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염화제일철 매염제로 손상된 배양 NIH3T3 섬유아세포에 대한 석잠풀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 Antioxidative Effect of Stachys japonica Miq Extract on Cultured NIH3T3 Fibroblasts Damaged by Ferrous chloride, Morda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341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 목적은 염화제일철(FeCl2)의 세포독성과 석잠풀(SJ)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FeCl2의 독성을 산화적 손상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세포 생존율을 비롯한 과산소음이온(SAR)-소...

      본 연구 목적은 염화제일철(FeCl2)의 세포독성과 석잠풀(SJ)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FeCl2의 독성을 산화적 손상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세포 생존율을 비롯한 과산소음이온(SAR)-소거능과 슈퍼옥사이드(SOD)-유사 활성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FeCl2는 처리 농도에 비례하여 유의한 세포 생존율의 감소를 보였으며, 중간 독성으로 나타났다. 또한, caffeic acid는 FeCl2로 감소 된 세포 생존율에 대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FeCl2의 독성에 대한 SJ 추출물의 처리는 세포 생존율의 유의한 증가와 함께 SAR-소거 능과 SOD-유사 활성 능과 같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SJ 추출물과 같은 천연소재는 항산화제와 같은 대체물질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로서의 활용적 가치가 클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d the dermatoxicity of ferrous chloride (FeCl2) and the antioxidative effect of Stachys japonica Miq (SJ) extract on FeCl2-induced cytotoxicity. For this study, superoxide anion-radical (SAR)-scavenging and superoxi...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d the dermatoxicity of ferrous chloride (FeCl2) and the antioxidative effect of Stachys japonica Miq (SJ) extract on FeCl2-induced cytotoxicity. For this study, superoxide anion-radical (SAR)-scavenging and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bilities with cell viability were done. FeCl2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of cell viability in dose-dependent manner, and it was mid-toxic. The caffeic acid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of cell viability against FeCl2-induced cytotoxicity. In the protective effect of SJ extract on FeCl2-induced cytotoxicity, it showed SAR-scavenging and SOD-like abilities with a significant increase of cell viability. From these results, the cytotoxicity of FeCl2 is correlated with oxidative stress, and SJ extract effectively protected the cytotoxicity of FeCl2 by antioxidative effect. Conclusively, the natural resources like SJ extract may be a useful fundamental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an alternative antioxida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배희경, "염화제일철에 대한 인체 및 생태 위해성평가" 환경독성보건학회 20 (20): 375-383, 2005

      2 손영우, "염모제 성분인 카드뮴의 세포독성에 대한 시엽추출물의 영향" 대한미용학회 8 (8): 9-15, 2012

      3 정재윤, "염모제 성분인 FeSO4의 세포독성에 대한 산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대한미용학회 9 (9): 23-28, 2013

      4 정재윤, "모발염색제 성분인 초산납에 대한 어성초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효과" 대한미용학회 10 (10): 13-19, 2014

      5 표애자, "멜라닌생성 자동산화제인 FeSO4의 세포독성 및 멜라닌화에 대한 청미래덩굴 추출물의 영향" 한국피부과학연구원 11 (11): 77-83, 2013

      6 이상희, "납의 신경독성에 대한 지금초 추출물의 독성경감 효과" 대한임상검사과학회 50 (50): 501-510, 2018

      7 정정화, "금속매염제인 초산구리의 세포독성에 대한 자귀나무잎 추출물의 보호 효과" 한국환경보건학회 45 (45): 520-528, 2019

      8 N. Lavid, "The involvement of polyphenols and peroxidase activities in heavy-metal accumulation by epidermal glands of the waterlily(Nymphacaceae)" 212 : 323-331, 2001

      9 J. C. Do,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the roots of Rubus parvifolius(I)" 19 (19): 170-173, 1988

      10 E. Tiffany-Gastiglioni, "Reduction of glutamine synthetase specific activity in cultured astroglia by ferrous chloride" 24 : 508-516, 1989

      1 배희경, "염화제일철에 대한 인체 및 생태 위해성평가" 환경독성보건학회 20 (20): 375-383, 2005

      2 손영우, "염모제 성분인 카드뮴의 세포독성에 대한 시엽추출물의 영향" 대한미용학회 8 (8): 9-15, 2012

      3 정재윤, "염모제 성분인 FeSO4의 세포독성에 대한 산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대한미용학회 9 (9): 23-28, 2013

      4 정재윤, "모발염색제 성분인 초산납에 대한 어성초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효과" 대한미용학회 10 (10): 13-19, 2014

      5 표애자, "멜라닌생성 자동산화제인 FeSO4의 세포독성 및 멜라닌화에 대한 청미래덩굴 추출물의 영향" 한국피부과학연구원 11 (11): 77-83, 2013

      6 이상희, "납의 신경독성에 대한 지금초 추출물의 독성경감 효과" 대한임상검사과학회 50 (50): 501-510, 2018

      7 정정화, "금속매염제인 초산구리의 세포독성에 대한 자귀나무잎 추출물의 보호 효과" 한국환경보건학회 45 (45): 520-528, 2019

      8 N. Lavid, "The involvement of polyphenols and peroxidase activities in heavy-metal accumulation by epidermal glands of the waterlily(Nymphacaceae)" 212 : 323-331, 2001

      9 J. C. Do,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the roots of Rubus parvifolius(I)" 19 (19): 170-173, 1988

      10 E. Tiffany-Gastiglioni, "Reduction of glutamine synthetase specific activity in cultured astroglia by ferrous chloride" 24 : 508-516, 1989

      11 O. H. Lowry,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protein reagent" 193 : 265-271, 1951

      12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2th)"

      13 D. Busselberg, "Lead and zine block a voltage-activated calcium channel of aplysia neurons" 65 : 786-795, 1991

      14 S. Marklund, "Involvement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47 : 468-474, 1974

      15 J. S. Kwak, "East medicinal thesaurus herb encyclopedia" PurnHaengbok Co 794-796, 2018

      16 M. A. Nieva Moreno, "Comparison of the th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71 : 109-114, 2000

      17 J. Y. Hwang, "Antioxidant and cytoprotective effects of Stachys riederi var. japonica ethanol extract on UVA-irradiation human dermal fibroblasts" 43 (43): 1497-1504, 2019

      18 E. Borenfreund, "A simple quantitative procedure using monolayer culture for cytotoxicity assay(HTD/NR-90)" 9 : 7-9, 198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2-06-01 평가 등재학술지 취소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2-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소기업융합학회논문지 -> 융합정보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Convergence Society for SMB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