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다문화 정책학교의 외국인·다문화 교육 연구 - 서울 대동초, 충무초, 광희초, 구로중 사례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Foreig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in Multicultural Policy Schools - Focusing on the cases of Daedong Elementary School, Chungmu Elementary School, Gwanghui Elementary School, and Guro Middle School in Seoul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417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increase of foreign residents, the number of people acquiring Korean nationality is increasing, and long-term residents such as permanent residence are also increasing. As a result, the number of families staying with children is increasing, and the number of foreign residents residing in Korea is also gradually increasing.
      Children of foreign residents can be classified into two main types.
      One is a child of an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with a high proportion of Korean-born and Korean nationality. On the other hand, another type is children staying with foreign residents. Most of the children staying with foreign residents, classified as migrant youths, were born abroad, and a high percentage of them retain their foreign nationality.
      However, in the case of Korean society, the proportion of children of ethnic Koreans is high in the proportion of children of foreign and multicultural children.
      It is characterized by a high proportion of ethnic Korean children in both domestic and foreign-born types.
      For this reason, the target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includes multicultural children, children of foreign residents, and children of ethnic Koreans. Schools with a high ratio of multicultural children, children of foreign residents and ethnic Korean children are designated and operated as multicultural policy schools.
      This study is based on the analysis of four schools designated as multiculture research schools in 2019 among the multicultural policy schools in Seoul. The four schools are Daedong Elementary School in Daelim-dong, Yeongdeungpo-gu, Guro Middle School in Guro-dong, Chungmu Elementary School in Jangchun-dong, Jung-gu, and Gwanghee Elementary School in Shindang-dong, Jung-gu.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foreign and multicultural students, the proportion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ethnic Korean children, and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schools in these four research schools.
      번역하기

      With the increase of foreign residents, the number of people acquiring Korean nationality is increasing, and long-term residents such as permanent residence are also increasing. As a result, the number of families staying with children is increasing, ...

      With the increase of foreign residents, the number of people acquiring Korean nationality is increasing, and long-term residents such as permanent residence are also increasing. As a result, the number of families staying with children is increasing, and the number of foreign residents residing in Korea is also gradually increasing.
      Children of foreign residents can be classified into two main types.
      One is a child of an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with a high proportion of Korean-born and Korean nationality. On the other hand, another type is children staying with foreign residents. Most of the children staying with foreign residents, classified as migrant youths, were born abroad, and a high percentage of them retain their foreign nationality.
      However, in the case of Korean society, the proportion of children of ethnic Koreans is high in the proportion of children of foreign and multicultural children.
      It is characterized by a high proportion of ethnic Korean children in both domestic and foreign-born types.
      For this reason, the target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includes multicultural children, children of foreign residents, and children of ethnic Koreans. Schools with a high ratio of multicultural children, children of foreign residents and ethnic Korean children are designated and operated as multicultural policy schools.
      This study is based on the analysis of four schools designated as multiculture research schools in 2019 among the multicultural policy schools in Seoul. The four schools are Daedong Elementary School in Daelim-dong, Yeongdeungpo-gu, Guro Middle School in Guro-dong, Chungmu Elementary School in Jangchun-dong, Jung-gu, and Gwanghee Elementary School in Shindang-dong, Jung-gu.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foreign and multicultural students, the proportion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ethnic Korean children, and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schools in these four research schoo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외국인 주민의 증가와 함께 한국 국적 취득자가 늘고 있으며, 영주 자격 등 장기 거주자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자녀 동반 가족 체류가 늘어나고 있으며 한국에 정주하는 외국인 주민 또한 점차로 증가하고 있다. 외국인 주민 자녀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하나는 국제결혼가정의 자녀로 한국 출생 및 한국 국적 비율이 높다. 반면에 또 다른 유형으로는 외국인 주민의 동반 체류 자녀가 있다. 중도입국자녀라는 용어로 분류되는 외국인 주민 동반 체류 자녀는 대다수가 외국에서 출생하였으며, 현재 외국 국적을 유지하는 비율 또한 높다. 그런데 한국사회의 경우 외국인·다문화 자녀의 비중에서 동포 자녀 비중이 높다. 국내출생자, 그리고 외국에서 출생하여 국내 거주하는 유형 모두에서 동포 자녀 비중이 높다는특징이 있다. 이로 인해 다문화 교육정책의 대상은 다문화 자녀와 외국인 주민 자녀, 그리고동포 자녀까지 포괄하고 있으며, 다문화 자녀와 외국인 주민 자녀, 동포 자녀 비율이 높은학교의 경우 다문화 정책학교로 지정되어 운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 지역 2019년도 다문화교육 연구학교로 지정된 영등포구 대림동의 대동초등학교, 구로구 구로동의 구로중학교, 중구 장춘동의 충무초등학교, 그리고 중구신당동의 광희초등학교를 분석 대상으로 삼고 있으며, 이들 4개 연구학교의 외국인 및 다문화 학생 특성, 동포 자녀의 비율과 지역 특징, 연구학교 운영 현황 등을 살펴보고 있다.
      번역하기

      외국인 주민의 증가와 함께 한국 국적 취득자가 늘고 있으며, 영주 자격 등 장기 거주자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자녀 동반 가족 체류가 늘어나고 있으며 한국에 정주하는 외국인 주...

      외국인 주민의 증가와 함께 한국 국적 취득자가 늘고 있으며, 영주 자격 등 장기 거주자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자녀 동반 가족 체류가 늘어나고 있으며 한국에 정주하는 외국인 주민 또한 점차로 증가하고 있다. 외국인 주민 자녀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하나는 국제결혼가정의 자녀로 한국 출생 및 한국 국적 비율이 높다. 반면에 또 다른 유형으로는 외국인 주민의 동반 체류 자녀가 있다. 중도입국자녀라는 용어로 분류되는 외국인 주민 동반 체류 자녀는 대다수가 외국에서 출생하였으며, 현재 외국 국적을 유지하는 비율 또한 높다. 그런데 한국사회의 경우 외국인·다문화 자녀의 비중에서 동포 자녀 비중이 높다. 국내출생자, 그리고 외국에서 출생하여 국내 거주하는 유형 모두에서 동포 자녀 비중이 높다는특징이 있다. 이로 인해 다문화 교육정책의 대상은 다문화 자녀와 외국인 주민 자녀, 그리고동포 자녀까지 포괄하고 있으며, 다문화 자녀와 외국인 주민 자녀, 동포 자녀 비율이 높은학교의 경우 다문화 정책학교로 지정되어 운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 지역 2019년도 다문화교육 연구학교로 지정된 영등포구 대림동의 대동초등학교, 구로구 구로동의 구로중학교, 중구 장춘동의 충무초등학교, 그리고 중구신당동의 광희초등학교를 분석 대상으로 삼고 있으며, 이들 4개 연구학교의 외국인 및 다문화 학생 특성, 동포 자녀의 비율과 지역 특징, 연구학교 운영 현황 등을 살펴보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방성훈 ; 김수현, "한국계 중국인 밀집주거지의 분화에 관한 연구-서울시 가리봉동과 자양동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학회 19 (19): 39-68, 2012

      2 김나경 ; 선봉규, "한국 거주 고려인동포 청소년의 생활실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광주광역시 고려인마을을 중심으로 -" 한국다문화* 디아스포라학회 (13) : 23-65, 2018

      3 손영화 ; 박봉수, "학교 밖 중도입국청소년의 인권에 관한 사례 연구" 교육연구소 21 (21): 75-102, 2015

      4 오성배, "중도입국 청소년 지역별 지원 실태에 대한 분석" IOM이민정책연구원 2013

      5 박봉수 ; 김영순 ; 최승은, "중국계 중도입국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을 위한 부모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21 (21): 331-355, 2013

      6 김판준, "중국 동포의 한국 이주 및 체류 유형 변화에 대한 연구" 재외한인학회 (32) : 109-138, 2014

      7 이춘호, "재한 중국 동포의 정체성의 정치: 단체의 조직과 활동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원 21 (21): 143-180, 2014

      8 윤명숙 ; 조혜정 ; 박수영, "연변 조선족 청소년들의 부모와 별거기간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 애착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4 (14): 113-137, 2012

      9 강성희 ; 최운실, "안산 ‘땟골 마을’ 고려인들의 학습 문화기술지 연구" 인문사회 21 12 (12): 1309-1324, 2021

      10 윤진희 ; 권오규 ; 마강래, "서울시 중국국적외국인의 주거지 분포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계 중국인과 비한국계 중국인 비교" 한국지역개발학회 26 (26): 39-54, 2014

      1 방성훈 ; 김수현, "한국계 중국인 밀집주거지의 분화에 관한 연구-서울시 가리봉동과 자양동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학회 19 (19): 39-68, 2012

      2 김나경 ; 선봉규, "한국 거주 고려인동포 청소년의 생활실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광주광역시 고려인마을을 중심으로 -" 한국다문화* 디아스포라학회 (13) : 23-65, 2018

      3 손영화 ; 박봉수, "학교 밖 중도입국청소년의 인권에 관한 사례 연구" 교육연구소 21 (21): 75-102, 2015

      4 오성배, "중도입국 청소년 지역별 지원 실태에 대한 분석" IOM이민정책연구원 2013

      5 박봉수 ; 김영순 ; 최승은, "중국계 중도입국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을 위한 부모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21 (21): 331-355, 2013

      6 김판준, "중국 동포의 한국 이주 및 체류 유형 변화에 대한 연구" 재외한인학회 (32) : 109-138, 2014

      7 이춘호, "재한 중국 동포의 정체성의 정치: 단체의 조직과 활동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원 21 (21): 143-180, 2014

      8 윤명숙 ; 조혜정 ; 박수영, "연변 조선족 청소년들의 부모와 별거기간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 애착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4 (14): 113-137, 2012

      9 강성희 ; 최운실, "안산 ‘땟골 마을’ 고려인들의 학습 문화기술지 연구" 인문사회 21 12 (12): 1309-1324, 2021

      10 윤진희 ; 권오규 ; 마강래, "서울시 중국국적외국인의 주거지 분포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계 중국인과 비한국계 중국인 비교" 한국지역개발학회 26 (26): 39-54, 2014

      11 이석준 ; 김경민, "서울시 조선족 밀집지 간 특성 분석과 정책적 함의" 서울연구원 15 (15): 1-16, 2014

      12 오정은, "서울 서남권 중국 동포 밀집지역 현황조사" 서울특별시 2015

      13 양한순, "서울 거주 중국동포 실태조사 및 정책 수립연구" 서울특별시 2013

      14 김명정, "동반ㆍ중도입국 자녀들을 위한 다문화교육" 교육연구소 17 (17): 55-76, 2011

      15 문성초등학교, "다문화학생 다수 재학학교의 중국어 특색 교육과정 편성 운영모델 개발 연구" 문성초등학교 2017

      16 대동초등학교, "다문화 감수성 함양을 위한 ‘세계를 품은 4PE 교육’ 적용 모델개발 연구" 서울대동초등학교 2019

      17 광희초등학교, "다가감 프로그램을 통한 글로벌 역량 키우기"

      18 곽동근 ; 임영상, "고려인동포의 ‘귀환’과 도시재생 -안산 고려인마을을 중심으로-" 역사문화연구소 (64) : 175-212, 2017

      19 구로중학교, "각각의 색으로 빛나는 어울림 학교"

      20 충무초등학교, "3Rs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글로벌 역량 신장"

      21 서울특별시 교육청, "2019년 다문화교육 지원 기본 계획" 서울특별시 교육청 2019

      22 서울특별시 교육청, "2019 다문화언어강사 배치학교"

      23 행정안전부, "2018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 행정안전부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20-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3-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재외한인학회 -> 재외한인연구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