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교 교육목표의 적합성에 관한 비판적 연구 = A critical research on the appropriateness of educational goals of high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532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고등학교 교육목표의 적합성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드러내고, 이에 따른 개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분석 모형을 구안할 목적으로 관련 문헌을 고찰하였으며, 각 학교의 교육목표에 관한 구성원들의 견해를 파악
      하기 위하여 학교장과 부장교사 등을 면담하였다.
      연구결과 각 학교 교육목표 설정의 주체는 학교장으로 밝혀졌다. 이들은 주로 자신의 교육경험이나 교육관을 비롯하여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육적 인간상과 교육목적, 교육목표 그리고 시․도교육청의 교육방침 등을 주요 설정 자원으로
      삼고 있다. 반면에 학교 특성을 거의 간과하고 있다.
      현행 학교 교육목표에서 볼 수 있는 특징은 ① 학교장 중심의 교육목표 설정이이루어지고 있으며, ② 추구하는 인간상을 교육목표로 설정하고 있으며, ③ 목표에포함된 행동특성이 너무 포괄적이어서 애매할 뿐만 아니라 정해진 수학기간에 달성
      하기 힘들고, ④ 교육목표와 학교 교육 실제가 논리적으로 일치되지 않는 경향이다.
      따라서 향후 교육목표 설정에서는 좀 더 현실적이고, 실천 가능하며, 학교 교육 실제와의 일치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고등학교 교육목표의 적합성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드러내고, 이에 따른 개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분석 모형을 구안할 목적으로 관련 문헌을 고찰하였으...

      이 연구는 고등학교 교육목표의 적합성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드러내고, 이에 따른 개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분석 모형을 구안할 목적으로 관련 문헌을 고찰하였으며, 각 학교의 교육목표에 관한 구성원들의 견해를 파악
      하기 위하여 학교장과 부장교사 등을 면담하였다.
      연구결과 각 학교 교육목표 설정의 주체는 학교장으로 밝혀졌다. 이들은 주로 자신의 교육경험이나 교육관을 비롯하여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육적 인간상과 교육목적, 교육목표 그리고 시․도교육청의 교육방침 등을 주요 설정 자원으로
      삼고 있다. 반면에 학교 특성을 거의 간과하고 있다.
      현행 학교 교육목표에서 볼 수 있는 특징은 ① 학교장 중심의 교육목표 설정이이루어지고 있으며, ② 추구하는 인간상을 교육목표로 설정하고 있으며, ③ 목표에포함된 행동특성이 너무 포괄적이어서 애매할 뿐만 아니라 정해진 수학기간에 달성
      하기 힘들고, ④ 교육목표와 학교 교육 실제가 논리적으로 일치되지 않는 경향이다.
      따라서 향후 교육목표 설정에서는 좀 더 현실적이고, 실천 가능하며, 학교 교육 실제와의 일치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ppropriateness of educational goals of high school and suggest the improved directions for setting effective goals. For achieving this purpose, two research methods were applied; reviewing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related to educational goals and interviewing the principals and
      teachers of five high schools. The ke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all principals perceive the educational goals at the school level as an educational human. Second, educational goals at the school level are set by principals.
      They pick out the educational goals from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themselves as well as educational aims, educative ideal human, and goals of high school which given by national curriculum. Third, principals are not considering school traits honestly for setting educational goals. Fourth, educational goals of each high school
      are not coincide with the reality of schooling. Fifth, the present educational goals of each high school are too general and vague; not specific, measurable, and attainable.
      On the basis of these analytical results, some suggestions are as below. Firs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conceptions about meaning of school goals of principals.
      Second, principals need to develop the abilities how to setting effective school goals.
      Effective educational goals at the school level should be specific, measurable, and attainabl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ppropriateness of educational goals of high school and suggest the improved directions for setting effective goals. For achieving this purpose, two research methods were applied; reviewing domestic and 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ppropriateness of educational goals of high school and suggest the improved directions for setting effective goals. For achieving this purpose, two research methods were applied; reviewing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related to educational goals and interviewing the principals and
      teachers of five high schools. The ke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all principals perceive the educational goals at the school level as an educational human. Second, educational goals at the school level are set by principals.
      They pick out the educational goals from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themselves as well as educational aims, educative ideal human, and goals of high school which given by national curriculum. Third, principals are not considering school traits honestly for setting educational goals. Fourth, educational goals of each high school
      are not coincide with the reality of schooling. Fifth, the present educational goals of each high school are too general and vague; not specific, measurable, and attainable.
      On the basis of these analytical results, some suggestions are as below. Firs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conceptions about meaning of school goals of principals.
      Second, principals need to develop the abilities how to setting effective school goals.
      Effective educational goals at the school level should be specific, measurable, and attainabl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학교 교육목표 설정의 제 준거
      • Ⅲ. 분석 방법과 모형
      • Ⅳ. 개별 고등학교 교육목표의 적합성 분석
      • Ⅴ. 결론 및 제언
      • Ⅰ. 서 론
      • Ⅱ. 학교 교육목표 설정의 제 준거
      • Ⅲ. 분석 방법과 모형
      • Ⅳ. 개별 고등학교 교육목표의 적합성 분석
      • Ⅴ. 결론 및 제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