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업전문성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on Teaching Professionalism of Elementary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524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d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teacher professionalism is nothing but teaching professionalism. This study derived elements of teaching professionalism from previous studies, integrated and reduced them to be selected into four domains of professionalisms including Knowledge, teaching plan, teaching practice and practical knowledge with 65 sub-elements. This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conducting importance and performance tests for 65 sub-elements of teaching professionalism on the subjects of 140 elementary teachers, and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erforming level was found to be low as compared with perception level for teaching professionalism. Second, Importance `knowledge` domain for text content and students was found to be the highest in Importance, and `teaching practice` domain was the highest in Performance. Third, Importance and Performance for `practical knowledge` domain were found to be the lowest, and especially,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ooperation with parents or contribution to the community were low. Fourth, it is found that many elements were customarily performed without clear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about importance of teaching professionalism, that is to say, there were many elements with low priority or excessive efforts that should be avoided. Fifth, elementary teachers were found to perceive teaching professionalism as teacher centered teaching rather than student centered teaching. Sixth, elementary teachers were found to think that there should be a prerequisite premise of establishment of emotional relationship with students for performance to demonstrate teaching professionalism. Through these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appropriate training and education programs so that elementary teachers could show professionalism based on perception about importance of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it is suggested that these programs should be based on the logic of reflection in action where practical implementation follows theorization from reflective exploration not vice versa. Also, to obtain and develop teaching professionalism of elementary teachers, there should be future studies with regard to factors promoting or inhibiting development of teaching professionalism, cause of the difference between performance and execution, and strategies to reveal teaching professionalism.
      번역하기

      This study identified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teacher professionalism is nothing but teaching professionalism. This study derived elements of teaching professionalism from previous studi...

      This study identified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teacher professionalism is nothing but teaching professionalism. This study derived elements of teaching professionalism from previous studies, integrated and reduced them to be selected into four domains of professionalisms including Knowledge, teaching plan, teaching practice and practical knowledge with 65 sub-elements. This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conducting importance and performance tests for 65 sub-elements of teaching professionalism on the subjects of 140 elementary teachers, and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erforming level was found to be low as compared with perception level for teaching professionalism. Second, Importance `knowledge` domain for text content and students was found to be the highest in Importance, and `teaching practice` domain was the highest in Performance. Third, Importance and Performance for `practical knowledge` domain were found to be the lowest, and especially,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ooperation with parents or contribution to the community were low. Fourth, it is found that many elements were customarily performed without clear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about importance of teaching professionalism, that is to say, there were many elements with low priority or excessive efforts that should be avoided. Fifth, elementary teachers were found to perceive teaching professionalism as teacher centered teaching rather than student centered teaching. Sixth, elementary teachers were found to think that there should be a prerequisite premise of establishment of emotional relationship with students for performance to demonstrate teaching professionalism. Through these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appropriate training and education programs so that elementary teachers could show professionalism based on perception about importance of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it is suggested that these programs should be based on the logic of reflection in action where practical implementation follows theorization from reflective exploration not vice versa. Also, to obtain and develop teaching professionalism of elementary teachers, there should be future studies with regard to factors promoting or inhibiting development of teaching professionalism, cause of the difference between performance and execution, and strategies to reveal teaching professionalis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경원, "학습자 중심 교육에 대한 교육행정가, 교사, 예비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 (9): 315-339, 2009

      2 김은교,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인식하는 학부모 관계의 어려움에 대한 개념도 연구"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3 김기남, "초등학교 교사의 학부모 관계 스트레스에 관한 질적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4 이수현, "초등교사의 영어 수업전문성에 대한 인식 변화 탐색" 교육과학연구소 43 (43): 85-104, 2012

      5 소경희, "초등교사의 수업관련 실천적 지식의 작동 및 형성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학회 48 (48): 133-155, 2010

      6 최지미, "초등교사 과학 탐구 수업 실행 전문성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7 전혜미, "초등 영어과 수업 전문성 기준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와 영어 회화전문 강사의 인식 비교" 교과교육연구소 17 (17): 1-27, 2013

      8 서경혜,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과 개념: 교사와 학생 면담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2 (22): 165-187, 2004

      9 허숙, "제7차 교육과정운영과 교원의 능력개발" 11 (11): 97-116, 2001

      10 이준, "예비교원의 수업전문성 인식 조사 연구와 시사점: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을 중심으로" 한국교육방법학회 22 (22): 115-142, 2010

      1 장경원, "학습자 중심 교육에 대한 교육행정가, 교사, 예비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 (9): 315-339, 2009

      2 김은교,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인식하는 학부모 관계의 어려움에 대한 개념도 연구"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3 김기남, "초등학교 교사의 학부모 관계 스트레스에 관한 질적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4 이수현, "초등교사의 영어 수업전문성에 대한 인식 변화 탐색" 교육과학연구소 43 (43): 85-104, 2012

      5 소경희, "초등교사의 수업관련 실천적 지식의 작동 및 형성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학회 48 (48): 133-155, 2010

      6 최지미, "초등교사 과학 탐구 수업 실행 전문성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7 전혜미, "초등 영어과 수업 전문성 기준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와 영어 회화전문 강사의 인식 비교" 교과교육연구소 17 (17): 1-27, 2013

      8 서경혜,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과 개념: 교사와 학생 면담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2 (22): 165-187, 2004

      9 허숙, "제7차 교육과정운영과 교원의 능력개발" 11 (11): 97-116, 2001

      10 이준, "예비교원의 수업전문성 인식 조사 연구와 시사점: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을 중심으로" 한국교육방법학회 22 (22): 115-142, 2010

      11 정민수, "예비 초등교사의 수업전문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교육종합연구소 11 (11): 185-200, 2013

      12 함영기, "수업전문성의 재개념화를 위한 실천적 탐색" 한국학술정보 2010

      13 이기명, "수업전문성을 인정받는 교사의 발달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2

      14 변영계, "수업분석" 학지사 2005

      15 허병기, "수업과 학교장 지도성" 19 (19): 53-77, 2001

      16 우재경, "수업 중 '예측하지 못한 순간'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대응"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7 유한구, "수업 전문성의 두 측면 : 기술과 이해" 18 (18): 69-84, 2001

      18 안효일, "수업 전문성의 근거 : 지식의 통합성" 한국초등교육학회 20 (20): 119-144, 2007

      19 임찬빈, "수업 전문성 일반 기준과 활용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20 강대현, "사회과 수업 평가 기준 개발 및 활용 방안 연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4 (44): 21-46, 2005

      21 Korthagen, F. A. J., "반성적 교사교육 실제와 이론" 학지사 2001

      22 박제명, "마을과 학교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공동체에 관한 사례연구 : 하늬교육마을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23 김왕근,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개정 방식 개선에 관한 연구 : 교실 수업 이해의 관점에서" 한국사회화교육학회 2003

      24 서정화, "교육인사행정" 배영사 1995

      25 이홍우, "교육의 목적과 난점" 교육과학사 2004

      26 김재우, "교육실습 경험이 사회과 예비교사의 수업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27 배호순, "교수효과 평가를 위한 준거체제 탐색 연구" 30 (30): 157-172, 1992

      28 원효헌, "교수활동의 질 개선을 위한 교사 자기평가" 한국교원교육학회 19 (19): 147-168, 2002

      29 박균열, "교사의 수업전문성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적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30 손승남, "교사의 수업전문성 관점에서 본 교사교육의 발전방향" 한국교원교육학회 22 (22): 89-108, 2005

      31 조호제, "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수업전문성의 차이 분석" 한국열린교육학회 17 (17): 183-207, 2009

      32 이준, "‘좋은 수업’의 관점과 특징에 대한 예비교사의 중요도 인식" 교육연구원 27 (27): 41-59, 2011

      33 엄미리, "‘좋은 수업’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 지양해야 할 수업 형태와 관련하여 -" 안암교육학회 15 (15): 107-132, 2009

      34 권성연, "‘좋은 수업’에 대한 중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26 (26): 185-215, 2010

      35 Schön, D., "The reflective practitioner : How practitioners think in action" BasicBooks 1983

      36 Fenstermacher, G. D., "The Knower and the Known : The nature of knowledge in research on teaching" 20 : 3-56, 1994

      37 Perry, K. E., "Teaching practices and the promotion of achievement and adjustment in frist grade" 45 (45): 269-292, 2007

      38 Medley, D. M., "Teacher competency testing and the teacher educator" Association of Teacher Educators 1982

      39 Elbaz, F., "Teacher Thinking. A Study of Practical Knowledge. Croom Helm Curriculum Policy and Research Series" Nichols Publishing Company 1983

      40 Van Driel, J. H.,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form in science education : The role of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38 (38): 137-158, 2001

      41 Trochim, W. M. K., "Outcome pattern matching and program theory" 12 (12): 355-366, 1989

      42 Martilla J. 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14 (14): 77-79, 1977

      43 Del Schalock, H., "Extending teacher assessment beyond knowledge and skills : An emerging focus on teacher accomplishments" 7 (7): 105-133,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03-08 학회명변경 영문명 :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Center ->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12-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2007-05-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초등교육연구소 -> 초등교육연구원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6 0.96 1.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9 1.375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