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본 연구는 ‘지역색채를 활용한 공공 공간디자인 제작 프로그램 개발’을 학생들의 공동체 의식 함양과 창의·융합 사고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학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913560
서울 :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학위논문(석사) --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2021. 8
2021
한국어
742 판사항(22)
서울
A Study on Developing Public Space Design Program Using Regional Colors : Focusing on the Art Education in Middle School
xi, 139 p. : 천연색삽화 ; 26 cm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심영옥
참고문헌: p. 124-127
I804:11006-20000050102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본 연구는 ‘지역색채를 활용한 공공 공간디자인 제작 프로그램 개발’을 학생들의 공동체 의식 함양과 창의·융합 사고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학생...
국문초록
본 연구는 ‘지역색채를 활용한 공공 공간디자인 제작 프로그램 개발’을 학생들의 공동체 의식 함양과 창의·융합 사고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학생들이 지역의 역사·문화유적지를 탐방 한 후 지역색채를 추출하고, 이를 지역 공공 공간디자인 제작 프로그램 개발에 적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도출하고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현재 학생들은 ‘입시위주 교육’과 ‘주입식 교육’으로 본인의 장단점을 발견할 기회조차 얻지 못하고 있다. 또한, 획일화된 교육은 청소년들이 주체적이지 못하고, 공동체 의식이 결여되어 리더쉽과 협동심이 부족하다. 이러한 현상은 학교 교육뿐만 아니라 사회 문제점까지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지역색채를 활용한 공공 공간디자인 제작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학생들과 공감하는 미술 교과 과정의 체험·표현 영역으로 활용한다면, 창의·융합형 인재상이 실현될 뿐만 아니라 해결 방법을 찾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2장에서는 공공 공간디자인과 지역색채 이해를 위한 개념과 필요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또한 중학교 미술 교과 과정에서 지역색채와 공공디자인이 관련된 교육 현황을 분석하고, 청소년들의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해 지역색채를 활용한 공공 공간디자인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분석한 결과, 6종 교과서에서 지역색채와 공공 공간디자인이 연계되어 나온 단원은 살펴볼 수 없었다. 그뿐만 아니라 중학교 미술 교과서에 수록된 디자인 및 공예디자인 수업 내용이 학생들에게 실생활에서 활용될 수 있는 첨단 미술의 분야가 거의 다뤄지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4차 산업 혁명시대 학생들을 창의·융합형 인재로 양성하기 위해 미술 교과서에서 디자인 및 공예디자인 수업이 보편화 될 수 있도록 교과서 개선이 필요하다.
3장에서는 지역색채를 활용한 공공 공간디자인 교육의 필요성을 고려하여 체험·표현을 통한 핵심영역으로 세 가지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목포시 공공디자인 분류 체계에 따른 지역색채에 관련된 문제점을 찾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색채 팔레트 제작 교육 프로그램’, ‘지역색채 활용 도시홍보 책자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지역 주조색 활용 랜드마크 리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등을 구성하였다.
이를 위한 수업모형은 중학교 성취기준과 체험·표현 활동을 고려하여 지역의 공공디자인 적용 실태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지역의 문화적‧역사적 가치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방안에 대해 계획 하였다. 또한 다른 지역색채의 현황을 알아보고 비교 분석하여 목포시가 보유하고 있는 문화‧역사적 특색을 대표하는 색채를 선정하였다. 이에 따라 학생들은 여러 매체를 사용하여 홍보물을 계획하고 제작하여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이는 2015 개정 미술 교육과정에서 목표로 하는 ‘자신과 주변의 환경 관계 이해’, ‘시각문화 소통 방식 활용’, ‘주제와 의도에 적합한 표현 과정 계획 및 점검’ 등은 중학교 미술 활용능력을 증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제4장에서는 지역색채를 활용한 공공 공간디자인 제작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서 교육적 효과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적 효과로 첫째, 공공디자인에 대한 비판적 사고 및 미적 안목의 변화를 일으켰다. 둘째, 지역색채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셋째, 청소년의 정서적 안정성과 변화가 일어났다. 이를 통하여 본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지역색채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도시 공공 공간디자인 제작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프로그램이 미술 교육 과정에서 체험·표현 영역으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과정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활성화 방안이 요구된다. 첫째, 미술 교육 과정에서 공공디자인 체험 교육 영역을 확대하는 것이다. 둘째, 지역 공공디자인 체험을 통한 지역 시민 의식을 함양시키는 것이다. 셋째, 미술 교육 과정에서 지역의 역사·문화적 이해를 위한 융합수업을 해야 한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정서 변화, 공동체 의식 고취, 지역 공공디자인 개선에 따른 창의·융합 사고 능력을 향상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