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원도, "화전정리사" 1966
2 강원도, "화전정리사" 1976
3 閔丙槿, "화전민의 생업관행 연구" 安東大學校 大學院 1995
4 배영동, "화전농업의 기술과 전승지식의 의의-20세기 경북 영양군 수하리의 사례-" 비교민속학회 (51) : 59-91, 2013
5 전운성, "홍천군지 하권: 경제와 사회" 홍천군 17-44, 2019
6 김진선, "한반도 정부의 화전정리정책과 대상화된 화전민" 2016
7 옥한석, "한국의 화전 농업에 관한 연구" 10 : 153-178, 1985
8 왕한석, "한국의 언어민속지: 강원도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9 조동규, "한국 화전의 분포" 2 : 57-65, 1966
10 신민정, "한국 정부의 화전정리사업 전개과정과 화전민의 실태(1965-1979년)" 경제사학회 50 : 69-103, 2011
1 강원도, "화전정리사" 1966
2 강원도, "화전정리사" 1976
3 閔丙槿, "화전민의 생업관행 연구" 安東大學校 大學院 1995
4 배영동, "화전농업의 기술과 전승지식의 의의-20세기 경북 영양군 수하리의 사례-" 비교민속학회 (51) : 59-91, 2013
5 전운성, "홍천군지 하권: 경제와 사회" 홍천군 17-44, 2019
6 김진선, "한반도 정부의 화전정리정책과 대상화된 화전민" 2016
7 옥한석, "한국의 화전 농업에 관한 연구" 10 : 153-178, 1985
8 왕한석, "한국의 언어민속지: 강원도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9 조동규, "한국 화전의 분포" 2 : 57-65, 1966
10 신민정, "한국 정부의 화전정리사업 전개과정과 화전민의 실태(1965-1979년)" 경제사학회 50 : 69-103, 2011
11 한상복, "한국 산촌 주민의 의・식・주" 7 : 17-36, 1964
12 여중철, "한국 산간부락에서의 분가와 재산상속" 15 (15): 108-137, 1979
13 한상복, "한국 산간 촌락의 연구 : 강원도 태백산맥 중의 2개 산촌에 관한 구조적 분석" 1 : 113-169, 1964
14 김세건, "한국 농촌의 공동노동조직 소겨리와 두레의 비교: 강원도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61 (61): 49-84, 2022
15 라우텐자흐, 헤르만(Lautensach, Hermann), "코레아: 일제강점기의 한국 지리" 푸른길 2018
16 최병택, "조선총독부의 화전 정리 사업"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8) : 139-177, 2012
17 김동진, "조선의 생태환경사" 푸른역사 2018
18 신호철, "조선 후기 화전의 확대에 대하여" 91 : 57-108, 1981
19 박호석, "전통 농기구의 이용과 변화양상에 대한 고찰-충북 화전지역을 중심으로" 농협대학교 협동조합경영연구소 25 : 23-45, 2002
20 강만길, "일제시대의 화전민 생활(하)" 28 : 165-217, 1981
21 강만길, "일제시대의 화전민 생활" 27 : 155-203, 1981
22 강만길, "일제시대 빈민생활사 연구" 창작사 2013
23 인제군, "인제군지 中" 2017
24 이중환,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다음생각 2012
25 김강산, "산촌" 국립민속박물관 258-272, 2003
26 한상복, "변모하는 부락사회-‘화전부락’ : 벽지(僻地)부락의 변화구조", 대한지방행정공제회" 15 : 42-50, 1966
27 김세건, "동내면 동지" 춘천학연구소 148-177, 2023
28 지역문화연구소, "경기도 양평군 산음리 조사보고서" 「문화・역사마을 만들기」 양평군추진협의회 2004
29 전운성, "강원도사, 22권 민속〔마을・생업〕" 강원도사편찬위원회 95-107, 2018
30 박호석, "강원도 화전지역의 농업기술 변화에 대한 조사연구" 23 : 43-66, 2000
31 선생영조(善生永助), "朝鮮の 火田" 1926
32 전운성 ; 신민정, "20세기 전반기 강원지역의 지주?소작관계 연구" 한국농업사학회 5 (5): 105-133,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