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경기도 지역 가톨릭 유치원의 부모교육 실태 및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866802

      • 저자
      • 발행사항

        수원 :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2007. 2

      • 발행연도

        2007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iv, 66장 : 삽도 ; 26 cm.

      • 소장기관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실태를 알아보고 교사와 부모의 인식·요구를 조사 분석하여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 적합한 미래지향적인 부모프...

      본 연구는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실태를 알아보고 교사와 부모의 인식·요구를 조사 분석하여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 적합한 미래지향적인 부모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여 부모교육의 효율성제고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부모교육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부모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부모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내 가톨릭유치원 중 교사 158명과 학부모 18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각 문항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 t-검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교육 실시 횟수현황을 보면 교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부모교육을 6개월에 2회 정도 학부모는 6개월에 1회 정도의 요구를 나타냈다. 이는 교사가 학부모보다 교육현장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더욱 절실히 느끼고 또한 가정과의 연계성 있는 교육을 지향하여 유아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환경적 요구조건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부모교육 참여 정도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 모두 시간적 여유 부족으로 부모교육에 참여하지 못하는 것이 주된 이유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교육의 필요성은 교사와 학부모 모두 유아교육기관에서 부모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교사는 유치원과 가정의 연계 교육을 위해 부모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에 학부모는 올바른 자녀 교육을 위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교육의 내용에 대한 교사의 요구는 부모역할과 양육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은 반면에 학부모는 자녀에게 자신감을 키워주는 방법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부모참여 활동의 필요성에 대해 교사와 학부모 모두 참여활동 중 교통안전 및 귀가지도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학부모는 안전, 위생 영양에 대한 모니터에 대한 요구도 높았다.
      본 연구결과 가톨릭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부모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구안을 위해서 지금까지 유치원에서 실시하여 온 부모교육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또한 부모들이 부모교육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부모에게 가장 적합한 주제를 선정하여 교육하고 유치원에서 실시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정보제공자, 협력자, 환경제공자의 역할을 해야 할 것 같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conducted by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parents about them, and their relevant needs in a bid to lay the foundation 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conducted by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parents about them, and their relevant needs in a bid to lay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futuristic parent-education programs suitable for those institutions to bolster the efficiency of parent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1. What is the state of parent education provided by different typ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2. What are the views of teachers and parents about parent education provided by different typ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3. What are the needs of teachers and parents for parent education provided by different typ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58 teachers and 180 parents in Catholic kindergarten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program, and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for each item were obtained. In addition, t-test was utilized.
      The brief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frequency of parent education, the teachers preferred that education to be offered about twice for a semester, and the parents wanted to receive that education approximately once during a semester. It seemed because the teachers felt the more desperate need for parent education than the parents, and another reason seemed that given the exist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t's needed to provide education in collaboration with families to improve preschool education.
      Second, as to the involvement of the parents in parent education, both the teachers and parents singled out time constraints as the major cause to deter the parents from taking that education.
      Third, as for the necessity of parent education, both groups found it necessary for preschool education institutions to conduct parent education. The teachers consented to the necessity of parent education in order to have kindergartens and families join forces in offering successful education, while the parents were in favor of it to educate their children in the right way.
      Fourth, regarding what should be taught, the teachers placed the most emphasis on parent roles and child rearing, whereas the parents gave the most weight to the way of instilling confidence in children.
      Fifth, in terms of the necessity of parent-involved activities, both groups believed that parents should take part in teaching young children about traffic safety and returning home. The parents wanted to check on their children's safety, hygiene and nutrition as well.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in order to construct parent- education programs intended for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existing parent education should be evaluated first of all. Besides, kindergartens should serve as an information provider, collaborator and environmental constructor by grasping the way parents look at parent education, by selecting ideal themes for them, and by preparing successful parent education program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Ⅰ장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4
      • 제Ⅱ장 이론적 배경 = 5
      • 1. 부모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 5
      • 제Ⅰ장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4
      • 제Ⅱ장 이론적 배경 = 5
      • 1. 부모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 5
      • 2. 부모교육의 내용 및 방법 = 7
      • 3. 선행 연구 = 12
      • 제Ⅲ장 연구방법 = 15
      • 1. 연구 대상 = 15
      • 2. 연구 도구 = 19
      • 3. 연구 절차 = 19
      • 4. 자료 분석 = 20
      • 제Ⅳ장 연구 결과 및 해석 = 21
      • 제Ⅴ장 결론 및 제언 = 40
      • 1. 결론 = 40
      • 2. 제언 = 43
      • 참고문헌 = 45
      • 부록 = 49
      • ABSTRACT = 6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