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르웨이 톤세제도에 관한 고찰 = Analysis of Norway’s Tonnage Tax Schem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661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2018년부터 10년간 실시되는 노르웨이 톤세제도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2025년 재연장을 실시해야 하는 우리나라 톤세제도에 정책제언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노르웨이의 톤세제도에서 우리가 벤치마킹할 요소는 첫째로 일몰제가없다는 것이다. 이는 해운기업에게 예측하게 하여 장기적인 사업계획 수립에 도움을주는 방향으로 톤세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일몰제를 폐지하거나 대상기간을 10년으로 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톤세제도를 노르웨이가 오프쇼어와 같은 분야에서 선도적인 지위를 구축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신해양산업분야도 톤세제도의 대상이 포함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로 상업적 선박관리회사도 톤세제도의 대상이 되도록 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단순 선박관리가 아닌 상업적 선박관리업체를 톤세제도의 대상으로 새롭게 포함할 것을 제안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2018년부터 10년간 실시되는 노르웨이 톤세제도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2025년 재연장을 실시해야 하는 우리나라 톤세제도에 정책제언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노르웨이의 ...

      본 논문은 2018년부터 10년간 실시되는 노르웨이 톤세제도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2025년 재연장을 실시해야 하는 우리나라 톤세제도에 정책제언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노르웨이의 톤세제도에서 우리가 벤치마킹할 요소는 첫째로 일몰제가없다는 것이다. 이는 해운기업에게 예측하게 하여 장기적인 사업계획 수립에 도움을주는 방향으로 톤세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일몰제를 폐지하거나 대상기간을 10년으로 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톤세제도를 노르웨이가 오프쇼어와 같은 분야에서 선도적인 지위를 구축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신해양산업분야도 톤세제도의 대상이 포함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로 상업적 선박관리회사도 톤세제도의 대상이 되도록 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단순 선박관리가 아닌 상업적 선박관리업체를 톤세제도의 대상으로 새롭게 포함할 것을 제안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make policy suggestions for Korea's tonnage tax system, which should be extended again in 2025 for next 5 years, through consideration of the Norwegian tonnage tax system, which has been in effect for 10 years from 2018.
      The factor that Korea should benchmark in Norway's tonnage tax system is, firstly, that there is no sunset system. This enables shipping companies to trust the viability of the tax system and establish long-term business plans. Korea also proposes to abolish the sunset system or extend the target period to 10 years.
      Second, Norway is supporting the tonnage tax system to establish a leading position in areas such as offshore shipping in the world. Therefore, Korea also proposes to include the new maritime industry as a target of the tonnage tax system.
      Thirdly, in Norway, commercial ship management companies are also subject to the tonnage tax system. Korea also proposes to newly include commercial ship management companies, not simple ship management, as targets of the tonnage tax syste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make policy suggestions for Korea's tonnage tax system, which should be extended again in 2025 for next 5 years, through consideration of the Norwegian tonnage tax system, which has been in effect for 10 years from 20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make policy suggestions for Korea's tonnage tax system, which should be extended again in 2025 for next 5 years, through consideration of the Norwegian tonnage tax system, which has been in effect for 10 years from 2018.
      The factor that Korea should benchmark in Norway's tonnage tax system is, firstly, that there is no sunset system. This enables shipping companies to trust the viability of the tax system and establish long-term business plans. Korea also proposes to abolish the sunset system or extend the target period to 10 years.
      Second, Norway is supporting the tonnage tax system to establish a leading position in areas such as offshore shipping in the world. Therefore, Korea also proposes to include the new maritime industry as a target of the tonnage tax system.
      Thirdly, in Norway, commercial ship management companies are also subject to the tonnage tax system. Korea also proposes to newly include commercial ship management companies, not simple ship management, as targets of the tonnage tax syste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영균, "해운조세제도 개선방안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9

      2 김세영 ; 신동식 ; 최명식, "톤세제 정책과 해운기업의 자산투자" 한국관세학회 14 (14): 187-210, 2013

      3 김형태, "톤세제 도입의 경제효과 분석(2005-2007)" 한국해운물류학회 25 (25): 217-236, 2009

      4 황남석, "톤세 제도의 비교법적 고찰" 한국해법학회 45 (45): 353-378, 2023

      5 안준건 ; 이지은, "친환경선박 인증과 연계한 톤세제도 합리화 방안" 대한조선학회 60 (60): 86-94, 2023

      6 김주현 ; 곽동욱 ; 김태한 ; 김기수 ; 최석우, "우리나라 해운기업 톤세제의 정책적 효과 분석" 감사연구원 (39) : 149-169, 2022

      7 안영균 ; 이민규, "우리나라 해운 조세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한국해운물류학회 36 (36): 199-222, 2020

      8 고병욱, "우리나라 톤세 제도 도입의 타당성 분석 - 2005년~2007년 간 자료를 중심으로 -" 한국해운물류학회 25 (25): 565-596, 2009

      9 野村摂雄, "ノルウェーの海運政策(トン巣標準税制を中心に)"

      10 "https://www.sdir.no/en/shipping/registration-of-commercial-vessels-in-nisnor/new-registration-nis/no rwegian-tonnage-tax-regime/"

      1 안영균, "해운조세제도 개선방안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9

      2 김세영 ; 신동식 ; 최명식, "톤세제 정책과 해운기업의 자산투자" 한국관세학회 14 (14): 187-210, 2013

      3 김형태, "톤세제 도입의 경제효과 분석(2005-2007)" 한국해운물류학회 25 (25): 217-236, 2009

      4 황남석, "톤세 제도의 비교법적 고찰" 한국해법학회 45 (45): 353-378, 2023

      5 안준건 ; 이지은, "친환경선박 인증과 연계한 톤세제도 합리화 방안" 대한조선학회 60 (60): 86-94, 2023

      6 김주현 ; 곽동욱 ; 김태한 ; 김기수 ; 최석우, "우리나라 해운기업 톤세제의 정책적 효과 분석" 감사연구원 (39) : 149-169, 2022

      7 안영균 ; 이민규, "우리나라 해운 조세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한국해운물류학회 36 (36): 199-222, 2020

      8 고병욱, "우리나라 톤세 제도 도입의 타당성 분석 - 2005년~2007년 간 자료를 중심으로 -" 한국해운물류학회 25 (25): 565-596, 2009

      9 野村摂雄, "ノルウェーの海運政策(トン巣標準税制を中心に)"

      10 "https://www.sdir.no/en/shipping/registration-of-commercial-vessels-in-nisnor/new-registration-nis/no rwegian-tonnage-tax-regime/"

      11 "https://wiersholm.no/en/publications/central-changes-in-the-norwegian-tonnage-tax-regime"

      12 EFTA Surveillance Authority, "The Norwegian Special Tax System for Shipping 2018-2027"

      13 Norway Royal Ministry of Finance, "Supplementing information regarding the notification of the special tax system for shipping"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