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유정의 소설 쓰기와 자기 인식-<슬픈이야기>, <따라지> 분석 = Kim, You-Jung’s novel-writing and self-percep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422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m, You-Jung’s sul-pen-i-ya-ki and tta-ra-ji take place in a single rented room in the city and have in common accepting ‘peek’ motif. I think that the common features are influenced by writers of ‘the association of nine members’ like Park Tae Won and Lee Sang. Of course, Kim, You - Jung writes a story in his way deforming ‘ku-in-hoe’s way. So, he uses the crack of ‘peek’ as the window staring at himself. The subject of ‘peek’ in the sul-pen-i-ya-ki is the same as “I” in the story and the subject of ‘peek’ in the “Ttaraji” is Ahkkikko as a waitress in the cafe. If “I” as a narrator of sul-pen-i-ya-ki am considered as an author, sul-pen-i-ya-ki is a story staring at Kim, You-Jung and tta-ra-ji is a story staring at himself through a female figure. Then, the difference of a staring subject causes the gap looking Kim, You - Jung, himself as the author. And finally, such a gap causes the difference of ‘Leaving’ and ‘Returning’ in the each subject, and It can be showed the effort exposing and healing the wound. Also, a effort healing wounds in the “ttaraji” is expressed as a love of woman for Tolstoy, who is the waitress in the cafe and the prostitute.
      번역하기

      Kim, You-Jung’s sul-pen-i-ya-ki and tta-ra-ji take place in a single rented room in the city and have in common accepting ‘peek’ motif. I think that the common features are influenced by writers of ‘the association of nine members’ like Park...

      Kim, You-Jung’s sul-pen-i-ya-ki and tta-ra-ji take place in a single rented room in the city and have in common accepting ‘peek’ motif. I think that the common features are influenced by writers of ‘the association of nine members’ like Park Tae Won and Lee Sang. Of course, Kim, You - Jung writes a story in his way deforming ‘ku-in-hoe’s way. So, he uses the crack of ‘peek’ as the window staring at himself. The subject of ‘peek’ in the sul-pen-i-ya-ki is the same as “I” in the story and the subject of ‘peek’ in the “Ttaraji” is Ahkkikko as a waitress in the cafe. If “I” as a narrator of sul-pen-i-ya-ki am considered as an author, sul-pen-i-ya-ki is a story staring at Kim, You-Jung and tta-ra-ji is a story staring at himself through a female figure. Then, the difference of a staring subject causes the gap looking Kim, You - Jung, himself as the author. And finally, such a gap causes the difference of ‘Leaving’ and ‘Returning’ in the each subject, and It can be showed the effort exposing and healing the wound. Also, a effort healing wounds in the “ttaraji” is expressed as a love of woman for Tolstoy, who is the waitress in the cafe and the prostitut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김유정은 농촌의 토속적인 세계를 그린 작가로 이름이 높다. 그러나 그의 소설 목록에서 도시를 배경으로 한 소설은 결코 적지 않으며 그 성과도 만만치 않다. 그는 ‘구인회’의 회원이었다. 박태원의 소설을 즐겨 읽었으며 결핵과 문학을 매개로 이상과 교유했다. 특히 김유정 말년의 도시 배경 소설은 ‘구인회’의 소설 문법을 일정 정도 따르고 있다. 「두꺼비」, 「슬픈이야기」, 「따라지」가 그러하다. 그 중 「슬픈이야기」와 「따라지」는 김유정이 자신만의 방식으로 구인회의 소설 문법을 전유하여 창작한 작품이다. 그런데 김유정의 주제 의식은 박태원, 이상과는 차이가 있었다. 박태원이 작가의 분신격인 인물을 형상화하는 데 사회적ㆍ경제적 낙오자적인 측면을, 이상이 예술가적인 측면을 부각했다면, 김유정은 슬픔이 고여 있는 지나온 삶의 한 때를 작중에 그렸다. 그것은 삶의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비장한 각오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는 두 작품에서 각각 ‘나’와 까페 여급 아끼꼬의 ‘엿보기’를 통해 슬픔에 싸인 자기를 돌아보고 또한 그 자기를 껴안음으로써 자기인식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따라지」에서는 작중 인물, 아끼꼬가 작가의 분식격인 톨스토이를 짝사랑한다. 이 ‘사랑’은 실상 작가가 자신에게 보내는 사랑으로서 이전과는 다른 자기인식의 모습을 보여준다.
      번역하기

      김유정은 농촌의 토속적인 세계를 그린 작가로 이름이 높다. 그러나 그의 소설 목록에서 도시를 배경으로 한 소설은 결코 적지 않으며 그 성과도 만만치 않다. 그는 ‘구인회’의 회원이었...

      김유정은 농촌의 토속적인 세계를 그린 작가로 이름이 높다. 그러나 그의 소설 목록에서 도시를 배경으로 한 소설은 결코 적지 않으며 그 성과도 만만치 않다. 그는 ‘구인회’의 회원이었다. 박태원의 소설을 즐겨 읽었으며 결핵과 문학을 매개로 이상과 교유했다. 특히 김유정 말년의 도시 배경 소설은 ‘구인회’의 소설 문법을 일정 정도 따르고 있다. 「두꺼비」, 「슬픈이야기」, 「따라지」가 그러하다. 그 중 「슬픈이야기」와 「따라지」는 김유정이 자신만의 방식으로 구인회의 소설 문법을 전유하여 창작한 작품이다. 그런데 김유정의 주제 의식은 박태원, 이상과는 차이가 있었다. 박태원이 작가의 분신격인 인물을 형상화하는 데 사회적ㆍ경제적 낙오자적인 측면을, 이상이 예술가적인 측면을 부각했다면, 김유정은 슬픔이 고여 있는 지나온 삶의 한 때를 작중에 그렸다. 그것은 삶의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비장한 각오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는 두 작품에서 각각 ‘나’와 까페 여급 아끼꼬의 ‘엿보기’를 통해 슬픔에 싸인 자기를 돌아보고 또한 그 자기를 껴안음으로써 자기인식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따라지」에서는 작중 인물, 아끼꼬가 작가의 분식격인 톨스토이를 짝사랑한다. 이 ‘사랑’은 실상 작가가 자신에게 보내는 사랑으로서 이전과는 다른 자기인식의 모습을 보여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기, "金裕貞-그 문학과 생애" 知文社 1992

      2 김종구, "金裕貞 소설의 행위자, 초점자, 서술자와 敍事水準" 21 : 1996

      3 홍혜원, "폭력의 구조와 소설적 진실 -김유정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소설학회 (47) : 391-417, 2011

      4 이경림, "초기 박태원 소설과 이상 소설에 나타나는 공동 모티프에 관한 연구-‘절름발이’ 짝 모티프를 중심으로, In 박태원 문학과 창작방법론" 깊은샘 2011

      5 김한식, "절망적 현실과 화해로운 삶의 꿈-‘구인화’와 김유정" 상허학회 3 : 1996

      6 전신재, "원본 김유정 전집" 강 2008

      7 이부영, "분석심리학-C.G.융의 인간심성론" 일조각 2011

      8 유인순, "김유정을찾아가는길" 솔과학 2003

      9 유인순, "김유정문학연구" 강원대학교출판부 1988

      10 유인순, "김유정과 우울증" 한국현대소설학회 35 (35): 121-138, 2007

      1 김영기, "金裕貞-그 문학과 생애" 知文社 1992

      2 김종구, "金裕貞 소설의 행위자, 초점자, 서술자와 敍事水準" 21 : 1996

      3 홍혜원, "폭력의 구조와 소설적 진실 -김유정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소설학회 (47) : 391-417, 2011

      4 이경림, "초기 박태원 소설과 이상 소설에 나타나는 공동 모티프에 관한 연구-‘절름발이’ 짝 모티프를 중심으로, In 박태원 문학과 창작방법론" 깊은샘 2011

      5 김한식, "절망적 현실과 화해로운 삶의 꿈-‘구인화’와 김유정" 상허학회 3 : 1996

      6 전신재, "원본 김유정 전집" 강 2008

      7 이부영, "분석심리학-C.G.융의 인간심성론" 일조각 2011

      8 유인순, "김유정을찾아가는길" 솔과학 2003

      9 유인순, "김유정문학연구" 강원대학교출판부 1988

      10 유인순, "김유정과 우울증" 한국현대소설학회 35 (35): 121-138, 2007

      11 전상국, "김유정-시대를 초월한 문학성"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5

      12 전신재, "김유적문학의 전통성과 근대성"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1997

      13 김주리, "근대 사회의 관음증과 李箱이상 소설의 육체" 문예운동사 107 : 2010

      14 현순영, "구인회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15 전남일, "‘최소한의 주택’의 사회사적 변천과 공간 특성 - 일제강점기 이후 현재까지 서울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7 (27): 191-202,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8 1.285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