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건설산업은 80년대 후반부터 발생한 부실공사로 인한 사고로 인하여 건설사업에 있어서도 품질적 요인이 중요한 가치로 제시되고 있다. 또한, 건설사업의 규모가 커지고, 건설사업 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7716977
서울 : 漢陽大學校 産業經營大學院, 2000
학위논문(석사) --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 토목·환경공학전공 , 2000. 8
2000
한국어
540 판사항(4)
서울
vi, 56p. : 삽도 ; 26cm .
권두에 요지 수록
Abstract: p. 53-54
참고문헌: p. 5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국내 건설산업은 80년대 후반부터 발생한 부실공사로 인한 사고로 인하여 건설사업에 있어서도 품질적 요인이 중요한 가치로 제시되고 있다. 또한, 건설사업의 규모가 커지고, 건설사업 관...
국내 건설산업은 80년대 후반부터 발생한 부실공사로 인한 사고로 인하여 건설사업에 있어서도 품질적 요인이 중요한 가치로 제시되고 있다. 또한, 건설사업의 규모가 커지고, 건설사업 관련주체들이 다양해지면서 수요자의 요구사항이 다양하게 변화함에 따라 지금까지 일반적인 건설업체에서 수행하였던 관행적인 업무와 프로세스로는 더 이상의 장점을 발휘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건설환경의 변화에 따라 선진외국에서는 많은 건설산업 관련 연구자들이 다른 산업에서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던 개념 및 지식들, 즉, Productivity, Concurrent Engineering 그리고 Lean Construction 등의 개념을 건설산업에 적용하여 건설산업의 지식화 기반을 구축하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흐름들 중 가장 최신의 흐름으로 제기되고 있는 BPR 개념을 건설산업에 적용하여 건설사업의 품질을 강화하고, 비용과 시간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노력의 하나로서, 국내 건설업체의 특성에 맞게 BPR을 적용할 수 있는 개념적인 기반을 구축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건설업체가 업무프로세스를 개선할 수 있도록 비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론전개의 출발점으로 BPR이론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고, 건설산업의 특성 및 BPR 적용에 대한 필요성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본 연구는 제조업에서 일반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Hammer의 BPR모델과 건설산업에서 Fowler의 BPR모델 및 Mohamed의 CPR 모델을 분석하고, 장단점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먼저, 장단점 파악결과를 토대로 일반화된 CPR모델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CPR의 목표를 발주자의 가치 증진과 만족으로 설정하고, 세부적인 목표로는 최종 산출물의 가치 강화, 프로세스 최적화, 프로세스 관련 기능에 대한 범위와 이에 따른 책임 강화, 정보의 재사용성 강화 및 e-Construction 기반 구축에 두었다. 또한, CPR의 출발점을 핵심참조모델(Core Reference Model)로 설정하였으며, 변화의 수준(Level of Change)은 점진적인 적용 및 변화를 채택한다.
또한, 이러한 CPR개념을 적용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발주자의 요구사항 반영 구조개선, 정보기술의 도입, 합리적인 업무범위 정의, 비부가가치 기능의 최소화, 조직 변화가 병행된 업무프로세스의 개선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는 단지 건설기업을 대상으로 한 업무개선의 기본적인 골격을 제시한 것에 불과하다. 하지만, 제시된 모델과 개선전략은 건설기업이 급격한 주변환경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토대를 제시할 것이라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 construction industry has emphasized the improvement of quality because of several collapses of the construction products in the 1990s. Also, With increasing construction scale and needs of diverse individuals related to construction area, t...
The Korea construction industry has emphasized the improvement of quality because of several collapses of the construction products in the 1990s. Also, With increasing construction scale and needs of diverse individuals related to construction area, traditional business and process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activity have no more the benefits.
Owing to the increasing concerns about the productivity and competitivenes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several initiatives are now under way to enhance its performance. Concepts, successfully implemented in other industries, such as productivity, concurrent engineering, and lean construction are applied by researchers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conceptual basis for appling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suitable for domestic real conditions in order to improve quality and reduce time and cos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first step of the approach is to investigate the theories of BPR and needs of adopting BPR in construction industry. From the basis of the investigations, this paper compares and examines differences between Hammer's BPR model applied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fowler's BPR and Mohamed's CPR model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this result, this paper describes the basic principles for establishment and execution CPR(Construction Process Re-engineering) model. And, the basic objectives of CPR model established in this paper is to improve value of final product, optimize process, strengthen responsibility for function related to process and reuse of information and build up the foundation of e-Construction. Besides, in the study, the CPR model originates the core reference model.
Moreover, the strategies for appling concepts of CPR are presented as follows ; structural reform reflected client's requirements, introduc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IT), reasonable definition of business scope, minimum of non added value and so on.
This study only proposes the basic frame to improve business process for any construction enterprise. But, model and strategies proposed in this study will form the foundation for construction industry to cope with effectively abrupt environmental change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