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양한묵의 3.1운동 민족대표 선정 경위와 역할 = Yang Han-mook's participation in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 selection of national representativ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102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양한묵의 3.1운동 참여와 민족대표 선정 경위에 관한 연구이다. 양한묵은 3.1운동에 참여할 수 있는 주체적 역량과 개관적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그는 한말 혁신 관료로 1904년경 천도교에 입교하면서 민족역량과 개혁사상을 축적하였다.
      3.1운동 당시 양한묵은 권동진·오세창 등과 같이 천도교 최고위급 반열인 도사의 직임에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 그는 한말 보안회·공진회·헌정연구회·호남학회·대한협회 등 계몽운동 단체에서 왕성하게 활동하고, 1909년 이완용 암살 사건의 배후 인물로 구속되어 4개월 동안 옥고를 치렀다. 더욱이 그는 일본의 한국 병탄에 불만을 갖고 ‘어느 때나 독립하지 않으면 안 될’ 신념을 가진 열렬한 독립운동가였다. 따라서 종교계에서나 민족운동계에서 그의 역량과 위상이 적지 아니 높았던 것이다.
      양한묵은 1918년 말 일본신문을 통해 제1차 세계대전 강화 원칙 가운데 하나인 민족자결주의를 알게 되고, 또 파리강화회의 소식도 접하게 되었다. 이런 정세 변화와 세계 개조의 조류를 포착하여 여러 인연으로 동지 관계를 유지해온 권동진·오세창과 독립운동을 논의했다.
      양한묵이 본격적으로 3.1운동 계획에 참여한 것은 2월 중순경이었다. 2월 21일 권동진으로부터 천도교계의 3.1운동 계획을 듣자마자 자발적으로 참여 의사를 밝혔던 것이다. 거의 매일 권동진과 오세창을 만나 3.1운동 진행 상황을 협의하고, 독립선언서를 비롯한 여러 독립선언 관련 문서에도 앞장서 서명 날인하였다. 나아가 보성전문학교장 윤익선에게 3.1운동 계획을 전파함으로써 그로 하여금 독립선언 직후 「조선독립신문」을 발행, 살포하는데 영향을 준 것이다.
      3월 1일 오후 2시 양한묵은 천도교 민족대표로 명월관지점인 태화관에서 열린 독립선언식에 참석하였다. 독립선언식은 한용운의 인사말을 듣고 민족대표들이 만세 3창을 하는 것으로 갈무리 되었다. 독립선언식 직후 그를 비롯한 민족대표들은 일경에 붙잡혀 경무총감부로 압송되고 말았다. 이후 그는 경무총감부를 거쳐 서대문감옥에 투옥되었고, 도합 5차례에 걸친 일본 관헌의 신문조사를 받았다. 적지 않은 나이에 연이은 신문조사와 서대문감옥에서의 가혹한 옥고로 그는 1919년 5월 26일 오전 5시 58세의 나이로 옥중 순국하였다.
      양한묵이 옥사하자 「조선독립신문」은 비밀리에 호외를 발행하여 순국 사실을 널리 알렸고,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내무부 포고령’을 발포하여 국내외 동포에게 ‘양한묵 선생 추도’를 지시하였다. 이에 따라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를 비롯한 대한인국민회중앙총회 산하 북미지방총회 소속 지방회에서 ‘양한묵 추도회’가 8월 한 달 동안 잇달아 열렸다. 특히 상해 임시정부 요인의 참석 아래 대한교민단도 1920년 5월 22일 ‘고 최재형·양한묵 양 선생’ 합동 추도회를 열어 두 선생의 순국과 희생을 기리며 독립의지를 다졌던 것이다.
      양한묵은 이처럼 천도교의 종교적 기반과 민족운동 경력을 토대로 일제강점기 최대의 독립운동인 3.1운동에 참여하여 민족대표로 빛을 발하였다. 일제의 시각에서 보면, ‘조선독립선언’은 ‘내란죄’에 해당하여 목숨을 걸고 결행해야 하는 일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언서를 비롯한 탄원서·통고서 등 독립 요구 문서에 서명 날인하고, 3월 1일 독립선언식에 참석하여 국내외에 ‘조선의 독립국임과 조선인의 자주민임’을 선언하였다. 곧 목숨 ...
      번역하기

      이 논문은 양한묵의 3.1운동 참여와 민족대표 선정 경위에 관한 연구이다. 양한묵은 3.1운동에 참여할 수 있는 주체적 역량과 개관적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그는 한말 혁신 관료로 1904년경 천...

      이 논문은 양한묵의 3.1운동 참여와 민족대표 선정 경위에 관한 연구이다. 양한묵은 3.1운동에 참여할 수 있는 주체적 역량과 개관적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그는 한말 혁신 관료로 1904년경 천도교에 입교하면서 민족역량과 개혁사상을 축적하였다.
      3.1운동 당시 양한묵은 권동진·오세창 등과 같이 천도교 최고위급 반열인 도사의 직임에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 그는 한말 보안회·공진회·헌정연구회·호남학회·대한협회 등 계몽운동 단체에서 왕성하게 활동하고, 1909년 이완용 암살 사건의 배후 인물로 구속되어 4개월 동안 옥고를 치렀다. 더욱이 그는 일본의 한국 병탄에 불만을 갖고 ‘어느 때나 독립하지 않으면 안 될’ 신념을 가진 열렬한 독립운동가였다. 따라서 종교계에서나 민족운동계에서 그의 역량과 위상이 적지 아니 높았던 것이다.
      양한묵은 1918년 말 일본신문을 통해 제1차 세계대전 강화 원칙 가운데 하나인 민족자결주의를 알게 되고, 또 파리강화회의 소식도 접하게 되었다. 이런 정세 변화와 세계 개조의 조류를 포착하여 여러 인연으로 동지 관계를 유지해온 권동진·오세창과 독립운동을 논의했다.
      양한묵이 본격적으로 3.1운동 계획에 참여한 것은 2월 중순경이었다. 2월 21일 권동진으로부터 천도교계의 3.1운동 계획을 듣자마자 자발적으로 참여 의사를 밝혔던 것이다. 거의 매일 권동진과 오세창을 만나 3.1운동 진행 상황을 협의하고, 독립선언서를 비롯한 여러 독립선언 관련 문서에도 앞장서 서명 날인하였다. 나아가 보성전문학교장 윤익선에게 3.1운동 계획을 전파함으로써 그로 하여금 독립선언 직후 「조선독립신문」을 발행, 살포하는데 영향을 준 것이다.
      3월 1일 오후 2시 양한묵은 천도교 민족대표로 명월관지점인 태화관에서 열린 독립선언식에 참석하였다. 독립선언식은 한용운의 인사말을 듣고 민족대표들이 만세 3창을 하는 것으로 갈무리 되었다. 독립선언식 직후 그를 비롯한 민족대표들은 일경에 붙잡혀 경무총감부로 압송되고 말았다. 이후 그는 경무총감부를 거쳐 서대문감옥에 투옥되었고, 도합 5차례에 걸친 일본 관헌의 신문조사를 받았다. 적지 않은 나이에 연이은 신문조사와 서대문감옥에서의 가혹한 옥고로 그는 1919년 5월 26일 오전 5시 58세의 나이로 옥중 순국하였다.
      양한묵이 옥사하자 「조선독립신문」은 비밀리에 호외를 발행하여 순국 사실을 널리 알렸고,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내무부 포고령’을 발포하여 국내외 동포에게 ‘양한묵 선생 추도’를 지시하였다. 이에 따라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를 비롯한 대한인국민회중앙총회 산하 북미지방총회 소속 지방회에서 ‘양한묵 추도회’가 8월 한 달 동안 잇달아 열렸다. 특히 상해 임시정부 요인의 참석 아래 대한교민단도 1920년 5월 22일 ‘고 최재형·양한묵 양 선생’ 합동 추도회를 열어 두 선생의 순국과 희생을 기리며 독립의지를 다졌던 것이다.
      양한묵은 이처럼 천도교의 종교적 기반과 민족운동 경력을 토대로 일제강점기 최대의 독립운동인 3.1운동에 참여하여 민족대표로 빛을 발하였다. 일제의 시각에서 보면, ‘조선독립선언’은 ‘내란죄’에 해당하여 목숨을 걸고 결행해야 하는 일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언서를 비롯한 탄원서·통고서 등 독립 요구 문서에 서명 날인하고, 3월 1일 독립선언식에 참석하여 국내외에 ‘조선의 독립국임과 조선인의 자주민임’을 선언하였다. 곧 목숨 ...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a study on Yang Han-mook's participation in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 selection of national representatives. Yang Han-mook had the subjective capacity and overview conditions to participate in the March 1st Movement. He joined Cheondogyo around 1904 as an innovative bureaucrat at the end of the Han Dynasty and accumulated national competence and reform ideas.
      Like Kwon Dong-jin and Oh Se-chang, Yang Han-mook held the position of a Taoist monk who was in the highest rank of Cheondogyo during the March 1st Movement. On the other hand, he was active in enlightenment movement organizations such as the Han Dynasty Boahn Association, Gongjin Association, Constitutional Government Research Association, Honam Association, and the Daehan Association, and was arrested as the person behind Lee Wan-yong's assassination in 1909 and imprisoned for four months. Moreover, he was an ardent independence activist who was dissatisfied with Japan's annexation of Korea and had the belief that 'we must always become independent'. Therefore, his competence and status in the religious and national movement circles were not small.
      Through Japanese newspapers at the end of 1918, Yang Han-mook learned about national self-determination, one of the principles for strengthening World War I, and also learned about the Paris Peace Conference. He discussed the independence movement with Kwon Dong-jin and Oh Se-chang, who have maintained close ties through various ties, by capturing these changes in the situation and the tide of world transformation.
      It was around mid-February that Yang Han-mook took part in the March 1st Movement plan in earnest. As soon as he heard about the Cheondogyo community's March 1st Movement plan from Kwon Dong-jin on February 21, he voluntarily expressed his intention to participate. Almost every day, he met with Kwon Dong-jin and Oh Se-chang to discuss the progress of the March 1st Movement, and took the lead in signing and signing various documents related to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including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Furthermore, by spreading the March 1st Movement plan to Yun Ik-seon, the head of Boseong College, he published and distributed the 'Chosun Independence Newspaper' immediately after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t 2 p.m. on March 1, Yang Han-mook, the national representative of Cheondogyo, attended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ceremony held at Taehwagwan, Myeongwolgwan branch.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ceremony was concluded with the national representatives singing three cheers after hearing Han Yong-un's greeting. Shortly after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ceremony, he and other national representatives were arrested by Japanese police and sent to the Inspector General of Police. After that, he was imprisoned in Seodaemun Prison through the Inspector General of Police, and was subjected to five newspaper investigations by the Japanese government. Due to a series of newspaper investigations and harsh prison conditions in Seodaemun Prison at not a small age, he died in prison at the age of 58 on May 26, 1919.
      When Yang Han-mook was imprisoned, the 'Joseon Independence Newspaper' secretly published an extra copy to publicize the fact that he died,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ssued a 'Declaration of the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and ordered compatriots at home and abroad to commemorate Yang Han-mook. As a result, the 'Yang Han-mook Memorial Meeting' was held one after another for a month in August in Denver, Colorado, and other local associations belonging to the North American General Assembly under the Korean People's Association. In particular, on May 22, 1920, the Korean Residents' Association in Shanghai held a joint memorial meeting for the late Choi Jae-hyung and Yang Han-mook two characters to strengthen their will for independence in memory of the two teachers' death and sacrifice.
      Based on the religious foundation of...
      번역하기

      This thesis is a study on Yang Han-mook's participation in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 selection of national representatives. Yang Han-mook had the subjective capacity and overview conditions to participate in the March 1st Movement. He joined Cheo...

      This thesis is a study on Yang Han-mook's participation in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 selection of national representatives. Yang Han-mook had the subjective capacity and overview conditions to participate in the March 1st Movement. He joined Cheondogyo around 1904 as an innovative bureaucrat at the end of the Han Dynasty and accumulated national competence and reform ideas.
      Like Kwon Dong-jin and Oh Se-chang, Yang Han-mook held the position of a Taoist monk who was in the highest rank of Cheondogyo during the March 1st Movement. On the other hand, he was active in enlightenment movement organizations such as the Han Dynasty Boahn Association, Gongjin Association, Constitutional Government Research Association, Honam Association, and the Daehan Association, and was arrested as the person behind Lee Wan-yong's assassination in 1909 and imprisoned for four months. Moreover, he was an ardent independence activist who was dissatisfied with Japan's annexation of Korea and had the belief that 'we must always become independent'. Therefore, his competence and status in the religious and national movement circles were not small.
      Through Japanese newspapers at the end of 1918, Yang Han-mook learned about national self-determination, one of the principles for strengthening World War I, and also learned about the Paris Peace Conference. He discussed the independence movement with Kwon Dong-jin and Oh Se-chang, who have maintained close ties through various ties, by capturing these changes in the situation and the tide of world transformation.
      It was around mid-February that Yang Han-mook took part in the March 1st Movement plan in earnest. As soon as he heard about the Cheondogyo community's March 1st Movement plan from Kwon Dong-jin on February 21, he voluntarily expressed his intention to participate. Almost every day, he met with Kwon Dong-jin and Oh Se-chang to discuss the progress of the March 1st Movement, and took the lead in signing and signing various documents related to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including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Furthermore, by spreading the March 1st Movement plan to Yun Ik-seon, the head of Boseong College, he published and distributed the 'Chosun Independence Newspaper' immediately after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t 2 p.m. on March 1, Yang Han-mook, the national representative of Cheondogyo, attended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ceremony held at Taehwagwan, Myeongwolgwan branch.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ceremony was concluded with the national representatives singing three cheers after hearing Han Yong-un's greeting. Shortly after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ceremony, he and other national representatives were arrested by Japanese police and sent to the Inspector General of Police. After that, he was imprisoned in Seodaemun Prison through the Inspector General of Police, and was subjected to five newspaper investigations by the Japanese government. Due to a series of newspaper investigations and harsh prison conditions in Seodaemun Prison at not a small age, he died in prison at the age of 58 on May 26, 1919.
      When Yang Han-mook was imprisoned, the 'Joseon Independence Newspaper' secretly published an extra copy to publicize the fact that he died,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ssued a 'Declaration of the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and ordered compatriots at home and abroad to commemorate Yang Han-mook. As a result, the 'Yang Han-mook Memorial Meeting' was held one after another for a month in August in Denver, Colorado, and other local associations belonging to the North American General Assembly under the Korean People's Association. In particular, on May 22, 1920, the Korean Residents' Association in Shanghai held a joint memorial meeting for the late Choi Jae-hyung and Yang Han-mook two characters to strengthen their will for independence in memory of the two teachers' death and sacrifice.
      Based on the religious foundation of...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