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백신애 소설과 수필을 ‘낭만성’을 통해 조명한 논문이다. ‘식민지 현실의 궁핍상에 대한 리얼리즘 소설’, ‘여성적 타자성’이라는 기존의 논의의 흐름에서 누락된 백신애 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581717
2011
Korean
백신애 ; 낭만성 ; 이국취향 ; 반근대 ; 낭만적 아이러니 ; 나르시시즘 ; 모성 ; 예술 ; 사랑 ; Sin-ae Baek ; Romanticism ; Exoticism ; Anti-modern ; Romantic irony ; Narcissism ; Motherhood ; Art ; Love
810
KCI등재
학술저널
285-320(36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백신애 소설과 수필을 ‘낭만성’을 통해 조명한 논문이다. ‘식민지 현실의 궁핍상에 대한 리얼리즘 소설’, ‘여성적 타자성’이라는 기존의 논의의 흐름에서 누락된 백신애 작...
이 글은 백신애 소설과 수필을 ‘낭만성’을 통해 조명한 논문이다. ‘식민지 현실의 궁핍상에 대한 리얼리즘 소설’, ‘여성적 타자성’이라는 기존의 논의의 흐름에서 누락된 백신애 작품의 ‘낭만성’은 초기 사회주의 사상에 경도된 작품이나 후기 탐미적 작품의 근저에 흐르고 있는 작가의 기질로 보인다. 본고에서는 ‘낭만성’을 백신애 수필의 삶의 미학화, 시적 감수성, 낭만적 주관성을 통해 고찰하고 이것이 어떻게 소설과 삶에까지 이어지는지를 살펴보았다. ‘백합화’ ‘푸른꽃’으로 표상되는 낭만적 태도는 백신애의 시베리아 모험의 주된 계기가 되었고, 이는 혁명적 사회주의 사상에 대한 동조와 단체 활동으로 연결된다. 이국 취향과 유토피아적 충동, 낭만적 주관성과 관련된 작가의 ‘낭만성’은 리얼리즘 작품에서는 낭만적 허구성과 피상성, 격정적인 문장과 비약 등으로 노출되고 있으며, 「학사」 「어느 전원의 풍경」 「일여인」 같은 풍자소설에서는 반근대성으로 표출된다. 또한 이상과 현실의 간극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는 ‘낭만적 아이러니’는 「정현수」나 「혼명에서」에서 형상화되고 있으며, 「아름다운 노을」에서 첨예하게 표출되고 있다. 이 작품에서 작가는 아들 같은 소년과의 낭만적이며 비극적 사랑을 ‘모성’으로 승화시키려 하지만, 완전히 봉합되지 않는 자기애적 ‘사랑’과 ‘예술’은 ‘자기 소멸 의지’에 함축된 멜랑콜리 정서를 통해 균열적으로 드러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examined romanticism of the novels and essays of Sin-ae Baek. The romanticism is basis of Sin-ae Baek' works, which was disregarded in existing study that focused on realism and feminism. Romanticism appears from the early realism wor...
In this paper, I examined romanticism of the novels and essays of Sin-ae Baek. The romanticism is basis of Sin-ae Baek' works, which was disregarded in existing study that focused on realism and feminism. Romanticism appears from the early realism works to the late esthetic works. The esthetic attitude, poetic sensibility, romantic subjectivity of essays influenced Baek's novels and her life. The 'lily', 'blue flower' of romantic symbolic related Baek's Siberia travel, her revolutionary socialism and activity. Baek's realistic works reveal exoticism, drive to Utopia and romantic subjectivity through unrealistic, superficial, passionate feature and jump of phase. Romanticism is expressed anti-modern in satire novels. The romantic irony based on recognition of gap the Ideal and the Real is expressed in 'Jung Hyun-Su' 'Be in confusion' 'Beautiful sunset'.
Baek would like to sublimate tragic love and romance in motherhood in 'Beautiful sunset'. But melancholy sadness of thanatos is exposed uncovered narcissism, Eros and crack.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수, "우리는 왜 지금 낭만주의를 이야기하는가" 책세상 2002
2 권보드래, "연애의 시대" 현실문화 연구 2003
3 김지영, "연애라는 표상" 소명출판사 2007
4 백신애, "아름다운 노을(외)" 범우사 2004
5 박종홍, "신여성의 ‘양가성’과 ‘집 떠남’ 고찰" 한민족어문학회 48 (48): 307-332, 2006
6 연구공간 수유+근대매체연구팀, "신여성" 한겨레신문사 2005
7 백철, "신문학사조사" 신구문화사 2003
8 백신애, "슈크림" 만인사 2010
9 서정자, "백신애의 여성해방의식" (59) : 1988
10 안숙원, "백신애의 반미학과 페미니즘" 4 : 2000
1 김진수, "우리는 왜 지금 낭만주의를 이야기하는가" 책세상 2002
2 권보드래, "연애의 시대" 현실문화 연구 2003
3 김지영, "연애라는 표상" 소명출판사 2007
4 백신애, "아름다운 노을(외)" 범우사 2004
5 박종홍, "신여성의 ‘양가성’과 ‘집 떠남’ 고찰" 한민족어문학회 48 (48): 307-332, 2006
6 연구공간 수유+근대매체연구팀, "신여성" 한겨레신문사 2005
7 백철, "신문학사조사" 신구문화사 2003
8 백신애, "슈크림" 만인사 2010
9 서정자, "백신애의 여성해방의식" (59) : 1988
10 안숙원, "백신애의 반미학과 페미니즘" 4 : 2000
11 홍기돈, "백신애가 지향한 이념의 방향과 문학 좌표의 설정" 우리문학회 (27) : 361-384, 2009
12 백신애, "백신애 전집" 현대문학 2009
13 김윤식, "백신애 연구초" 2 : 1986
14 권오현, "백신애 소설의 전형기 신여성 형상화 양상" 2009
15 김지영, "백신애 소설 연구 - 경계인(境界人)의 정체성과 모성 강박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소설학회 38 (38): 35-67, 2008
16 최혜실, "백신애 문학에 나타난 이중적 타자성" 한국현대소설학회 24 (24): 25-48, 2004
17 한명환, "백신애 문학 연구의 향방과 전망" 인문과학연구소 (23) : 103-134, 2009
18 서영인, "백신애 문학 연구 - 타자인식의 근거로서의 지방성과 자기탐구의 욕망 -" 한민족문화학회 (29) : 239-268, 2009
19 신명아, "라깡의 시각예술에서 라깡의 실재와 숭고한 대상물의 관계 연구, In 라깡의 재탄생" 창작과 비평사 2002
20 딜런 에반스, "라깡 정신분석 사전" 인간사랑 1998
21 숀호머, "라깡 읽기" 은행나무 2005
22 지그문트 프로이트, "나르시시즘 서론, In 정신분석학의 근본개념" 2005
23 천정환, "근대의 책읽기" 푸른 역사 2004
24 조주현, "광기를 통해 본 여성임의 의미-백신애의 「광인수기」와 C. P. Gilman의 「The Yellow Wallpaper」를 중심으로" 11 : 1992
25 김연숙, "社會主義 思想의 수용과 女性作家의 正體性"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3 (33): 333-358, 2005
26 민현기, "白信愛 小說 研究" 18 : 1991
27 김희라, "「로미오와 줄리엣」에 나타난 사랑의 자기애적 구조" 한국셰익스피어학회 39 (39): 315-334, 2003
28 김대성, "‘잔여적인 것’으로서의 문학과 지역-백신애 문학의 해석적 틀에 관한 비판적 고찰" 2009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3-23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근대문학연구외국어명 :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7 | 0.67 | 0.6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9 | 0.8 | 1.362 | 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