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RTE 실현을 위한 국방사업관리 표준 프로세스 모델 연구 = (A) study on the standard process model of defense acquisition program management for RTE establish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960383

      • 저자
      • 발행사항

        대전 : 大田大學校, 200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566.21 판사항(4)

      • DDC

        621.392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대전

      • 형태사항

        vi, 104 장 : 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장 99-101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대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efense acquisition program is an project in which the weapon systems of optimal power for constructing and operating military power for the purpose of national defense can be secured. In order to obtain the most highly efficient weapon system for...

      The defense acquisition program is an project in which the weapon systems of optimal power for constructing and operating military power for the purpose of national defense can be secured. In order to obtain the most highly efficient weapon system for optimal expenses at the most appropriate time, the organizations in charge of the tasks select capable businesses and with the request from the users perform the tasks of transforming the efficient managements of the project to the build-up of war potential. The dimension of defense project is expanding as the acquisition policy changes depending o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ecurity situations, and as the aspects of war are getting more complicated.
      Therefore, in order to quickly deal with these changes, a new managing system unlike the old one has been required. In this context, many corporations have recently pursued RTE(Real Time Enterprise) management, in which they actively cope with changes to survive the rapidly changing market competition system, deal with in real time all the information that is being processed in the organization so that it can be seen at a glance, and all the real-time information and knowledge should be shared by anyone from the lower branch to the head decision-maker, minimizing decision-making time. In other words, it's been recognized that the management operation of defense acquisition program should be approached from the real-time managerial perspectives adopted by ordinary corporations.
      In this thesis, the concept and implementing factors of RTE have been examined, and for the real-time enterprise it's been considered how the information technology, which had long conceptually existed, has developed and been applied. Besides, by making a comprehensive comparis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nd the concept of RTE that has been applied in ordinary corporations, the necessity of defense project management operation being controlled by RTE concepts is presented. In addition, system development procedure are suggested concerning the functions needed for the defense project management system once it has been established on RTE ideas.
      And the necessary points are analyzed and brought forward tha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o apply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 the information technology needed to realize RTE management, to the program management system. Also, in order to establish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program for the realization of RTE, a standard process modeling procedure is suggested about the program management in general following the methodology provided by BPM technolog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1.1. 연구배경 1
      • 1.2. 연구목적 2
      • 1.3. 연구방법 3
      • 제1장 서 론 1
      • 1.1. 연구배경 1
      • 1.2. 연구목적 2
      • 1.3. 연구방법 3
      • 제2장 방위사업관련 정보기술 고찰 5
      • 2.1. 정보기술 발전과 경영혁신 5
      • 2.1.1 지식정보화사회 5
      • 2.1.2 정보기술 정의와 종류 6
      • 2.1.3 정보기술과 경영정보화 8
      • 2.2. 실시간기업(RTE) 구현을 위한 정보기술 9
      • 2.2.1 실시간기업(RTE) 9
      • 2.2.2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 18
      • 2.2.3 BPR/ISP 25
      • 2.2.4 SOA(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27
      • 2.2.5 ESB(Enterprise Service Bus) 30
      • 2.2.6 산업 군별 BPM 적용 추세 30
      • 2-3. 방위사업의 정보화 33
      • 2.3.1 방위사업 변천사 33
      • 2.3.2 국방획득정책 35
      • 2.3.3 미 국방성 획득절차 36
      • 2.3.4 미 국방성 획득사업 수행 체계 38
      • 2.3.5 방위사업 수행 절차 42
      • 2.3.6 방위사업 추진 유형 43
      • 제3장 방위사업과 RTE 관계성 분석 47
      • 3.1 방위사업 관리업무의 RTE 적용 가능성 47
      • 3.1.1 무기체계 획득업무의 RTE 요소 47
      • 3.1.2 RTE 적용 가능성 판단 49
      • 3.2 RTE 기반 방위사업관리체계 구축방향 49
      • 3.2.1 정보화 운용환경 분석 49
      • 3.2.2 체계 구축방향 도출 56
      • 제4장 BPM 적용 방법론 분석 68
      • 4.1 BPM 적용에 대한 일반적 견해 68
      • 4.1.1 공공부문의 BPM 적용 68
      • 4.1.2 정보체계 도입 및 신기술 적용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69
      • 4.2 BPM 적용 조건 70
      • 4.2.1 BPM 적용시 고려사항 70
      • 4.2.2 BPM 적용 적합성 판단 71
      • 4.3 무기체계 획득업무의 BPM 적용 72
      • 4.3.1 BPM 적용을 위한 업무 분석 72
      • 4.3.2 자동화체계 구축 측면 업무 분석 74
      • 4.3.3 BPM 적용 체계 구축 방향 75
      • 제5장 국방사업관리 표준 프로세스 모델 설계 77
      • 5.1 표준 프로세스 모델 설계 과정 77
      • 5.2 국방사업관리 표준 프로세스 78
      • 5.2.1 국방사업관리 프로세스 분석 78
      • 5.2.2 국방사업관리 프로세스 설계 82
      • 5.2.3 국방사업관리 프로세스 구현 89
      • 5.2.4 국방사업관리 프로세스 실행 및 모니터링 91
      • 5.3 기대효과 및 발전 방안 92
      • 5.3.1 BPM 적용을 통한 기대효과 92
      • 5.3.2 BPM 도입에 따른 제한사항 93
      • 5.3.3 발전 방안 95
      • 제6장 결 론 97
      • 참고문헌 99
      • ABSTRACT 102
      • 그 림 목 차
      • <그림 2-1> 실시간 기업의 개념 10
      • <그림 2-2> 기업환경의 변화 추세 12
      • <그림 2-3> RTE 수행 목표 14
      • <그림 2-4> RTE 개념적 모델 16
      • <그림 2-5> BPM 등장 배경 19
      • <그림 2-6> BPM에 의한 업무관리 모형 20
      • <그림 2-7> BPM 기대효과 21
      • <그림 2-8> BPM의 진화 과정 23
      • <그림 2-9> 통합기술의 발전 동향 27
      • <그림 2-10> SOA의 재사용성 28
      • <그림 2-11> Business Process 와 Service Component 29
      • <그림 2-12> 획득요소별 의사결정지원체계 36
      • <그림 2-13> 통합 국방획득, 기술, 전력지원 수명주기 틀 37
      • <그림 2-14> 체계 요구조건의 계층별 주요 관점 38
      • <그림 2-15> 요구조건의 추적성 39
      • <그림 2-16> 방위사업 수행절차 42
      • <그림 2-17> 기술개발과 무기체계 연구개발 연계 개념 46
      • <그림 3-1> 정보체계 운용환경 50
      • <그림 3-2> 사업관리정보체계 필요성 긍정 응답률 53
      • <그림 3-3> 업무프로세스 표준화 필요성 54
      • <그림 3-4> 체계구축방향 도출 56
      • <그림 3-5> 체계 운용개념 57
      • <그림 3-6> BPM 과 BAM 운영개념 59
      • <그림 3-7> EVMS 구성요소 64
      • <그림 3-8> 체계보안 및 정보보안 65
      • <그림 4-1> BPM 에 의한 업무관리 모형 76
      • <그림 5-1> BPM 방법론 적용 절차 77
      • <그림 5-2> 청 업무협조 체계도 78
      • <그림 5-3> 프로젝트 Life Cycle 관리 79
      • <그림 5-4> 프로세스 목록 79
      • <그림 5-5> 액티비티 정의서-1 80
      • <그림 5-6> 액티비티 정의서-2 80
      • <그림 5-7> 서브 프로세스의 액티비티 흐름도-1 81
      • <그림 5-8> 서브 프로세스의 액티비티 흐름도-2 81
      • <그림 5-9> 메가 프로세스-메이저 프로세스 85
      • <그림 5-10> 메이저 프로세스(체계개발)-서브 프로세스 86
      • <그림 5-11> 서브 프로세스(제안서평가 및 업체선정)-액티비티 86
      • <그림 5-12> BPM 모델링 예 87
      • <그림 5-13> BPMS Process Designer 88
      • <그림 5-14> BPMS 엔진에 탑재된 Process 88
      • <그림 5-15> Process Pool 89
      • <그림 5-16> BPM 수행화면 설계결과 예 90
      • <그림 5-17> 프로세스 실행 및 모니터링 91
      • <그림 5-18> BPM 적용 기대효과 93
      • 표 목 차
      • <표 2-1> 보통기업과 RTE 기업 비교 11
      • <표 2-2> RTE 수행 요건 15
      • <표 2-3> 조직관리방법론 비교 24
      • <표 2-4> 국방획득제도/조직 변천 34
      • <표 2-5> 방위사업 수행 원칙 35
      • <표 2-6> 사업추진 방법 분류 43
      • <표 2-7> 기종결정 평가기법 45
      • <표 3-1> 방위사업관리와 RTE 비교분석 48
      • <표 3-2> 주요 설문조사 내용 52
      • <표 3-3> 업무 프로세스 표준화 필요성 55
      • <표 3-4> PMBOK-사업관리지식체계 60
      • <표 3-5> 사업관리지식체계 기반 사업관리요소 61
      • <표 4-1> BPM 적용 판단 기준 71
      • <표 4-2> 정형 업무 Vs 비정형 업무 비교 73
      • <표 4-3> 자동화 개발 Vs BPM 적용 개발 비교 74
      • <표 5-1> 사업관리 프로세스 정의-1 83
      • <표 5-2> 사업관리 프로세스 정의-2 8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