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량화이론을 통한 신죽의 밀도 및 재적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 =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Density and Growth of New Bamboo Through Quantification The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3212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나무 숲에서 당해년도 발생한 신죽의 양과 재적생장에 관계하는 환경인자를 찾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분석에 사용한 표준지는 120개소였으며, 신죽 발생량과 재적생장에 관여하는 환경인자로는 기존 입목죽의 밀도, H/D형상비, 수관밀도, 해발고, 토양형, 국소지형 등 이었다. 그리고 반응변수는 신죽 발생량과 재적생장을 두고, 설명변수는 이들에 영향하는 환경인자를 두어서, 반응변수와 설명변수 간 관계를 수량화 I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신죽의 발생량에 관여하는 인자는 기존 입목죽 밀도, H/D형상비, 해발고, 토양형, 국소지형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관계는 다중회귀식 형태의 모델로 도출되었다. 이 추정모델의 설명력은 50.4%였으며, 모델의 통계적 유의성은 5% 유의수준에서 인정이 되었다. 그리고 5개 설명변수 중 내부상관을 배제한 편상관계수를 도출한 결과, 계수는 국소지형, 입목죽의 입목밀도, H/D형상비 순으로 나타났다. 수량화분석 에 의한 신죽 재적생장에 관여하는 인자로는 입목죽의 밀도, H/D형상비, 수관밀도, 해발고로 나타났다. 4개 변수를 이용한 신죽 재적 추정모델은 64.3%을 설명력을 가지며, 통계적 유의수준 5%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그리고 편상관계수는 H/D형상비, 해발고, 입목죽의 밀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대나무 숲에서 당해년도 발생한 신죽의 양과 재적생장에 관계하는 환경인자를 찾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분석에 사용한 표준지는 120개소였으며, 신죽 발생량과 재적생장에 관여하...

      본 연구는 대나무 숲에서 당해년도 발생한 신죽의 양과 재적생장에 관계하는 환경인자를 찾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분석에 사용한 표준지는 120개소였으며, 신죽 발생량과 재적생장에 관여하는 환경인자로는 기존 입목죽의 밀도, H/D형상비, 수관밀도, 해발고, 토양형, 국소지형 등 이었다. 그리고 반응변수는 신죽 발생량과 재적생장을 두고, 설명변수는 이들에 영향하는 환경인자를 두어서, 반응변수와 설명변수 간 관계를 수량화 I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신죽의 발생량에 관여하는 인자는 기존 입목죽 밀도, H/D형상비, 해발고, 토양형, 국소지형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관계는 다중회귀식 형태의 모델로 도출되었다. 이 추정모델의 설명력은 50.4%였으며, 모델의 통계적 유의성은 5% 유의수준에서 인정이 되었다. 그리고 5개 설명변수 중 내부상관을 배제한 편상관계수를 도출한 결과, 계수는 국소지형, 입목죽의 입목밀도, H/D형상비 순으로 나타났다. 수량화분석 에 의한 신죽 재적생장에 관여하는 인자로는 입목죽의 밀도, H/D형상비, 수관밀도, 해발고로 나타났다. 4개 변수를 이용한 신죽 재적 추정모델은 64.3%을 설명력을 가지며, 통계적 유의수준 5%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그리고 편상관계수는 H/D형상비, 해발고, 입목죽의 밀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the density and volume of new trees in bamboo forests. There were 120 sample plots used for the analysis,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involved in the density and volume growth of new bamboo trees were the density of existing standing bamboo trees, H/D shape ratio, crown ratio, altitude, soil type, and local topography. In addition,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density and volume growth of new bamboo trees,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the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pendent variables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was analyzed using the Quantification I method.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involved in the density of new bamboo trees were the density of existing standing bamboo trees, H/D shape ratio, altitude, soil type, and local topography, and their relationship was derived from the model of multiple regression type.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 of this estimation model was 50.4%,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odel was recognized at the 5% significance level. And as a result of deriving the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s excluding inner correlation among the five independent variables, the coefficients were found in the order of local topography, density of existing standing bamboo trees, and H/D shape ratio. According to the quantification analysi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volume growth of new bamboo trees were found to be the density of existing standing bamboo trees, H/D shape ratio, crown ratio, and altitude. The model for estimating the volume of new bamboo trees using 4 variables had determination level of 64.3%, and the significance was recognized at a significance level of 5%. And the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found in the order of H/D shape ratio, altitude, and density of standing bamboo tree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the density and volume of new trees in bamboo forests. There were 120 sample plots used for the analysis,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involved in the density and volume growth of new...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the density and volume of new trees in bamboo forests. There were 120 sample plots used for the analysis,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involved in the density and volume growth of new bamboo trees were the density of existing standing bamboo trees, H/D shape ratio, crown ratio, altitude, soil type, and local topography. In addition,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density and volume growth of new bamboo trees,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the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pendent variables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was analyzed using the Quantification I method.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involved in the density of new bamboo trees were the density of existing standing bamboo trees, H/D shape ratio, altitude, soil type, and local topography, and their relationship was derived from the model of multiple regression type.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 of this estimation model was 50.4%,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odel was recognized at the 5% significance level. And as a result of deriving the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s excluding inner correlation among the five independent variables, the coefficients were found in the order of local topography, density of existing standing bamboo trees, and H/D shape ratio. According to the quantification analysi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volume growth of new bamboo trees were found to be the density of existing standing bamboo trees, H/D shape ratio, crown ratio, and altitude. The model for estimating the volume of new bamboo trees using 4 variables had determination level of 64.3%, and the significance was recognized at a significance level of 5%. And the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found in the order of H/D shape ratio, altitude, and density of standing bamboo tre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