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취업모의 자아탄력성 및 자녀교육 참여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사회적 능력의 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833184
서울 : 고려대학교, 2015
학위논문(석사)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 전공 , 2015
2015
한국어
375.1 판사항(6)
372.21 판사항(23)
서울
iii, 68장 ; 26 cm
권말부록: 설문지
지도교수: 정옥분
참고문헌: 장 48-5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취업모의 자아탄력성 및 자녀교육 참여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사회적 능력의 차...
본 연구에서는 취업모의 자아탄력성 및 자녀교육 참여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사회적 능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에서 여아집단이 남아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취업모의 자아탄력성 및 자녀교육 참여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취업모의 스트레스 상황 대처 시 낙관성과 스트레스 대처능력이 높을수록 유아의 인기도/지도력, 사회적 참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취업모의 가정기반 교육 참여와 기관기반 교육 참여가 높을수록 유아의 인기도/지도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성별, 취업모의 자아탄력성 및 자녀교육 참여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전체에는 유아의 성별과 취업모의 가정기반 교육 참여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사회적 능력 하위요인별로는 유아의 성별, 취업모의 가정기반 교육 참여 및 스트레스 대처능력이 유아의 인기도/지도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유아의 성별과 취업모의 낙관성은 유아의 사회적 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취업모의 자아탄력성 및 자녀교육 참여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대한 국내 연구가 미미한 실정에서 취업모의 자아탄력성 및 자녀교육 참여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으로 논의하여 보다 폭 넓은 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아동 및 청소년기에 국한되어있던 자아탄력성에 관한 연구들에서 벗어나 자녀 양육과 직장 간의 스트레스 상황에 놓여져 있는 취업모를 대상으로 연구를 했다는 점에서 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부모상담 및 유아교육 기관의 부모참여 프로그램 개발에 적극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