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박지원 <삼종형수록대부금성위겸오위도총부도총관증시충희공묘지명(三從兄綏祿大夫錦城尉兼五衛都摠府都摠管贈諡忠僖公墓誌銘)>의 구조와 서술전략  :  정조 <錦城尉朴明源神道碑銘幷序>와의 비교를 통해 = Narrative trategy and Structure for of Ji-won Park-Comparison with of King Jeongj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999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박지원은 정조의 명에 따라 을 쓴다. 그 묘지명은 정조의 와 비지류의 구성 요소, 구성의 전개 과정, 어휘에서 상당히 비슷하다. 두 작품은 주제상으로도 서로 긴밀하게 연결된다. 에서는 박...

      박지원은 정조의 명에 따라 을 쓴다. 그 묘지명은 정조의 와 비지류의 구성 요소, 구성의 전개 과정, 어휘에서 상당히 비슷하다. 두 작품은 주제상으로도 서로 긴밀하게 연결된다. 에서는 박명원이 어떻게 '충희(忠僖)'로운 삶을 살았는지를 보여주고, 에서는 박명원이 정조에게 어떤 '은인(恩人)'인지를 보여준다. 이때 '충희'와 '은인(恩人)'은 각각 신하와 임금의 입장에서 박명원을 규정한 말일 뿐, 박명원을 중심으로 보면 같은 말이다. 에서 박명원은 할아버지(영조(英祖))로 인해 아버지(사도세자)를 잃은 정조의 '슬픔'을 깊이 슬퍼하고, 사도세자의 묘 이장을 실현시킴으로써 정조의 '슬픔'과 실천적으로 연대한다. 그 '슬픔'과 연대의 과정이 바로 '충희'와 '은인'으로 명명된 박명원의 삶이라는 말이다. 박지원은 을 통해 박명원과 정조 사이의 이해와 연대를 보여주며, 동시에 과 박명원을 사이에 두고 박지원 자신과 정조 간의 이해와 연대도 함께 보여준다. 박지원은 또한 과 박명원을 사이에 두고 정조와 대립하기도 한다. 에서 정조는 박지원의 『열하일기』를 박명원의 저작이라고 밝힌다. 이것은 '문체반정(文體反正)'을 염두에 둔 정조의 도발이다. 이에 대해 박지원은 박명원의 에서 자신의 8촌형 박명원에게 글쓰는 재주는 없었노라고 밝히며 정조와 대립한다. 박명원은 박지원과 정조에게 각각 다르게, 결정적인 영향을 준 사람이다. 박지원과 정조는'문체반정'과 관련된 대표적 신하와 임금으로서, 자의식 강한 '작가(作家)'로서, 박명원의 행적을 담는 비지류 산문을 통해 연대하고 대립하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i-won Park inscribes Myojimyeong for Myeong-won Park, which iSamjonghyeongSurokdaebuGeumseongwiGyeomohwidochonggwanJeungsichungheegongMyojimyeong>. It is similar to of King Jeongjo as well as composition, development process and word of Bijiryu. T...

      Ji-won Park inscribes Myojimyeong for Myeong-won Park, which iSamjonghyeongSurokdaebuGeumseongwiGyeomohwidochonggwanJeungsichungheegongMyojimyeong>. It is similar to of King Jeongjo as well as composition, development process and word of Bijiryu. Two works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in the topic. Myeong-won Park shows us how to live a faithful and happy life in Myojimyeong, and gratitude for King Jeongjo as a savior. Specifically, 'ChungHee' and 'savior' are words used to define Park Myeong-won from vassal and king, but they are the same words based on Myeong-won Park. In Myojimyeong, Myeong-wonPark deeply grieved for King Jeongjo who lost his father(Prince Sado), and practically band together with King Jeongjo's sadness by moving the grave of Prince Sado. Solidarity with the sadness is Park Myeong-won's life designated as 'ChungHee' and 'savior'. Ji-won Park shows understanding and solidarity between Myeong-won Park and King Jeongjo as well as between he and King Jeongjo. Furthermore, Park Ji-won sometimes conflicts with King Jeongjo between Myojimyeong and Myeong-won Park. In Shindobimyeong, King Jeongjo determines that 『YeolhaIlgi』 is Myeong-won Park's writing. This is a provocation of King Jeongjo based on Munchebanjeong. Ji-won Park is opposed to King Jeongjo on this because he determines that Myeong-won Park, a third cousin, does not have a talent in writing in Myojimyeong. Myeong-won Park is a person who influence differently to Ji-won Park and King Jeongjo. Ji-won Park and King Jeongjo are a vassal represent and king related with Munchebanjeong and self-conscious writers. In addition, they band together and conflict through Bijiryu prose which includes track of Myeong-won Park.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언
      • 2. '슬픔'에 대한 연대와 위로-'충희(忠僖)'
      • 3. '글쓰기'를 통한 대립과 긴장
      • 4. 결어
      • 국문초록
      • 1. 서언
      • 2. '슬픔'에 대한 연대와 위로-'충희(忠僖)'
      • 3. '글쓰기'를 통한 대립과 긴장
      • 4. 결어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