 8,000TEU급 이상 컨테이너선 발주현황 -10
      • [표 3-1] 부산항 컨테이너 부두 현황 -20
      • [표 3-2] 부산항 부두별 컨테이너 화물 처리실적 -23
      • [표 3-3] 부산항 일반부두 현황 -27
      • [표 3-4] 지역별 역내 무역구조 -29
      • [표 3-5] 세계 3대 경제권의 규모 -29
      • [표 3-6] 동북아 국가별 컨테이너 물동량 실적 및 전망 -30
      • [표 3-7] 세계 주요 항만의 물동량 추이(2001-2006) -32
      • [표 3-8] 중국 주요항만의 컨테이너 처리실적 -35
      • [표 3-9] 부산항 컨테이너화물 처리실적 -36
      • [표 3-10] 전국 컨테이너화물 집중도 현황 -38
      • [표 3-11] 부산신항 및 광양항 개발계획 -39
      • [표 3-12] 광양항 주요 SOC 확충계획 -40
      • [표 3-13] 부산항 및 광양항 컨테이너부두 시설 확보율 -41
      • [표 4-1] 신항만 부두 개발 계획 -45
      • [표 4-2] 부산 · 진해 경제자유구역 지역별 개발 계획 -48
      • [표 4-3] 동북아 주요 항만의 터미널이용료 종합비교 -51
      • - 그 림 차 례 -
      • [그림 2-1] 수레바퀴 모양 -11
      • [그림 2-2] 우유배달 서비스(Milk Round Service) -13
      • [그림 2-3] 허브 & 스폭 서비스 -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