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농업분야의 연구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4차 산업혁명에 맞춰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스마트농업이 새로운 트랜드가 되었다. 이에 따라 다양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198983
202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5-23(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농업분야의 연구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4차 산업혁명에 맞춰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스마트농업이 새로운 트랜드가 되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농업분야의 연구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4차 산업혁명에 맞춰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스마트농업이 새로운 트랜드가 되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노지 환경과 토양 조건에서 농작물의 스트레스를 모니터링하여 생육 이상 징후를 미리 식별하고 대응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다양한 센서를 거쳐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데이터들을 인공지능 기법이나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하여 분석하려는 시도도 있다. 본 논문은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 기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농작물의 생육환경정보와 생체정보 분석에 효과적인 빅데이터 모델을 제안한다. 모델의 성능은 데이터 양에 따른 쿼리에 대한 응답 시간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최대 23.8%의 시간 단축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ile research activities in the agricultural field for climate change are being actively carried out, smart agriculture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ecome a new trend in line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ccordingly, ...
While research activities in the agricultural field for climate change are being actively carried out, smart agriculture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ecome a new trend in line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ccordingly,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identify and respond to signs of abnormal growth in advance by monitoring the stress of crops in various outdoor environments and soil conditions. There are also attempts to analyze data collected in real time through various sensor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s or big data technologi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big data model that is effective in analyzing the growth environment informations and biometric information of crops by using the existing relational database for big data analysis.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was measured by the response time to a query according to the amount of data.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maximum time reduction effect of 23.8%.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경, "지능형 스마트 팜 활용과 생산성에 관한 연구: 토마토 농가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14 (14): 185-199, 2019
2 박경보, "정보시스템 분야의 빅데이터 연구 흐름 분석 : Information Systems 관련 저널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681-689, 2019
3 유신성, "이질 공공빅데이터 기반 농장별 맞춤 병해충 예측 모델" 한국정보기술학회 18 (18): 1-9, 2020
4 Choi, Y. C., "Smart Farm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36 (36): 9-16, 2019
5 Ministry of Science and ICT,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ers' Meeting “Science and Technology Strategy for Future Agriculture: Focusing on Smart Agriculture and Agricultural Biotechnology"" 2 : 12-13, 2019
6 Lee, J. Y., "Music Crawler for Mood-based Music Classification and Retrieval systems" 699-701, 2018
7 Song, M. G., "Development of a Big Data System to accept Energy Big Data" 415-417, 2017
8 Tomcy, J., "Data Lake for Enterprises - Leveraging Lambda Architecture for Building Enterprise Data Lake" Packt Publishing 2017
9 Korea Agro-Fisheries and Food Trade Corporation, "Cultivation Status and Management of Agricultural Crops using US Smart Agriculture and IT System" 17-24, 2019
10 Chen, H., "Business Intelligence and Analytics : From Big Data to Big Impact" 36 (36): 1165-1188, 2012
1 이재경, "지능형 스마트 팜 활용과 생산성에 관한 연구: 토마토 농가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14 (14): 185-199, 2019
2 박경보, "정보시스템 분야의 빅데이터 연구 흐름 분석 : Information Systems 관련 저널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681-689, 2019
3 유신성, "이질 공공빅데이터 기반 농장별 맞춤 병해충 예측 모델" 한국정보기술학회 18 (18): 1-9, 2020
4 Choi, Y. C., "Smart Farm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36 (36): 9-16, 2019
5 Ministry of Science and ICT,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ers' Meeting “Science and Technology Strategy for Future Agriculture: Focusing on Smart Agriculture and Agricultural Biotechnology"" 2 : 12-13, 2019
6 Lee, J. Y., "Music Crawler for Mood-based Music Classification and Retrieval systems" 699-701, 2018
7 Song, M. G., "Development of a Big Data System to accept Energy Big Data" 415-417, 2017
8 Tomcy, J., "Data Lake for Enterprises - Leveraging Lambda Architecture for Building Enterprise Data Lake" Packt Publishing 2017
9 Korea Agro-Fisheries and Food Trade Corporation, "Cultivation Status and Management of Agricultural Crops using US Smart Agriculture and IT System" 17-24, 2019
10 Chen, H., "Business Intelligence and Analytics : From Big Data to Big Impact" 36 (36): 1165-1188, 2012
11 Moon, D. H., "Big Data" 18 (18): 26-29, 2012
12 Song, J. H., "Analysis of the Best Practices Big Data Services" 12 (12): 32-37, 2014
사용자 참여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데이터 전송 연계 및 딥러닝 대사증후군 예측 모델
변동형 대차 구동방식의 지압 침대 개발 및 유효성 평가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7 | 0.57 | 0.5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 | 0.6 | 0.796 | 0.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