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장질서 교란행위 관련 증권선물위원회의 의결 안건에 대한 검토 - 자신의 직무 관련 정보취득자에 대한 과징금 부과처분을 중심으로 - = A Comment on Decisions in relation to Market Abuse by the Securities and Futures Commission- Focused on Monetary Sanctions to information receiver in relation to self duty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ptember 2017, Securities & Futures Commission(SFC) made a decision imposing monetary sanctions to foreign investor. Because this investor violated Market Abuse prevention clause in the process of block-deal Wall-Crossing.
      The capital markets act regulates unfair transactions in order to secure soundness and reliability of the capital market. The problem was that the regulations against unfair transactions are based on criminal punishments, and thus the application of such regulations needs a strict requisite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legality. As the case stands, it is difficult to hold unfair traders responsible though they deranged the market order. At this, the capital market act was amended in 2014 with an addition of regulations against market abuse. As regards a disturbance in the use of information, the amended law further expanded people and information to be subject to regulation.
      This article deals with the facts and legal issues about the regulations introduced into the amended law and information receiver in relation to self duty. As regards a disturbance about information receiver, it first reviewed i) the concrete concepts and definitions of the information receiver and the job-related information producer and the information acquisitor. In addition, it reviewed ii) the issues about confidentiality, i.e., the requisites for regulation. Finally it reviewed this case and made a conclusions.
      This case is the first case after amended law introduced into Market Abuse prevention clause. This case is the case that new paradigm of regulatory system is converted on unfair transactions in the Korea’s capital market.
      번역하기

      September 2017, Securities & Futures Commission(SFC) made a decision imposing monetary sanctions to foreign investor. Because this investor violated Market Abuse prevention clause in the process of block-deal Wall-Crossing. The capital markets act re...

      September 2017, Securities & Futures Commission(SFC) made a decision imposing monetary sanctions to foreign investor. Because this investor violated Market Abuse prevention clause in the process of block-deal Wall-Crossing.
      The capital markets act regulates unfair transactions in order to secure soundness and reliability of the capital market. The problem was that the regulations against unfair transactions are based on criminal punishments, and thus the application of such regulations needs a strict requisite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legality. As the case stands, it is difficult to hold unfair traders responsible though they deranged the market order. At this, the capital market act was amended in 2014 with an addition of regulations against market abuse. As regards a disturbance in the use of information, the amended law further expanded people and information to be subject to regulation.
      This article deals with the facts and legal issues about the regulations introduced into the amended law and information receiver in relation to self duty. As regards a disturbance about information receiver, it first reviewed i) the concrete concepts and definitions of the information receiver and the job-related information producer and the information acquisitor. In addition, it reviewed ii) the issues about confidentiality, i.e., the requisites for regulation. Finally it reviewed this case and made a conclusions.
      This case is the first case after amended law introduced into Market Abuse prevention clause. This case is the case that new paradigm of regulatory system is converted on unfair transactions in the Korea’s capital marke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증권선물위원회는 2017년 9월 시간외 대량매매(블록딜) 과정에서 취득한 미공개 시장정보를 이용해 시장질서 교란행위 금지 규정을 위반한 외국인 투자자에게 과징금을 부과하는 의결을 하였다.
      자본시장법은 자본시장의 건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불공정거래행위를 규제하고 있다. 그런데 개정 전 불공정거래행위제도인 미공개중요정보를 이용한 내부자거래, 시세조종행위, 부정거래행위는 형사제재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죄형법정주의의 원칙상 구성요건이 엄격하게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시장질서를 교란하는 금융투자상품을 거래하더라도 그 행위자에게 제재를 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2017년 7월 1일부터 시행되는 개정 자본시장법은 종래 불공정거래의 유형에 대한 규제 이외에 ‘시장질서 교란행위’를 규제하기 위한 내용을 신설하였다. 즉 “정보이용형” 교란행위의 경우 종래 규제인 내부자거래와 비교해 규제대상자 및 규제대상정보를 확대하였고, 이러한 시장질서 교란행위에 대해서는 과징금을 부과하는 규정을 신설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개정 자본시장법에 도입된 시장질서 교란행위 금지 위반과 관련된 사안의 사실관계를 정리하고 그 성립요건을 고찰한 후 사안을 검토하였다. 관련 법리 고찰에서는 먼저 시장질서 교란행위의 도입배경과 입법취지, 본 사안의 중요 성립요건인 ⅰ) 규제대상정보에 시장정보가 해당하는지 여부 ⅱ) 규제대상자인 직무관련 정보 생산자 및 취득자의 의미에 관한 문제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이 사안에 대한 과징금 부과는 자본시장법상 시장질서 교란행위 금지 규정이 시행된 2015년 7월 1일 이후 외국인 투자자에게 과징금을 부과한 첫 번째 사건이다. 이 사안에서 외국인 투자자에게 부당이득 전액을 환수 조치하는 수억 원의 과징금이 부과되었는데, 외국인에 대한 규제가 약하다는 국내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들의 그동안의 비판을 불식한 의미 있는 사안이다.
      번역하기

      증권선물위원회는 2017년 9월 시간외 대량매매(블록딜) 과정에서 취득한 미공개 시장정보를 이용해 시장질서 교란행위 금지 규정을 위반한 외국인 투자자에게 과징금을 부과하는 의결을 하...

      증권선물위원회는 2017년 9월 시간외 대량매매(블록딜) 과정에서 취득한 미공개 시장정보를 이용해 시장질서 교란행위 금지 규정을 위반한 외국인 투자자에게 과징금을 부과하는 의결을 하였다.
      자본시장법은 자본시장의 건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불공정거래행위를 규제하고 있다. 그런데 개정 전 불공정거래행위제도인 미공개중요정보를 이용한 내부자거래, 시세조종행위, 부정거래행위는 형사제재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죄형법정주의의 원칙상 구성요건이 엄격하게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시장질서를 교란하는 금융투자상품을 거래하더라도 그 행위자에게 제재를 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2017년 7월 1일부터 시행되는 개정 자본시장법은 종래 불공정거래의 유형에 대한 규제 이외에 ‘시장질서 교란행위’를 규제하기 위한 내용을 신설하였다. 즉 “정보이용형” 교란행위의 경우 종래 규제인 내부자거래와 비교해 규제대상자 및 규제대상정보를 확대하였고, 이러한 시장질서 교란행위에 대해서는 과징금을 부과하는 규정을 신설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개정 자본시장법에 도입된 시장질서 교란행위 금지 위반과 관련된 사안의 사실관계를 정리하고 그 성립요건을 고찰한 후 사안을 검토하였다. 관련 법리 고찰에서는 먼저 시장질서 교란행위의 도입배경과 입법취지, 본 사안의 중요 성립요건인 ⅰ) 규제대상정보에 시장정보가 해당하는지 여부 ⅱ) 규제대상자인 직무관련 정보 생산자 및 취득자의 의미에 관한 문제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이 사안에 대한 과징금 부과는 자본시장법상 시장질서 교란행위 금지 규정이 시행된 2015년 7월 1일 이후 외국인 투자자에게 과징금을 부과한 첫 번째 사건이다. 이 사안에서 외국인 투자자에게 부당이득 전액을 환수 조치하는 수억 원의 과징금이 부과되었는데, 외국인에 대한 규제가 약하다는 국내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들의 그동안의 비판을 불식한 의미 있는 사안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호경, "자본시장법상 시장질서 교란행위에 관한 연구: 성립요건과 조사절차상 주요 쟁점사항을 중심으로" 금융감독원 3 (3): 93-141, 2016

      2 안현수, "자본시장법상 시장질서 교란행위에 관한 소고" 법학연구원 28 (28): 551-582, 2016

      3 이상복, "자본시장법상 내부자거래(초판)" 박영사 2010

      4 임재연, "자본시장법과 불공정거래(초판)" 박영사 2014

      5 김화진, "자본시장법 이론" 박영사 2016

      6 김병연, "자본시장법 사례와 이론" 박영사 2017

      7 국회 정무위원회,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의안번호5502) 검토보고서" 2013

      8 오성근, "영국 법제상 자본시장질서 교란행위의 유형, 과징금부과단계 및 형사책임" 한국증권법학회 17 (17): 265-311, 2016

      9 이정수, "시장질서교란행위 도입과 관련한 몇 가지 쟁점들" 한국증권법학회 16 (16): 1-24, 2015

      10 박임출, "시장질서 교란행위규제의 의의와 한계" 서울대학교 금융법센터 (75) : 2016

      1 정호경, "자본시장법상 시장질서 교란행위에 관한 연구: 성립요건과 조사절차상 주요 쟁점사항을 중심으로" 금융감독원 3 (3): 93-141, 2016

      2 안현수, "자본시장법상 시장질서 교란행위에 관한 소고" 법학연구원 28 (28): 551-582, 2016

      3 이상복, "자본시장법상 내부자거래(초판)" 박영사 2010

      4 임재연, "자본시장법과 불공정거래(초판)" 박영사 2014

      5 김화진, "자본시장법 이론" 박영사 2016

      6 김병연, "자본시장법 사례와 이론" 박영사 2017

      7 국회 정무위원회,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의안번호5502) 검토보고서" 2013

      8 오성근, "영국 법제상 자본시장질서 교란행위의 유형, 과징금부과단계 및 형사책임" 한국증권법학회 17 (17): 265-311, 2016

      9 이정수, "시장질서교란행위 도입과 관련한 몇 가지 쟁점들" 한국증권법학회 16 (16): 1-24, 2015

      10 박임출, "시장질서 교란행위규제의 의의와 한계" 서울대학교 금융법센터 (75) : 2016

      11 금융위원회, "시장질서 교란행위규제를 위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 법률안 국무회의 통과"

      12 김정수, "내부자거래와 시장질서 교란행위" SFL그룹 2016

      13 장근영, "내부자거래 규제범위의 확대 - 시장질서교란행위 및 정보전달행위와 거래권유행위를 중심으로 -" 한국경제법학회 15 (15): 69-89, 2016

      14 맹수석, "개정 자본시장법상 시장질서 교란행위에 대한 법적 쟁점의 검토" 한국기업법학회 30 (30): 141-166, 2016

      15 성희활, "2014년 개정 자본시장법상 시장질서교란행위 규제 도입의 함의와 전망" 한국증권법학회 16 (16): 135-174,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