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 주거빈곤 유형화 및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활용하여- =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Types and Prediction Factors of Housing Poverty Among the Elderly - Using Latent Class Analysi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000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주거빈곤 유형화를 통해 다양하고 복합적인 노인 주거빈곤 특성을 보다 면밀하게 이해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각 유형별 특성 및 예측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주거빈곤 유형화를 통해 다양하고 복합적인 노인 주거빈곤 특성을 보다 면밀하게 이해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각 유형별 특성 및 예측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자료는 한국복지패널(KOWEPS) 14차년도 자료(2019년)이며, 만 65세 이상 노인 가구주 3,141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대표적인 주거빈곤 지표와 영향요인을 선정하였고, 분석방법으로 잠재계층분석,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의 주거빈곤은 ‘주거점유불안정형(20.7%)’, ‘설비 및 구조 미충족형(3.5%)’, ‘주거안정형(75.7%)’의 3개의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주거빈곤 유형별 인구학적, 사회경제학적, 주거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공적연금미수급은 주거빈곤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공통요인으로 나타났고, 비지상거주는 ‘주거점유불안정형’에, 단독주택거주는 ‘설비 및 구조 미충족형’에 속할 위험을 높이는 주요 예측요인으로 확인되어 유형별 주거빈곤을 예측하는 중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주거빈곤 위험에 대한 정책적 우선순위 설정, 비지상거주 노인의 주거안정 및 단독주택거주 노인의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제도적·법적 장치마련, 노후소득보장정책 개선 등 노인의 주거빈곤 특성을 고려한 주거지원정책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need to better understand the diverse and complex characteristics of housing poverty among the elderly through their classification types. Additionally, the study establishes principal data for the preparation of housing...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need to better understand the diverse and complex characteristics of housing poverty among the elderly through their classification types. Additionally, the study establishes principal data for the preparation of housing poverty policy for the elderly by analyzing its predictive factors by type. Data from the 2019 Korea Welfare Panel Study Year 14 were used for analysis, and the subjects were 3,141 household owners aged 65 or older. Representative housing poverty indicators and influencing factors were selected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latent class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s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housing poverty among the elderly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housing occupancy anxiety type (20.7%),” “facility and structure unfilled type (3.5%),” and “housing stability type (75.7%).”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socioeconomic, and residential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housing poverty. The non-receipt of public pensions is a common factor that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housing poverty. Non-ground-floor residences have a strong effect that increases the risk of falling into the “housing occupancy anxiety type” and detached house dwellings into the “facility and structure unfilled type,” indicating that they can be used as important indicators to predict housing poverty by 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for a housing welfare policy considering the housing poverty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such as setting appropriate policy priorities, providing institutional and legal mechanisms for stabilizing the housing of the elderly living on the ground, and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elderly living in single-family homes, improving the old age income security policy, etc.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재기, "한국 국민의 통일의식 프로파일 탐색 및 예측" 인문학연구원 83 : 47-83, 2020

      2 이숙현, "패널자료를 이용한 주거빈곤과 문제음주의 관계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0 (40): 520-559, 2020

      3 이다은, "콕스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한 최저주거기준미달 지속기간 영향요인 분석" 국토연구원 100 : 45-60, 2019

      4 임형백, "최저주거기준으로 측정한 출신지별 주거수준의 차이, 1980-2000" 한국지방자치학회 21 (21): 55-78, 2009

      5 김현중, "최저주거기준으로 측정한 농촌지역 고령자의 주거수준 변화와 지역간 격차, 1995~2005" 한국농촌계획학회 16 (16): 49-62, 2010

      6 임세희, "최저주거기준미달가구의 결정요인: 지역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2 (42): 47-73, 2015

      7 박정민, "최저주거기준과 주거비 과부담을 기준으로 한 빈곤가구의 주거취약 유형화와 관련요인"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6 (46): 101-123, 2015

      8 국토해양부, "최저주거기준. 공고 제2011-490호(2011.05.27.)"

      9 진미윤, "최근 주거빈곤의 양상, 어떤 해법이 필요한가?" 197 : 42-55, 2013

      10 머니투데이, "청년·신혼부부는 있는데 … 노인을 위한 집은 없다"

      1 권재기, "한국 국민의 통일의식 프로파일 탐색 및 예측" 인문학연구원 83 : 47-83, 2020

      2 이숙현, "패널자료를 이용한 주거빈곤과 문제음주의 관계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0 (40): 520-559, 2020

      3 이다은, "콕스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한 최저주거기준미달 지속기간 영향요인 분석" 국토연구원 100 : 45-60, 2019

      4 임형백, "최저주거기준으로 측정한 출신지별 주거수준의 차이, 1980-2000" 한국지방자치학회 21 (21): 55-78, 2009

      5 김현중, "최저주거기준으로 측정한 농촌지역 고령자의 주거수준 변화와 지역간 격차, 1995~2005" 한국농촌계획학회 16 (16): 49-62, 2010

      6 임세희, "최저주거기준미달가구의 결정요인: 지역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2 (42): 47-73, 2015

      7 박정민, "최저주거기준과 주거비 과부담을 기준으로 한 빈곤가구의 주거취약 유형화와 관련요인"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6 (46): 101-123, 2015

      8 국토해양부, "최저주거기준. 공고 제2011-490호(2011.05.27.)"

      9 진미윤, "최근 주거빈곤의 양상, 어떤 해법이 필요한가?" 197 : 42-55, 2013

      10 머니투데이, "청년·신혼부부는 있는데 … 노인을 위한 집은 없다"

      11 황경란, "지역사회중심의 노인주거보호체계 연구" 경기복지재단 2015

      12 반정호, "중고령계층의 주거빈곤 결정요인" 84-93, 2006

      13 권연화, "주거취약계층별 주거비부담 결정요인 비교분석: 부산지역을 대상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 32 (32): 119-142, 2020

      14 김윤승, "주거빈곤이 노인의 건강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15 임재현, "주거빈곤이 가족생활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2 (42): 279-304, 2011

      16 김정은, "주거빈곤의 실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0

      17 박문수, "주거빈곤가구의 실태와 최저주거기준 달성방안" 대한주택공사 2000

      18 최은희, "주거빈곤가구 유형별 주거지원 강화 방향 연구" 토지주택연구원 2018

      19 서안나, "주거비 과부담 임차가구의 이질성에 관한 연구" 4 (4): 159-178, 2019

      20 임세희, "주거비 과부담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회 68 (68): 29-50, 2016

      21 김성연, "저소득층을 위한 주거급여 지원 실태와 감사시사점" 감사원 감사연구원 2020

      22 천현숙, "저소득층 독거노인가구의 주거지원방안" 국토연구원 2012

      23 유병선, "저소득 임차가구의 주거비부담 결정 요인 분석: 전세가구와 월세가구의 차이를 중심으로"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6 (26): 1-38, 2017

      24 임세희, "유형별 주거빈곤가구의 차이 - 최저주거기준 하위기준미달, 주거비 과부담, 중복주거빈곤가구" 한국사회정책학회 24 (24): 31-62, 2017

      25 권재기,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행복감 프로파일 탐색" 안암교육학회 20 (20): 201-227, 2014

      26 최성미, "여성독거노인의 주거빈곤이 가족관계 및 사회적 친분관계에 미치는 영향" 전주대학교대학원 2015

      27 권재기, "범주형 혼합모형의 잠재계층 수 결정을 위한 적합도 지수의 평가 :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28 조민혁, "데이터마이닝을 활용한 최저주거기준미달가구의 결정요인: 청년층과 노년층을 중심으로" 1-16, 2017

      29 박경준, "다층모형을 활용한 수도권 거주자의 주거비 결정요인 분석" 국토연구원 87 : 33-48, 2015

      30 정재훈, "농촌노인의 주거환경과 생활만족도 변화추이" 한국농촌건축학회 17 (17): 1-8, 2015

      31 유병선, "노인주거, 노인요양시설 제도 및 사례조사 연구" 경기복지재단 2014

      32 이병석, "노인의 주거빈곤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 가족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3

      33 김홍철, "노인의 사회경제적 박탈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연구: 우울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9 (19): 231-247, 2019

      34 박은주, "노인단독가구의 주거빈곤과 삶의 만족도에관한 연구 : 도시와 농촌 지역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6 (36): 59-81, 2020

      35 박은주, "노인단독가구의 주거빈곤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7 (47): 117-142, 2020

      36 정경희, "노인단독가구의 생활현황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37 심송보, "노년층의 주택점유형태 결정 요인 분석 - 공적이전소득을 중심으로 -" 한국재정정책학회 18 (18): 119-144, 2016

      38 권연화, "노년층의 가구구성 및 주택점유형태에 따른 주거비 부담능력에 관한 분석" 대한토목학회 35 (35): 977-986, 2015

      39 김동배, "노년기 주거빈곤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서비스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회 32 (32): 1041-1061, 2012

      40 노은지, "공적연금 수급이 노인 주거빈곤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2021

      41 통계청, "고령자 통계"

      42 오승연, "고령자 주거실태와 주거정책방향" 6 : 19-36, 2016

      43 고홍, "고령세대 주거비 부담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 33 (33): 47-55, 2017

      44 김윤영, "개별급여 이후 주거급여의 현황과 과제" 111-119, 2019

      45 윤의열, "가구주 연령대별 주거빈곤 결정요인 비교"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46 Dewilde, C, "The multidimensional measurement of poverty in Belgium and Britain: A categorical approach" 68 : 331-369, 2004

      47 Blau, Peter M., "The american occupational structure" The Free Press 1967

      48 Arthurson, K., "Social exclusion and housing" Australian Housing and Urban Research Institute 2003

      49 Means, R, "Safe as houses? Ageing in place and vulnerable older people in the UK" 41 (41): 65-85, 2007

      50 Gibbs. R, "Rural Education at a Glance" Economic Research Servic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0

      51 Hamza, C. A., "Nonsuicidal Self Injury and Suicidal Behavior: A Latent Class Analysis among Young Adults" 8 (8): 1-7, 2013

      52 Muthén, B. O., "Integrating person-centered and variable-centered analysis: Growth mixture modeling with latent trajectory classes" 24 : 882-891, 2000

      53 Jacobs D. E, "Housing and health: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2005

      54 Nagin, D. S, "Group-based modeling of develop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2005

      55 Latimer. M., "Good Country Living? Exploring Four Housing Outcomes Among Poor Appalachians" 24 (24): 315-334, 2010

      56 Hill, K. G., "Early Adult Outcomes of Adolescent Binge Drinking : Person-and Variable-Centered Analyses of Binge Drinking Trajectories" 24 (24): 892-901, 2000

      57 Nylund, K. L., "Deciding on the number of classes in latent class analysis and growth mixture modeling: A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14 : 535-569, 2007

      58 Hagenaars, J, ., "Applied latent class analysis mode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59 Gibler, K. M, "Aging-Subsidized Housing Residents: A Growing Problem in U.S. Cities" 25 (25): 395-420, 2003

      60 Muthén, B. O, "Advances in latent variable mixture models" Information Age Publishing, Inc 1-24, 2008

      61 국토교통부, "2019년도 주거실태조사"

      62 보건복지부, "2019 국민기초생활수급자 현황"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사회복지정책 18집 -> 사회복지정책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4 1.42 1.617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