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성일, "해사록"
2 김세렴, "해사록"
3 신숙주, "해동제국기"
4 이호윤, "아라이 하쿠세키와 아메노모리 호슈 - 조선으로부터의 시선 -" 석당학술원 (45) : 139-173, 2009
5 정응수,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의 조선통신사 의례 개정에 관하여" 한국일본문화학회 (24) : 305-320, 2005
6 조영심,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에 대한 정보 유입과 담론의 변화 -사행 기록에서 연구 대상에까지-" 동아인문학회 (35) : 61-98, 2016
7 김보경, "붓끝으로 부사산 바람을 가르다" 소명출판 2006
8 임수간, "동사일기"
9 송희경, "노송당일본행록"
10 남성호, "근세일본의 아악부흥과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 동아시아고대학회 (31) : 133-165, 2013
1 김성일, "해사록"
2 김세렴, "해사록"
3 신숙주, "해동제국기"
4 이호윤, "아라이 하쿠세키와 아메노모리 호슈 - 조선으로부터의 시선 -" 석당학술원 (45) : 139-173, 2009
5 정응수,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의 조선통신사 의례 개정에 관하여" 한국일본문화학회 (24) : 305-320, 2005
6 조영심,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에 대한 정보 유입과 담론의 변화 -사행 기록에서 연구 대상에까지-" 동아인문학회 (35) : 61-98, 2016
7 김보경, "붓끝으로 부사산 바람을 가르다" 소명출판 2006
8 임수간, "동사일기"
9 송희경, "노송당일본행록"
10 남성호, "근세일본의 아악부흥과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 동아시아고대학회 (31) : 133-165, 2013
11 井上厚史, "相剋の日韓関係史" 渓水社 2020
12 鄭英實, "朝鮮後期知識人と新井白石像の形成ー使行録を中心に" 関西大学文化交渉學研究據占 4 : 2011
13 민덕기, "日本史上의 ‘国王’稱號ー일본 중·근세를 중심으로" 13 : 72-95, 2000
14 新井白石, "新井白石集" 吉川半七 1906
15 민덕기, "新井白石·雨森芳洲의 対朝鮮外交와 관련한 텐노(天皇)観" 48 : 127-157, 1994
16 이노우에 아쓰시, "反韓내셔널리즘의 계보학" 보고사 2022
17 이일재, "『江関筆談』에 대한 일고찰" 19 : 163-205, 2003
18 구지현, "1711년 신묘통신사와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의 필담을 통한 상호 소통" 열상고전연구회 (28) : 187-225,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