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바람직한 성과 공유 모델에 관한 연구 : 상생 협력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3813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글로벌 경쟁이 과열되고 있는 상황에서 공급망을 구성하는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균형발전 및 사회통합을 실현할 수 있는 방안으로 성과공유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상생협력 촉진 방안으로 기업에게 적극적으로 성과공유제를 홍보하고 있으며, 많은 기업이 현재 성과공유제도를 도입중이거나 검토중에 있다.
      이러한 우호적 분위기의 조성에도 불구하고 성과공유제에 대한 이해부족과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뿌리 깊은 불공정 하도급 관행과 양자간 현격한 재정 및 기술의 격차 등으로 초래된 신뢰의 부족이 아직도 성과공유제(benefit sharing) 를 일과성 구호나 제안 수준에 그치게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상생 우호적 관계를 바탕으로 한 바람직한 성과공유제를 제안하고자 본 연구는 SCM, 상생협력 등의 문헌 연구와 성과공유 제도를 성공적으로 도입, 운영하고 있는 대표적인 시업들의 사례연구를 통해 상생의 핵심인자를 식별하고 이들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바람직한 성과공유 모델에 기여하는 25개 인자를 도출하였고, 이중 19개의 인자를 독립변수로 나머지를 종속변수로 보고 이들 인자들에 대한 이해당사자들의 인식을 설문을 통해 조사하고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성과 공유의 성공요인중에서 조직 기반 구조는 상생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과 공유의 전담 조직의 유무와 역량이 상생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나타내주고 있다.
      둘째, 공정한 성과 측정 및 평가를 통해 공급사들 간의 경쟁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공급사들의 경쟁력을 강화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성과에 대한 공정한 평가는 공급사와의 신뢰를 증진시키고, 공급사의 협력의지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급사의 지원은 공급사의 기술,자금,경영혁신 지원을 통해 공급사의 역량을 강화시키고 이와 더불어 공급사에 대한 지원을 통해 신뢰 및 협력의지를 증가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급사에 대한 꾸준한 지원을 통해 공급사슬의 경쟁력과 더불어 공급사슬간의 신뢰 및 협력의지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을 특정 산업분야에 제한하지 않고 다양한 산업분야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여 성과 공유에 대한 산업적 특성이 고려되지 않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점을 바탕으로 향후에는 각각의 산업별 성과공유의 모델별로 연구가 진행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데 의미를 두고자 한다.
      번역하기

      오늘날 글로벌 경쟁이 과열되고 있는 상황에서 공급망을 구성하는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균형발전 및 사회통합을 실현할 수 있는 방안으로 성과공유제가 대두...

      오늘날 글로벌 경쟁이 과열되고 있는 상황에서 공급망을 구성하는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균형발전 및 사회통합을 실현할 수 있는 방안으로 성과공유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상생협력 촉진 방안으로 기업에게 적극적으로 성과공유제를 홍보하고 있으며, 많은 기업이 현재 성과공유제도를 도입중이거나 검토중에 있다.
      이러한 우호적 분위기의 조성에도 불구하고 성과공유제에 대한 이해부족과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뿌리 깊은 불공정 하도급 관행과 양자간 현격한 재정 및 기술의 격차 등으로 초래된 신뢰의 부족이 아직도 성과공유제(benefit sharing) 를 일과성 구호나 제안 수준에 그치게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상생 우호적 관계를 바탕으로 한 바람직한 성과공유제를 제안하고자 본 연구는 SCM, 상생협력 등의 문헌 연구와 성과공유 제도를 성공적으로 도입, 운영하고 있는 대표적인 시업들의 사례연구를 통해 상생의 핵심인자를 식별하고 이들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바람직한 성과공유 모델에 기여하는 25개 인자를 도출하였고, 이중 19개의 인자를 독립변수로 나머지를 종속변수로 보고 이들 인자들에 대한 이해당사자들의 인식을 설문을 통해 조사하고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성과 공유의 성공요인중에서 조직 기반 구조는 상생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과 공유의 전담 조직의 유무와 역량이 상생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나타내주고 있다.
      둘째, 공정한 성과 측정 및 평가를 통해 공급사들 간의 경쟁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공급사들의 경쟁력을 강화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성과에 대한 공정한 평가는 공급사와의 신뢰를 증진시키고, 공급사의 협력의지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급사의 지원은 공급사의 기술,자금,경영혁신 지원을 통해 공급사의 역량을 강화시키고 이와 더불어 공급사에 대한 지원을 통해 신뢰 및 협력의지를 증가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급사에 대한 꾸준한 지원을 통해 공급사슬의 경쟁력과 더불어 공급사슬간의 신뢰 및 협력의지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을 특정 산업분야에 제한하지 않고 다양한 산업분야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여 성과 공유에 대한 산업적 특성이 고려되지 않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점을 바탕으로 향후에는 각각의 산업별 성과공유의 모델별로 연구가 진행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데 의미를 두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day increases the competitive power of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 which composes the supply network from the situation where the global competition is overheating, Benefit sharing is raising its head with the plan will be able to come true the balanced development and a social integration of the big business and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 The government with mutually beneficial cooperation promotion plan public information is doing a benefit sharing consequently actively at the enterprise, the enterprise which is many currently is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a benefit sharing or is to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ng.
      Despite composition of friendly atmosphere, A lack of understanding about beneift sharing, a lack of confidence caused by deep-rooted unfair subconracting practices and financial,technological achievement gap between the large and small-midium enterprise make benefit sharing transient or proposal lebel.
      The research which sees led and case study of the enterprise successfully to be introducing and operate the literature research which relates with SCM and mutually beneficial cooperation etc. and a benefit sharing the desirable benefit sharing model and presented statistical research led and the respectively factors of the model which are presented affects in result of mutually beneficial cooperation literature research and statistical research led and a same conclusion with afterwords drew.
      First, from in the success factor of benefit sharing organized base structure appeared with the fact that affects in mutually beneficial cooperation is affirmative. This is presence of exclusive responsibility organization of benefit sharing comes ability at this affects is affirmative in mutually beneficial cooperation.
      Second, the competition of the supply companies, between result measurement and the evaluation which are fair leads and induces this leads and will be able to confirm that wears out strengthened the competitive power of the supply companies. And about benefit the evaluation which is fair bought and supply trust increased, supply resignation cooperative will the height appeared with the thing.
      Three, the supply resignation support led and supply resignation technique, funds and management innovation support strengthened this and joined in and about the supply company and support led with the fact that is the effect which increases a trust and cooperative will appeared a supply resignation ability. Consequently steady support leads about the supply company and with competitive power of the supply chain joins in and a possibility of getting a trust and cooperative will the supply chain there is. The research which sees does not restrict the research object in specific industry sector not to be, researches the worker of the industry sector which is various in the object and about benefit sharing the industrial quality is not considered the limit where has. Consequently like this critical point to hereafter meaning which prepares the opportunity the research could be advanced with the model by of respectively industrial by benefit sharing with character, character does.
      번역하기

      Today increases the competitive power of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 which composes the supply network from the situation where the global competition is overheating, Benefit sharing is raising its head with the plan will be able to come true the ...

      Today increases the competitive power of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 which composes the supply network from the situation where the global competition is overheating, Benefit sharing is raising its head with the plan will be able to come true the balanced development and a social integration of the big business and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 The government with mutually beneficial cooperation promotion plan public information is doing a benefit sharing consequently actively at the enterprise, the enterprise which is many currently is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a benefit sharing or is to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ng.
      Despite composition of friendly atmosphere, A lack of understanding about beneift sharing, a lack of confidence caused by deep-rooted unfair subconracting practices and financial,technological achievement gap between the large and small-midium enterprise make benefit sharing transient or proposal lebel.
      The research which sees led and case study of the enterprise successfully to be introducing and operate the literature research which relates with SCM and mutually beneficial cooperation etc. and a benefit sharing the desirable benefit sharing model and presented statistical research led and the respectively factors of the model which are presented affects in result of mutually beneficial cooperation literature research and statistical research led and a same conclusion with afterwords drew.
      First, from in the success factor of benefit sharing organized base structure appeared with the fact that affects in mutually beneficial cooperation is affirmative. This is presence of exclusive responsibility organization of benefit sharing comes ability at this affects is affirmative in mutually beneficial cooperation.
      Second, the competition of the supply companies, between result measurement and the evaluation which are fair leads and induces this leads and will be able to confirm that wears out strengthened the competitive power of the supply companies. And about benefit the evaluation which is fair bought and supply trust increased, supply resignation cooperative will the height appeared with the thing.
      Three, the supply resignation support led and supply resignation technique, funds and management innovation support strengthened this and joined in and about the supply company and support led with the fact that is the effect which increases a trust and cooperative will appeared a supply resignation ability. Consequently steady support leads about the supply company and with competitive power of the supply chain joins in and a possibility of getting a trust and cooperative will the supply chain there is. The research which sees does not restrict the research object in specific industry sector not to be, researches the worker of the industry sector which is various in the object and about benefit sharing the industrial quality is not considered the limit where has. Consequently like this critical point to hereafter meaning which prepares the opportunity the research could be advanced with the model by of respectively industrial by benefit sharing with character, character do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 1.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 3
      • 제2장 연구의 이론적 배경 및 접근방법 = 5
      • 2.1 상생협력의 개념 및 중요성 = 5
      • 제1장 서론 =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 1.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 3
      • 제2장 연구의 이론적 배경 및 접근방법 = 5
      • 2.1 상생협력의 개념 및 중요성 = 5
      • 2.1.1 상생협력의 개념 = 5
      • 2.1.2 상생협력의 중요성 = 6
      • 2.1.3 상생협력의 촉진방안 = 9
      • 2.2 성과공유제의 개념 및 특성 = 10
      • 2.2.1 성과공유제의 개념 = 10
      • 2.2.2 성과공유제의 유형 = 12
      • 2.2.3 성과 배분 내용 = 14
      • 2.2.4 성과측정 및 평가 = 16
      • 2.3 성과공유제의 성공요인 = 16
      • 2.3.1 공급자-구매자 관계 = 17
      • 2.3.2 조직간의 조정 = 20
      • 2.3.3 공급사에 대한 지원 = 24
      • 제3장 국내외 기업의 성과공유제도입 현황 = 25
      • 3.1 국내 기업의 성과공유제도입의 현황 및 문제점 = 25
      • 3.1.1 국내 기업의 성과공유제도입 현황 = 25
      • 3.1.2 국내기업의 성과공유제도입 저해요인 = 26
      • 3.2 외국 기업의 성과공유제도입 현황 = 27
      • 3.2.1 일본 기업의 성과공유제도입 현황 = 27
      • 3.2.2 미국 및 유럽 기업의 성과공유제도입 현황 = 29
      • 제4장 사례 연구 = 31
      • 4.1 사례연구를 위한 분석 틀 = 31
      • 4.2 삼성전기 성과공유제추진사례 = 32
      • 4.2.1 기업 개요 = 32
      • 4.2.2 성과공유제도입 배경 = 32
      • 4.2.3 사례분석 = 33
      • 4.3 포스코 성과공유제추진사례 = 38
      • 4.3.1 기업 개요 = 38
      • 4.3.2 성解坪?┻돛?배경 = 38
      • 4.3.3 사례 분석 = 39
      • 4.4 LG텔레콤 성과공유제추진사례 = 42
      • 4.4.1 기업 개요 = 42
      • 4.4.2 성과공유제도입 배경 = 42
      • 4.4.3 사례 분석 = 43
      • 4.5 KTF 성과공유제추진 사례 = 46
      • 4.5.1 기업 개요 = 46
      • 4.5.2 성과공유제도입 배경 = 46
      • 4.5.3 사례 분석 = 47
      • 4.6 LG전자 성과공유제추진 사례 = 50
      • 4.6.1 기업 개요 = 50
      • 4.6.2 성과공유제도입 배경 = 50
      • 4.6.3 사례 분석 = 51
      • 4.7 사례연구 결과 = 54
      • 제5장 실증 연구 = 56
      • 5.1 연구의 모형 및 가설 설정 = 56
      • 5.2.1 연구모형의 설정 = 56
      • 5.2.2 연구가설의 설정 = 57
      • 5.2 연구변수의 조작적 정의 = 58
      • 5.3 자료 수집 및 표본 구성 = 58
      • 5.3.1 자료 수집 = 58
      • 5.3.2 표본의 구성 = 59
      • 5.4 실증 분석의 연구결과 = 60
      • 5.4.1 변수의 신뢰성 분석 = 60
      • 5.4.2 상관관계 분석 = 61
      • 5.4.3 연구모형의 수정 = 62
      • 5.4.4 회귀 분석 = 63
      • 5.4.5 검증 요약 = 66
      • 제5장 결론 = 67
      • 5.1 연구의 요약 = 67
      • 5.2 한계점 = 68
      • 5.3 향후 연구과제 = 68
      • 참고문헌 = 70
      • 설문지 = 7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