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중무역이 북한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후생효과에 대한 정량분석과 북한 비핵화 전략 시사점 =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North Korea-China Trade on North Korean Economic Welfare and the Denuclearization Strategy of Korean Peninsul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701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orth Korea’s international trade has expanded since mid-1990s and the import penetration ratio, the openness measure in relation to the increase of real income from international trade, reached to 24% during the Kim Jong-un regime, close to the ope...

      North Korea’s international trade has expanded since mid-1990s and the import penetration ratio, the openness measure in relation to the increase of real income from international trade, reached to 24% during the Kim Jong-un regime, close to the openness levels of U.K. and France. This implies North Korea’s real income per capita increased by 2.7~5.3% from the international trade. Incorporating the trade of intermediate goods and the changes of production structure, North Korean gains from trade would more than double. This also implies that the North Korea’s opportunity cost of real income loss by switching to autarky is enormous. However, the Chinese shares of North Korean trades exceeded 90% for both exports and imports since 2016, and more than 80% of North Korean gains from trade have been due to its trades with China. That is, Chinese leverage on North Korean economy is deeply fundamental beyond the simple control of crude oil supply. Our study reveals that such excessive reliance on China was not a genuine feature of the North Korean economy. Such phenomenon emerged during the 2006~2009 period when North Korea started to substitute the diversified set of trade partners with China to overcome the trading difficulty in response to the UN sanctions due to the North Korea’s first and second nuclear experiments. These empirical findings suggest critical implications on the denuclearization negotiation which has been in a stalemate. The recent series of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due to the 4th to 6th nuclear experiments might be an effective tool for denuclearization. However,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rigid maintenance of those tight sanctions are likely to end up strengthening the Chinese leverage and forcing North Korea to adopt the strategies of “rent-seeking by violence” or “reinforcing the excessive economic cooperation with China” which would lead to undesirable outcomes of security and economic development for both North Korea and international community. Gearing down North Korea’s excessive reliance on China regarding its openness via trade diversification as well as building capacity and environments to participate in international economic cooperation would induce North Korea to adopt the “development by peace and true openness” as the first-best strategy. Our analysis shows that this approach would be an effective anchor to revitalize the deadlock denuclearization negoti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북한의 대외무역은 1990년대 중반 이후 지속증가하여 김정은 정권 시기에는 실질소득 증가와관련된 대외개방척도인 수입진입률이 24%로 영국과 프랑스 수준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국제무...

      북한의 대외무역은 1990년대 중반 이후 지속증가하여 김정은 정권 시기에는 실질소득 증가와관련된 대외개방척도인 수입진입률이 24%로 영국과 프랑스 수준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국제무역을 통해 북한의 일인당 실질소득이 2.7~5.3% 증가했음을 의미한다. 중간재 교역과 생산구조 변화까지 고려하면 그 효과는 2배 이상으로 증폭할 것이다. 이는 북한경제가 자급자족 경제로 회귀할 경우 감당해야 할 소득 손실의 기회비용이 매우 큼을 나타낸다. 하지만 2016년 이후 북한 수출입의 중국 비중이 90%를 넘어 북한경제 ‘무역의 이익’의 80% 이상이 중국에 기인한다. 이는 중국의 북한경제에 대한 레버리지가 단순한 원유공급 통제 차원을 넘어선 근본적인 차원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북한 대외개방의 중국 과잉의존 현상이 북한경제의 본질적 특징이 아니었으며, 2006~2009년 1~2차 핵실험에 따른 UN 제재를 계기로 대외무역이 어려워지자 다변화됐던 교역 파트너를 중국으로 대체하기 시작하면서 나타난 이례적인 현상임을 밝혔다. 이는 현재 교착상태에 빠진 한반도 비핵화 협상에 중요한 함의를 가진다. 최근 4~6차 핵실험에 기인한 대북제재는 비핵화 협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이에 대한 경직적인 유지는 중국의 레버리지를 강화할 뿐이며 북한이 ‘무력에 의한 지대추구’ 혹은 ‘대중국 경제협력 과잉의존 강화’ 전략을 선택할 가능성을 높인다. 본 연구는 북한의 무역 다변화를 통한 중국 과잉의존 해소와 국제경제협력 참여역량 및 환경조성으로 북한 스스로 ‘실질적 개방과 평화를 통한 발전추구’ 안을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접근이 교착상태에 빠진 비핵화 협상을 활성화할 전략임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철, "현시기 대외무역협상사업을 개선하는 것은 대외무역발전의 필수적요구" 2019 (2019): 44-45, 2019

      2 이석, "북한의 통계: 가용성과 신뢰성" 통일연구원 2007

      3 이종규, "북한의 대외무역: 2015년 평가 및 2016년 전망" 한국개발연구원 2016

      4 김병연, "북한의 국민소득: 추정치와 평가" (가을) : 19-41, 2008

      5 김석진, "북한경제의 성장과 위기 : 실적과 전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6 정혁, "북한경제 대외개방과 무역의 이익 수량적 추정" 한국경제의 분석패널 25 (25): 63-116, 2019

      7 임수호, "북한 대외무역 2016년 평가 및 2017년 전망, 북중무역을 중심으로" 한국개발연구원 2017

      8 이현재, "북중무역이 북한의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33 (33): 23-42, 2010

      9 이종민, "북중무역의 분해와 이를 통한 대북제재 효과와 평가" 한국개발연구원 2020

      10 이재호, "동북아 역내분업구조와 북중무역: 특징 및 시사점" 한국개발연구원 2011

      1 김현철, "현시기 대외무역협상사업을 개선하는 것은 대외무역발전의 필수적요구" 2019 (2019): 44-45, 2019

      2 이석, "북한의 통계: 가용성과 신뢰성" 통일연구원 2007

      3 이종규, "북한의 대외무역: 2015년 평가 및 2016년 전망" 한국개발연구원 2016

      4 김병연, "북한의 국민소득: 추정치와 평가" (가을) : 19-41, 2008

      5 김석진, "북한경제의 성장과 위기 : 실적과 전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6 정혁, "북한경제 대외개방과 무역의 이익 수량적 추정" 한국경제의 분석패널 25 (25): 63-116, 2019

      7 임수호, "북한 대외무역 2016년 평가 및 2017년 전망, 북중무역을 중심으로" 한국개발연구원 2017

      8 이현재, "북중무역이 북한의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33 (33): 23-42, 2010

      9 이종민, "북중무역의 분해와 이를 통한 대북제재 효과와 평가" 한국개발연구원 2020

      10 이재호, "동북아 역내분업구조와 북중무역: 특징 및 시사점" 한국개발연구원 2011

      11 Wacziarg, R., "Trade Liberalization and Growth: New Evidence" 22 (22): 187-231, 2008

      12 Anderson, J. E., "Trade Costs" 42 (42): 691-751, 2004

      13 Melitz, M. J., "The Impact of Trade on Intra-industry Reallocations and Aggregate Industry Productivity" 71 (71): 1695-1725, 2003

      14 Eaton, J., "Technology, Geography, and Trade" 70 (70): 1741-1779, 2002

      15 Krugman, P., "Scale Economies, Product Differentiation, and the Pattern of Trade" 70 (70): 950-959, 1980

      16 Ricardo, David, "On the 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 and Taxation" John Murray 1817

      17 Arkolakis, C., "New Trade Models and Same Old Gains" 102 (102): 94-130, 2012

      18 OECD, "Measuring Globalization: OECD Globalization Indicators 2010" OECD Publishing 2010

      19 Kim, B., "Assessing the Economic Performance of North Korea, 1954- 1989: Estimates and Growth Accounting Analysis" 35 : 564-582, 2007

      20 Smith, Adam, "An Inquiry into the Nature and Causes of the Wealth of Nations" W. Strahan and T. Cadell 1776

      21 최해범, "2000년대 이후 중국의 대북한 무역추이에 관한 연구" 한국관세학회 9 (9): 153-171, 2008

      22 이석, "1990∼2008년 북한무역통계의 분석과 재구성" KDI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37 0.6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