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장경원, "학습자 중심 교육에 대한 교육행정가, 교사, 예비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 (9): 315-339, 2009
2 김은교,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인식하는 학부모 관계의 어려움에 대한 개념도 연구"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3 김기남, "초등학교 교사의 학부모 관계 스트레스에 관한 질적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4 이수현, "초등교사의 영어 수업전문성에 대한 인식 변화 탐색" 교육과학연구소 43 (43): 85-104, 2012
5 소경희, "초등교사의 수업관련 실천적 지식의 작동 및 형성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학회 48 (48): 133-155, 2010
6 최지미, "초등교사 과학 탐구 수업 실행 전문성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7 전혜미, "초등 영어과 수업 전문성 기준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와 영어 회화전문 강사의 인식 비교" 교과교육연구소 17 (17): 1-27, 2013
8 서경혜,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과 개념: 교사와 학생 면담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2 (22): 165-187, 2004
9 허숙, "제7차 교육과정운영과 교원의 능력개발" 11 (11): 97-116, 2001
10 이준, "예비교원의 수업전문성 인식 조사 연구와 시사점: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을 중심으로" 한국교육방법학회 22 (22): 115-142, 2010
1 장경원, "학습자 중심 교육에 대한 교육행정가, 교사, 예비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 (9): 315-339, 2009
2 김은교,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인식하는 학부모 관계의 어려움에 대한 개념도 연구"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3 김기남, "초등학교 교사의 학부모 관계 스트레스에 관한 질적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4 이수현, "초등교사의 영어 수업전문성에 대한 인식 변화 탐색" 교육과학연구소 43 (43): 85-104, 2012
5 소경희, "초등교사의 수업관련 실천적 지식의 작동 및 형성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학회 48 (48): 133-155, 2010
6 최지미, "초등교사 과학 탐구 수업 실행 전문성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7 전혜미, "초등 영어과 수업 전문성 기준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와 영어 회화전문 강사의 인식 비교" 교과교육연구소 17 (17): 1-27, 2013
8 서경혜,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과 개념: 교사와 학생 면담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2 (22): 165-187, 2004
9 허숙, "제7차 교육과정운영과 교원의 능력개발" 11 (11): 97-116, 2001
10 이준, "예비교원의 수업전문성 인식 조사 연구와 시사점: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을 중심으로" 한국교육방법학회 22 (22): 115-142, 2010
11 정민수, "예비 초등교사의 수업전문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교육종합연구소 11 (11): 185-200, 2013
12 함영기, "수업전문성의 재개념화를 위한 실천적 탐색" 한국학술정보 2010
13 이기명, "수업전문성을 인정받는 교사의 발달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2
14 변영계, "수업분석" 학지사 2005
15 허병기, "수업과 학교장 지도성" 19 (19): 53-77, 2001
16 우재경, "수업 중 '예측하지 못한 순간'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대응"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7 유한구, "수업 전문성의 두 측면 : 기술과 이해" 18 (18): 69-84, 2001
18 안효일, "수업 전문성의 근거 : 지식의 통합성" 한국초등교육학회 20 (20): 119-144, 2007
19 임찬빈, "수업 전문성 일반 기준과 활용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20 강대현, "사회과 수업 평가 기준 개발 및 활용 방안 연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4 (44): 21-46, 2005
21 Korthagen, F. A. J., "반성적 교사교육 실제와 이론" 학지사 2001
22 박제명, "마을과 학교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공동체에 관한 사례연구 : 하늬교육마을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23 김왕근,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개정 방식 개선에 관한 연구 : 교실 수업 이해의 관점에서" 한국사회화교육학회 2003
24 서정화, "교육인사행정" 배영사 1995
25 이홍우, "교육의 목적과 난점" 교육과학사 2004
26 김재우, "교육실습 경험이 사회과 예비교사의 수업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27 배호순, "교수효과 평가를 위한 준거체제 탐색 연구" 30 (30): 157-172, 1992
28 원효헌, "교수활동의 질 개선을 위한 교사 자기평가" 한국교원교육학회 19 (19): 147-168, 2002
29 박균열, "교사의 수업전문성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적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30 손승남, "교사의 수업전문성 관점에서 본 교사교육의 발전방향" 한국교원교육학회 22 (22): 89-108, 2005
31 조호제, "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수업전문성의 차이 분석" 한국열린교육학회 17 (17): 183-207, 2009
32 이준, "‘좋은 수업’의 관점과 특징에 대한 예비교사의 중요도 인식" 교육연구원 27 (27): 41-59, 2011
33 엄미리, "‘좋은 수업’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 지양해야 할 수업 형태와 관련하여 -" 안암교육학회 15 (15): 107-132, 2009
34 권성연, "‘좋은 수업’에 대한 중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26 (26): 185-215, 2010
35 Schön, D., "The reflective practitioner : How practitioners think in action" BasicBooks 1983
36 Fenstermacher, G. D., "The Knower and the Known : The nature of knowledge in research on teaching" 20 : 3-56, 1994
37 Perry, K. E., "Teaching practices and the promotion of achievement and adjustment in frist grade" 45 (45): 269-292, 2007
38 Medley, D. M., "Teacher competency testing and the teacher educator" Association of Teacher Educators 1982
39 Elbaz, F., "Teacher Thinking. A Study of Practical Knowledge. Croom Helm Curriculum Policy and Research Series" Nichols Publishing Company 1983
40 Van Driel, J. H.,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form in science education : The role of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38 (38): 137-158, 2001
41 Trochim, W. M. K., "Outcome pattern matching and program theory" 12 (12): 355-366, 1989
42 Martilla J. 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14 (14): 77-79, 1977
43 Del Schalock, H., "Extending teacher assessment beyond knowledge and skills : An emerging focus on teacher accomplishments" 7 (7): 105-133,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