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hlorellaceae Microalgae from Ulleung-island : 울릉도유래 Chlorellaceae 미세조류의 분리, 동정 및 특성 규명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76767

      • 저자
      • 발행사항

        대구 :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 학위논문사항

        Thesis (M.A.) --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 생명과학부 , 2019. 2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영어

      • 주제어
      • DDC

        579.8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대한민국

      • 형태사항

        iii, 57 p. : ill. ; 26 cm.

      • 일반주기명

        Thesis Advisor: 윤호성.
        Includes bibliographical references.

      • UCI식별코드

        I804:22001-000000094242

      • 소장기관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산업화가 진행되어 감에 따라 과도한 화석연료 소모로 인해 발생한 지구온난화와 에너지자원의 고갈 등의 문제가 관심 받고 있다. 산업화로부터 발생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대체가능한 재생에너지원의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 졌으며, 그 중 바이오 연료가 각광받았다. 과거 바이오 연료는 곡물 혹은 농업부산물 등을 원료로 하여 바이오 에탄올과 디젤을 생산하였으나, 식량문제 및 추출 가공 과정의 비효율성으로 인해 한계에 맞닥뜨리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바이오 연료 생산에 적합한 균주 자원의 발굴을 위해 울릉도 유래의 Chlorella vulgaris KNUA104, Chlorella sorokiniana KNUA114 그리고 Chlorella sorokiniana KNUA122를 분리 및 동정하였다. 분리, 동정된 3가지 균주들은 Chlorella속의 생리적 특징인 빠른 생장률을 보여주었으며, 바이오 매스 생산에 유용한 균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보다 효율적인 배양방법을 통한 대량배양 및 산업화에 적용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유기 탄소원을 에너지원으로 공급하는 타가영양(heterotrophic) 및 혼합영양(mixotrophic) 배양법을 적용시켜 보았다. 그 결과 생장률이 향상되고 바이오매스 생산량 및 지질함량이 증가하였다. GC/MS 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지질함량과 성분분석을 하였고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산업적으로 유용한 포화지방산의 함량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온도 별 지질변화 실험을 실시하였고, 배양온도가 상승할수록 포화지방산의 함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더 잘 자라는 Chlorella sorokiniana KNUA114는 포화지방산 함량이 가장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Chlorella속 균주들의 특징이자 장점인 빠른 생장률을 이용하기 위해 유기 탄소원을 제공하는 배양방법은 바이오 매스 생산량과 지질함량의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배양온도를 높여주면 산업적으로 유용한 포화지방산을 보다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유용한 균주 발굴과 배양방법 및 배양조건 개발이 앞으로 바이오 연료 산업화 적용을 앞당기기 위한 또 하나의 연구방향중 하나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번역하기

      산업화가 진행되어 감에 따라 과도한 화석연료 소모로 인해 발생한 지구온난화와 에너지자원의 고갈 등의 문제가 관심 받고 있다. 산업화로부터 발생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대체가능한...

      산업화가 진행되어 감에 따라 과도한 화석연료 소모로 인해 발생한 지구온난화와 에너지자원의 고갈 등의 문제가 관심 받고 있다. 산업화로부터 발생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대체가능한 재생에너지원의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 졌으며, 그 중 바이오 연료가 각광받았다. 과거 바이오 연료는 곡물 혹은 농업부산물 등을 원료로 하여 바이오 에탄올과 디젤을 생산하였으나, 식량문제 및 추출 가공 과정의 비효율성으로 인해 한계에 맞닥뜨리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바이오 연료 생산에 적합한 균주 자원의 발굴을 위해 울릉도 유래의 Chlorella vulgaris KNUA104, Chlorella sorokiniana KNUA114 그리고 Chlorella sorokiniana KNUA122를 분리 및 동정하였다. 분리, 동정된 3가지 균주들은 Chlorella속의 생리적 특징인 빠른 생장률을 보여주었으며, 바이오 매스 생산에 유용한 균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보다 효율적인 배양방법을 통한 대량배양 및 산업화에 적용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유기 탄소원을 에너지원으로 공급하는 타가영양(heterotrophic) 및 혼합영양(mixotrophic) 배양법을 적용시켜 보았다. 그 결과 생장률이 향상되고 바이오매스 생산량 및 지질함량이 증가하였다. GC/MS 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지질함량과 성분분석을 하였고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산업적으로 유용한 포화지방산의 함량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온도 별 지질변화 실험을 실시하였고, 배양온도가 상승할수록 포화지방산의 함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더 잘 자라는 Chlorella sorokiniana KNUA114는 포화지방산 함량이 가장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Chlorella속 균주들의 특징이자 장점인 빠른 생장률을 이용하기 위해 유기 탄소원을 제공하는 배양방법은 바이오 매스 생산량과 지질함량의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배양온도를 높여주면 산업적으로 유용한 포화지방산을 보다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유용한 균주 발굴과 배양방법 및 배양조건 개발이 앞으로 바이오 연료 산업화 적용을 앞당기기 위한 또 하나의 연구방향중 하나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INTRODUCTION 1
      • 2. MATERIALS AND METHODS 5
      • 2.1. Sampling and isolation of microalgae 5
      • 2.2. Morphological and molecular identification 8
      • 2.2.1.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8
      • 1. INTRODUCTION 1
      • 2. MATERIALS AND METHODS 5
      • 2.1. Sampling and isolation of microalgae 5
      • 2.2. Morphological and molecular identification 8
      • 2.2.1.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8
      • 2.2.2. Molecular identification 8
      • 2.3. Growth condition test 11
      • 2.3.1. Optimal temperature test 11
      • 2.3.2. Glucose concentration test 11
      • 2.4. Measurement of biomass productivity 12
      • 2.5. Extraction and quantification of total lipids 12
      • 2.6.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nalysis 13
      • 3. RESULT 15
      • 3.1. Aseptic isolation of algal strain 15
      • 3.2. Identification of isolated algal strain 15
      • 3.2.1.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15
      • 3.2.2. Molecular identification 16
      • 3.3. Analysis of growth pattern 22
      • 3.3.1. Measurement of growth rate in different temperature 22
      • 3.3.2. Measurement of growth rate in different glucose concentration 25
      • 3.4. Morphological variation with heterotrophic and mixotrophic 31
      • 3.5. Analysis of biomass productivity 40
      • 3.6. Total lipid contents analysis with SPV method 43
      • 3.7. FAME analysis with GC/MS 46
      • 4. DISCUSSION 48
      • 5. REFERENCES 5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