秋史 隸書의 造形美 硏究 본 논문은 한국 서예사에서 뛰어난 예술가 중 한 사람으로 꼽히는 추사 김정희의 예서를 중심으로 그 조형미를 연구하였다. 조선후기에 활동한 秋史 金正喜(1...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秋史 隸書의 造形美 硏究 본 논문은 한국 서예사에서 뛰어난 예술가 중 한 사람으로 꼽히는 추사 김정희의 예서를 중심으로 그 조형미를 연구하였다. 조선후기에 활동한 秋史 金正喜(1...
秋史 隸書의 造形美 硏究
본 논문은 한국 서예사에서 뛰어난 예술가 중 한 사람으로 꼽히는 추사 김정희의 예서를 중심으로 그 조형미를 연구하였다. 조선후기에 활동한 秋史 金正喜(1786~1856)는 서예가이자 실학자였으며, 유불도를 바탕으로 그의 학문세계는 考證學, 金石學, 文字, 地理, 天文 등에까지 두루 통달하였다.
추사는 翁方綱과 阮元 등 대 학자들과 교류를 통해 방대한 학문세계와 새로운 碑帖 자료 등을 접하면서 새로운 서예세계를 여는 계기가 되었다.
추사가 연경을 방문할 당시에 청에서는 고증학과 금석학은 물론 문자학의 발달로 당시 새로운 출토물을 바탕으로 비학의 유행을 가져오게 된다. 특히 완원의 「南北書派論」과 「北碑南帖論」의 영향은 비학을 중시하는 尊碑 현상이 나타났다. 이에 청대 서예는 종래 유려한 첩학중심에서 벗어나 강하고 웅장한 北碑에서 미를 찾으려하였다. 당시 비학을 숭상한 서예가들 중에 등석여와 이병수는 鐘鼎文과 漢碑의 필의를 바탕으로 하여 전서와 예서에서 독특한 서풍으로 표현하였다. 또 양주팔괴 가운데 鄭燮과 金農은 전서와 예서 등에서 다양한 필획과 결구법을 혼합하여 독자적인 서예를 구사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예서미를 추사가 비첩자료를 접하면서 결국 추사예서가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추사는 예서에 특별한 관심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隸書는 바로 서법의 祖家이다. 만약 서예에 마음을 두고자 하면 예서를 몰라서는 아니 된다.”라고 한데서 추사의 예서에 대한 심중을 읽을 수가 있다. 그는 예서에서 方勁과 古拙을 으뜸으로 한 西漢隷를 바탕으로 淸高古雅한 필묵속에 문자향서권기를 강조하였다.
추사예서는 鐘鼎文과 西漢隸를 기본으로 파책이 없는 西漢隷를 중시하였다. 그는 한대의 鐘鼎古文에 나타난 자형에서 不整形의 심미의식을 파악함으로서 추사예서의 근간을 형성했다고 볼 수 있다.
추사는 청에서 옹방강을 만난 이후 귀국하여 국내외의 수많은 탁본과 서적 등을 수집하고 탐구하는 문자향 서권기의 정신과 삶을 지향하였다. 여기에 오랜 기간 동안 유배생활을 하면서 생긴 정신적 육체적인 고통이 더해져서 개성 있는 독자적 추사 예서가 형성 되었다. 이러한 추사예서는 조형성과 미적 감각이 뛰어나서이후에 曺匡振(1772~1840)을 비롯하여 權敦仁(1783~1859), 李昰應(1820~1898), 田琦(1825∼1854) 등에게 큰 영향을 미침으로서 전통서예의 풍격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고 평가 할 수 있다.
따라서 추사의 예서는 서한예의 方勁 古拙함과 不定形의 無窮한 변화를 바탕으로 文字香과 書卷氣를 표현하여 學藝一致의 높은 경지에 다다르는 法古創新의 정신을 추구하였다고 볼 수 있다.
주제어 : 秋史, 隸書, 不定形, 文字香書卷氣, 法古創新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