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에 대한 긍정적 생각이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Positive Thoughts about the Future on Gaming Addict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Focusing on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Ego-resiliency and Gen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948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positive thoughts about the future on gaming addict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examining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ego-resiliency and gender.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positive thoughts about the future on gaming addict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examining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ego-resiliency and gender.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using a sample of 733 out-of-school adolescents from th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s compos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is study analyzed medi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through Models 4 and 15 of the SPSS PROCESS macro. The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ut-of-school adolescents’ positive thoughts about the future significantly negatively influenced gaming addiction. Second, out-of-school adolescents’ ego-resiliency partia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positive thoughts about the future on gaming addiction. That is, the level of positive thoughts about the future increased the level of ego-resiliency, which in turn decreased the level of gaming addiction. Third, out-of-school adolescents’ gender moderated both the direct influence of positive thoughts about the future on gaming addiction and the mediation effect of ego-resiliency. Specifically, both the direct negative influence of positive thoughts about the future on gaming addiction and the indirect negative mediation effect of ego-resiliency were found for male adolescents but not for female adolescent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strategies to deal with gaming addict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에 대한 긍정적 생각이 자아탄력성을 통해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과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에 대한 긍정적 생각이 자아탄력성을 통해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과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 의해서 구축된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의 원자료로부터 733명의 학교 밖 청소년을 선별하여 SPSS PROCESS macro의 Model 4와 15를 통해 매개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다음은 분석의 주요 결과이다. 먼저, 학교 밖 청소년의 미래에 대한 긍정적 생각은 게임중독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은 미래에 대한 긍정적 생각이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매개했다. 즉, 미래에 대한 긍정적 생각의 수준은 자아탄력성의 수준을 증가시켰고, 이어서 게임중독의 수준을 감소시켰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의 성별은 미래에 대한 긍정적 생각이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모두를 조절했다. 구체적으로 미래에 대한 긍정적 생각이 게임중독에 미치는 직접적인 부적 영향과 자아탄력성을 통한 간접적인 부적 매개효과 모두가 남자 청소년에게서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게임중독 문제에 개입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지경,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0 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데이터 유저가이드 (1차-5차)"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3 명소연 ; 조진옥, "학교밖 청소년의 학교 이탈과 이후 삶의 도전과 성장에 관한 질적연구: 학교밖 지원사업에 참여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4 (24): 75-98, 2016

      4 양경희, "학교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충동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정복지학회 (72) : 47-70, 2021

      5 이정자 ; 서희정 ; 윤명희, "학교 청소년과 학교 밖 청소년의 생활역량 비교"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31 (31): 225-241, 2019

      6 이래혁 ; 장혜림 ; 이재경, "학교 청소년과 학교 밖 청소년의 문제도박 관련요인: 2018 청소년 도박문제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한국보건사회학회 (51) : 177-204, 2019

      7 장혜림 ; 이래혁, "학교 밖 청소년이 학업중단 후 인지한 부정적 심리정서가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을 통한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3 (23): 105-130, 2021

      8 박지현, "학교 밖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낙인감이 자아 탄력성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8 (8): 51-65, 2021

      9 권보영 ; 김용운 ; 이후석, "학교 밖 청소년이 인식하는 진로장애와 사회적낙인감에 대한 사회적자본의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8 (18): 147-165, 2021

      10 이재경 ; 이래혁, "학교 밖 청소년이 인식하는 지역사회 무질서가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충동성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건복지학회 23 (23): 107-132, 2021

      1 김지경,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0 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데이터 유저가이드 (1차-5차)"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3 명소연 ; 조진옥, "학교밖 청소년의 학교 이탈과 이후 삶의 도전과 성장에 관한 질적연구: 학교밖 지원사업에 참여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4 (24): 75-98, 2016

      4 양경희, "학교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충동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정복지학회 (72) : 47-70, 2021

      5 이정자 ; 서희정 ; 윤명희, "학교 청소년과 학교 밖 청소년의 생활역량 비교"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31 (31): 225-241, 2019

      6 이래혁 ; 장혜림 ; 이재경, "학교 청소년과 학교 밖 청소년의 문제도박 관련요인: 2018 청소년 도박문제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한국보건사회학회 (51) : 177-204, 2019

      7 장혜림 ; 이래혁, "학교 밖 청소년이 학업중단 후 인지한 부정적 심리정서가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을 통한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3 (23): 105-130, 2021

      8 박지현, "학교 밖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낙인감이 자아 탄력성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8 (8): 51-65, 2021

      9 권보영 ; 김용운 ; 이후석, "학교 밖 청소년이 인식하는 진로장애와 사회적낙인감에 대한 사회적자본의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8 (18): 147-165, 2021

      10 이재경 ; 이래혁, "학교 밖 청소년이 인식하는 지역사회 무질서가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충동성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건복지학회 23 (23): 107-132, 2021

      11 황성신 ; 손철우, "학교 밖 청소년의 인터넷게임중독 경험 연구: 성경적 상담의 함의"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8 (28): 223-266, 2020

      12 이래혁,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자아존중감을 통해 미래에 대한 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58) : 29-49, 2022

      13 한은수,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을 통한 활동 방향 탐색" 한국청소년활동학회 7 (7): 1-22, 2021

      14 이래혁 ; 장혜림, "학교 밖 청소년의 부모방임이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을 통한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53) : 155-180, 2021

      15 이재영, "학교 밖 청소년의 문제행동 관련 융복합적 요인: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333-342, 2018

      16 이윤정 ; 박문경, "학교 밖 청소년의 게임중독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낙인의 매개효과" 한국웰니스학회 15 (15): 321-332, 2020

      17 문진영 ; 박주원 ; 이창문, "학교 밖 청소년의 게임중독과 사회적 낙인감에 관한 상호관계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343-355, 2020

      18 장혜림 ; 이래혁, "학교 밖 청소년의 게임 중독이 충동성을 통해 사이버 폭력 가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학업중단 기간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3 (23): 49-77, 2021

      19 장혜림 ; 이재경 ; 이래혁, "학교 밖 청소년의 개인 특성 및 돈내기 게임 경험이 문제도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8 (18): 558-567, 2018

      20 박주영 ; 우정희, "학교 밖 청소년들의 사회적 낙인감과 우울의 관계에서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학교보건학회 33 (33): 97-105, 2020

      21 국가법령정보센터,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률"

      22 장근영, "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모델 개발연구 Ⅱ: 질적패녈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23 최인재,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Ⅱ: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24 김춘경 ; 이미숙 ; 박남이 ; 조민규, "성별에 따른 학교 밖 청소년의 우울, 적응유연성,게임 중독경향 간 구조분석"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5 (35): 245-263, 2019

      25 전영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비행피해 및 가해에 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2

      26 한국콘텐츠진흥원, "게임과몰입실태조사" 한국콘텐츠진흥원 2018

      27 Michael, R., "What shapes adolescents’ future perceptions? The effects of hearing loss, social affiliation, and career self-efficacy" 20 (20): 399-407, 2015

      28 Luthar, S. S, "Vulnerability and resilience: A study of high-risk adolescents" 62 (62): 600-616, 1991

      29 Bean, A. M., "Video game addiction: The push to pathologize video games" 48 (48): 378-389, 2017

      30 Lopez-Fernandez, F. J., "The role of personality on disordered gaming and game genre preferences in adolescence: Gender differences and person-environment transactions" 33 (33): 263-272, 2021

      31 Wyman, P. A., "The role of children’s future expectations in self-system functioning and adjustment to life stress: A prospective study of urban at-risk children" 5 (5): 649-661, 1993

      32 Khampirat, B,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rnal education, self-esteem, resilience, future orientation, and career aspirations" 15 (15): e0243283-, 2020

      33 Oettingen, G., "The motivating function of thinking about the future: Expectations versus fantasies" 83 (83): 1198-1212, 2002

      34 Diez, S. L., "The mediating effects of problematic Internet and video gaming behaviors on family, cultural, and individual constructs among Latinx and non-Latinx Black Youth"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2019

      35 Calale, N., "The association between problematic online gaming and perceived stress: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resilience" 8 (8): 174-180, 2019

      36 Derevensky, J., "Prevalence estimates of adolescent gambling: a comparison of the SOGS-RA, DSM-IV-J, and the GA 20 questions" 16 (16): 227-251, 2000

      37 Ferguson, C. J., "Lack of consensus among scholars on the issue of video game addiction" 9 (9): 359-366, 2020

      38 Hayes, A. F.,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perspective" The Guilford Press 2022

      39 Tsui, Y. Y., "Internet gaming disorder, risky online behaviour, and mental health in Hong Kong adolescents: The beneficial role of psychological resilience" 12 : 722353-, 2021

      40 Nurmi, J. E, "How do adolescents see their future? A review of the development of future orientation and planning" 11 : 1-59, 1991

      41 Barua, A., "Gendering the digital body: Women and computers" 27 (27): 465-477, 2012

      42 Eccles, J. S., "Gender role stereotypes, expectancy effects, and parents’ socialization of gender differences" 46 (46): 183-201, 1990

      43 Bryce, J. O., "Gender dynamics and the social and spatial organization of computer gaming" 22 (22): 1-15, 2003

      44 Greene, B. A., "Gender and orientations toward the future: Links to motivation" 16 (16): 91-120, 2004

      45 WHO, "Game disorder" WHO

      46 Johnson, S. R. L., "Future orientation: A construct with implications for adolescent health and wellbeing" 26 : 459-468, 2014

      47 Fusco, L., "Future orientation, resilience and vocational identity in southern Italian adolescents" 19 (19): 63-83, 2019

      48 Laftman, S. B., "Future orientation, gambling and risk gambling among youth: A study of adolescents in Stockholm" 25 (25): 52-62, 2020

      49 Davis, B. A., "Future expectations and resiliency among adolescents: The possible moderating role of future expectations" Yale University 2013

      50 Du, G., "Future expectations and Internet addiction among adolescents: The roles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12 : 727106-, 2021

      51 García-Oliva, C., "Experiential avoidance and technological addictions in adolescents" 5 : 293-303, 2016

      52 Wigfield, A., "Expectancy-value theory of achievement motivation" 25 : 68-81, 2000

      53 Scheier, M. F., "Effects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being: Theoretical overview and empirical update" 16 (16): 201-228, 1992

      54 Su, W., "Do men become addicted to internet gaming and women to social media? A meta-analysis examining gender-related differences in specific internet addiction" 113 : 106480-, 2020

      55 Vollmer, C., "Computer game addiction in adolescents and its relationship to chronotype and personality" 1-9, 2014

      56 Cui, Z., "Child maltreatment and resilience: The promotive and protective role of future orientation" 49 : 2075-2089, 2020

      57 Yen, J. Y., "Associations among resilience, stress, depression, and Internet gaming disorder in young adults" 16 : 3181-, 2019

      58 Steinberg, L., "Age differences in future orientation and delay discounting" 80 (80): 28-44, 2009

      59 Sun, J., "Age and gender effects on resilienc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9 (9): 16-25, 2007

      60 Skinner, A. T., "Adolescent positivity and future orientatio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young adult internalising behaviours during COVID-19 in nine countries" 11 (11): 75-, 2022

      61 McWhirter, E. H., "Adolescent future expectations of work, education, family and community" 40 (40): 182-202, 2008

      62 Jacobs, D. F, "A general theory of addictions: A new theoretical model" 2 (2): 15-31, 1986

      63 교육부, "2021년 교육기본통계 주요 내용" 교육부 2021

      64 여성가족부, "2018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