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의 코포리트 거버넌스 제도의 정비와 한국제도에의 시사점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Japan's Corporate Governance System and Implications for the Korean System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thought about the discussion on corporate governance in Japan, the institutional change so far, and the process and contents of institutional changes related to corporate governance and about the implications of the characteristics and institutional changes of Japanese corporate governance in improving the Korean system. There are different societies, unique cultures, traditions and customs, and the governance system is influenced by the differences in ideology, vision, history, mission, strategy, and business of each compan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pect diversity rather than limit it to a specific method or form. Also, it is necessary to design a flexible system so that each company can quickly introduce effective measures to its own company. What is important in corporate governance-related discussions is to enhance corporate value by enhancing corporate competitiveness, improving efficiency, preventing corporate misfortune, and ensuring soundness. This is the purpose of corporate management, and corporate governance is the means to achieve that goa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increase corporate value centered on purpose and substance rather than formal methods and forms. At this moment, countries are experiencing various trials and errors regarding the strengthening of corporate governance, and there is no universal means for consensus on a truly effective corporate governance system. Therefore, when accepting a foreign system, careful consideration is needed in view of practical confusion concerns and the cost burden of stakeholder and company and so on.
      번역하기

      In this paper, I thought about the discussion on corporate governance in Japan, the institutional change so far, and the process and contents of institutional changes related to corporate governance and about the implications of the characteristics an...

      In this paper, I thought about the discussion on corporate governance in Japan, the institutional change so far, and the process and contents of institutional changes related to corporate governance and about the implications of the characteristics and institutional changes of Japanese corporate governance in improving the Korean system. There are different societies, unique cultures, traditions and customs, and the governance system is influenced by the differences in ideology, vision, history, mission, strategy, and business of each compan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pect diversity rather than limit it to a specific method or form. Also, it is necessary to design a flexible system so that each company can quickly introduce effective measures to its own company. What is important in corporate governance-related discussions is to enhance corporate value by enhancing corporate competitiveness, improving efficiency, preventing corporate misfortune, and ensuring soundness. This is the purpose of corporate management, and corporate governance is the means to achieve that goa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increase corporate value centered on purpose and substance rather than formal methods and forms. At this moment, countries are experiencing various trials and errors regarding the strengthening of corporate governance, and there is no universal means for consensus on a truly effective corporate governance system. Therefore, when accepting a foreign system, careful consideration is needed in view of practical confusion concerns and the cost burden of stakeholder and company and so 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일본에서 진행된 코포리트 거버넌스 관련논의와 지금까지의 제도변화, 코포리트 거버넌스 관련 제도변화의 경위와 내용 등에 대하여 살펴보고 일본형 코포리트 거버넌스의 특징과 제도변화가 한국의 제도개선에 참고할 점 등에 대해 생각해보았다.
      어느 사회나 독특한 문화와 전통, 관습 등이 있고, 거버넌스 시스템도 각 기업의 이념과 비전, 역사, 사명, 전략, 업태의 차이에 따른 영향을 받으므로, 효과적인 방법도 기업마다 다르다. 따라서 특정한 방법이나 형태 등으로 제한하기보다 다양성을 존중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각 기업이 자기 회사에 유효한 방안을 신속하게 도입하도록 탄력적인 제도 설계가 필요하다. 코포리트 거버넌스 관련 논의에서 중요한 것은 기업 경쟁력 강화와 효율성 향상, 기업불상사 방지, 건전성 확보 등을 통해 기업가치를 장기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것이 기업경영의 목적이고, 코포리트 거버넌스는 그 목적의 달성을 위한 수단이다. 따라서 형식적인 수법과 형태가 아닌, 목적과 실질을 중심으로 한 기업가치의 증대를 위한 추진 노력이 필요하다.
      현재 각국은 코포리트 거버넌스 강화와 관련하여 다양한 시행착오를 경험하고 있는데, 실효성에 관해 콘센서스가 이루어진 보편적 수단은 어디에도 없다. 그러므로 외국의 제도를 수용하는 경우 실무적인 혼란 우려와 기업과 이해관계자의 비용부담 등을 고려하여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일본에서 진행된 코포리트 거버넌스 관련논의와 지금까지의 제도변화, 코포리트 거버넌스 관련 제도변화의 경위와 내용 등에 대하여 살펴보고 일본형 코포리트 거버넌스의 특...

      본고에서는 일본에서 진행된 코포리트 거버넌스 관련논의와 지금까지의 제도변화, 코포리트 거버넌스 관련 제도변화의 경위와 내용 등에 대하여 살펴보고 일본형 코포리트 거버넌스의 특징과 제도변화가 한국의 제도개선에 참고할 점 등에 대해 생각해보았다.
      어느 사회나 독특한 문화와 전통, 관습 등이 있고, 거버넌스 시스템도 각 기업의 이념과 비전, 역사, 사명, 전략, 업태의 차이에 따른 영향을 받으므로, 효과적인 방법도 기업마다 다르다. 따라서 특정한 방법이나 형태 등으로 제한하기보다 다양성을 존중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각 기업이 자기 회사에 유효한 방안을 신속하게 도입하도록 탄력적인 제도 설계가 필요하다. 코포리트 거버넌스 관련 논의에서 중요한 것은 기업 경쟁력 강화와 효율성 향상, 기업불상사 방지, 건전성 확보 등을 통해 기업가치를 장기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것이 기업경영의 목적이고, 코포리트 거버넌스는 그 목적의 달성을 위한 수단이다. 따라서 형식적인 수법과 형태가 아닌, 목적과 실질을 중심으로 한 기업가치의 증대를 위한 추진 노력이 필요하다.
      현재 각국은 코포리트 거버넌스 강화와 관련하여 다양한 시행착오를 경험하고 있는데, 실효성에 관해 콘센서스가 이루어진 보편적 수단은 어디에도 없다. 그러므로 외국의 제도를 수용하는 경우 실무적인 혼란 우려와 기업과 이해관계자의 비용부담 등을 고려하여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하영태, "최근 한국과 일본의 기업지배구조개편 동향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 한국법정책학회 14 (14): 383-424, 2014

      2 최병규, "주식회사의 지배구조에 대한 최근 논의와 법적 과제" 한국법정책학회 13 (13): 41-63, 2013

      3 양만식, "일본의 상장기업에 대한 규율강화와 기업지배구조의 동향 -회사법개정에 관한 중간시안과 요강을 중심으로-" 한국기업법학회 27 (27): 167-201, 2013

      4 권종호, "일본의 기업지배구조 동향과 우리나라 감사제도의 개선" 한국상장회사협의회 39 : 1999

      5 신장철, "일본 코포리트 거버넌스(corporate governance)의 실태에 관한 고찰" 대한경영학회 16 (16): 9-506, 2003

      6 이영종, "상장주식회사 조직구조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기업법학회 18 (18): 275-308, 2004

      7 임복희, "상법영역에서의 입법의 흐름과 최근 동향 -기업지배구조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원 23 (23): 111-162, 2013

      8 신동령, "기업지배구조 관련 제도와 그 변화에 관한 고찰 : 한국과 일본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재무관리학회 9 (9): 2003

      9 송호신, "기업내부통제의 개선을 위한 법제도의 정비" 한국법정책학회 14 (14): 1481-1516, 2014

      10 仲田正機, "比較コーポレート・ガバナンス研究ー日本・英国・中国の分析" 中央経済社 2005

      1 하영태, "최근 한국과 일본의 기업지배구조개편 동향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 한국법정책학회 14 (14): 383-424, 2014

      2 최병규, "주식회사의 지배구조에 대한 최근 논의와 법적 과제" 한국법정책학회 13 (13): 41-63, 2013

      3 양만식, "일본의 상장기업에 대한 규율강화와 기업지배구조의 동향 -회사법개정에 관한 중간시안과 요강을 중심으로-" 한국기업법학회 27 (27): 167-201, 2013

      4 권종호, "일본의 기업지배구조 동향과 우리나라 감사제도의 개선" 한국상장회사협의회 39 : 1999

      5 신장철, "일본 코포리트 거버넌스(corporate governance)의 실태에 관한 고찰" 대한경영학회 16 (16): 9-506, 2003

      6 이영종, "상장주식회사 조직구조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기업법학회 18 (18): 275-308, 2004

      7 임복희, "상법영역에서의 입법의 흐름과 최근 동향 -기업지배구조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원 23 (23): 111-162, 2013

      8 신동령, "기업지배구조 관련 제도와 그 변화에 관한 고찰 : 한국과 일본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재무관리학회 9 (9): 2003

      9 송호신, "기업내부통제의 개선을 위한 법제도의 정비" 한국법정책학회 14 (14): 1481-1516, 2014

      10 仲田正機, "比較コーポレート・ガバナンス研究ー日本・英国・中国の分析" 中央経済社 2005

      11 井口譲二, "機関投資家のコーポレートガバナンス・コードに対する期待ー長期的な企業価値創造プロセスを示す統合報告(ESG)の実践" (2068) : 2015

      12 有吉尚哉, "日本版スチュワードシップ・コードへの実務対応" (2034) : 2014

      13 老平崇了, "日本型コーポレート・ガバナンスの展望と課題" 46 (46): 2009

      14 高橋英治, "日本におけるコーポレート・ガバナンス改革の歴史と課題ー現在行われている会社法改正を中心として" (1997) : 2013

      15 伊藤邦雄, "改革の成果と今後の課題"

      16 伊藤靖史, "会社法" 有斐閣 2010

      17 末永敏和, "コーポレート・ガバナンス改革の現状と課題ー経営機構改革の具体例の検討, 内部統制システム等に関する考察を中心として" 日本政策投資銀行設備投資研究所 24 (24): 2004

      18 岡本久吉, "コーポレート・ガバナンス改革の最新の動向 ―理念と規範―" LEC東京リーガルマインド大学院大学 (2) : 73-106, 2007

      19 宍戸善一, "コーポレート・ガバナンス改革の提言ー企業価値向上・経済活性化への道筋" 2016

      20 江頭憲治郎, "コーポレート・ガバナンスの目的と手法" 92 (92): 2016

      21 石井裕介, "コーポレート・ガバナンスに関する規律の見直し" (2056) : 2015

      22 Curtis J. Milhaupt, "コーポレート・ガバナンスにおける商法の役割" 中央経済社 2005

      23 花崎正晴, "コーポレート・ガバナンス" 岩波書店 2014

      24 神作裕之, "コーポレートガバナンス向上に向けた内外の動向ースチュワードシップ・コードを中心として" (2030) : 2014

      25 神作裕之, "コーポレートガバナンス・コードの法制的検討ー比較法制の観点から" (2068) : 2015

      26 油布志行, "コーポレートガバナンス・コードについて" (2068) : 2015

      27 新日本有限責任監査法人, "Q&A コーポレートガバナンス・コードとスチュワードシップ・コードー持続的な企業価値向上のための2つのコードの実践" 第一法規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