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중기 출토복식 중 포류에 관한 연구 -광주,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f Po`s in Excavated Costume of Gwangju,Jeon-nam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204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광주·전남지역의 출토유물은 2000년도 전까지만 해도 출토유물 수량이 다른 지역에 비해 적은 편이었다. 그러나 2000년도 장택고씨 고운 분묘 출토 이후 거의 매년귀중한 출토 분묘들이 발굴...

      광주·전남지역의 출토유물은 2000년도 전까지만 해도 출토유물 수량이 다른 지역에 비해 적은 편이었다. 그러나 2000년도 장택고씨 고운 분묘 출토 이후 거의 매년귀중한 출토 분묘들이 발굴되고 있어. 지금은 다른 지역과 비교해도 출토유물 수량과그 종류도 꽤 많은 편이 되었다. 금번 연구에서는 다양한 출토유물 중 조선중기에 해당하는 59점의 포류 양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총 출토포류로는 단령 3점, 직령은 12점이나 김덕령장군의 직령 2점은 정확한 것을 알 수 없어 총 10점, 철릭 14점, 창의 18점, 도포 1점, 답호 3점, 장옷 6점, 전복3점, 방령반비 1점으로 총 59점이다. 직령, 창의, 답호 등의 직령교임 형태의 깃모양의 형태를 띈 의복의 공통점은 깃형태, 소매형태, 섶, 무형태 등에서 공통적인 양상을 띄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칼깃과 통수형소매, 이중섶, 옆막힘형과 옆트인형의 무형태 등에서도 시대적 공통적인 양상이 나타났다. 철릭의 주름너비와 상의 하상의 비율도 조선시대의 의복 특징을 잘 나타내었다. 가장 다량 출토된 창의류는 구성과 종류면에서 다양하였고 소매형태와 무의양식 면에서도 다양한 종류가 출토되었다. 그 외에도 방령반비나 전복 등도 있어 다양한 의복 종류가 있었다. 모든 포의 소매형태는 초기에서 후기로 갈수록 통수형에서 곡선화된 소매배래 형태가 나타나고 후기로 갈수록 두리소매로 변화되는 양식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efore 2000, the number of excavated costumes from Gwangju·Jeon-nam area were fewer than excavated costumes from other region. However, Jang-teak Go``s go-un tomb was excavated in 2000, and there are many relics that have excavated from the go-un tom...

      Before 2000, the number of excavated costumes from Gwangju·Jeon-nam area were fewer than excavated costumes from other region. However, Jang-teak Go``s go-un tomb was excavated in 2000, and there are many relics that have excavated from the go-un tomb. As a result, the number and type of excavated costumes from Gwangju·Jeon-nam area has been increased. In this study, 59 relics from mid-Joseon were studied. Relics that were studied include 3 Darnryung, 14 Cheolrik, 18 Chanjui, 1Do-po, 3 Dap-ho, 6 Jangot, 3 Junbok, 1 Bangryung Banbi, and 12 Jikryung. Two costumes from Kim Duk ruing General are ambigous in its shape so are considered as Jinkrung. Sub and shape of collar, sleeve, and mu are the common features of Jinkyung-gyoim type of costumes such as Jikryung, Chanjui, and Dap-ho. Characteristic of Joseon period are revealed well in kal-kit, tongsu-shape sleeve,double sub, side-obstruct type, and side-open type of mu. The ratio between pleat width, upper jacket, and lower skirt in Cheolrik reveals the characteristic of costumes in Joseon. Excavated Chanjui have the most diverse kinds and constructions among other costumes. Other than the costumes mentioned above, there also are Bangryung Banbi and Junbok. As time went from early to late period of Joseon, Shape of sleeve was changed from straight sleeve berea to the curved sleeve berea and changed to duri sleeve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나영, "후단 방령반비에 관한 고찰" 한국복식학회 (44) : 1999

      2 광주민속박물관, "하천고운 출토유물" 광주민속박물관 2000

      3 홍나영, "출토복식을 통해서 본 조선시대 남자 편복포의 시대구분" 한국복식학회 58 (58): 118-133, 2008

      4 이주영, "조선시대 직령의 유형과 특성" 한국복식학회 53 (53): 25-43, 2003

      5 광주민속박물관, "조선 중기의 우리옷" 광주민속박물관 2000

      6 안명숙, "전남지역 출토복식 일례에 관한 연구" 남도민속학회 18 : 167-195, 2009

      7 안명숙, "전남 영암 출토 최원립 장군 출토복식에 대한 고찰" 한복문화학회 4 (4): 2001

      8 안명숙, "장흥마씨 출토복식의 특징과 연대추정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49 (49): 63-71, 2011

      9 고부자, "일영 출토 고령 신씨 유물 소고"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 민속박물관 (17) : 1999

      10 안명숙, "유지경(1576~1650) 출토복식에 나타난 17세기 중기 의복 특징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49 (49): 25-33, 2011

      1 홍나영, "후단 방령반비에 관한 고찰" 한국복식학회 (44) : 1999

      2 광주민속박물관, "하천고운 출토유물" 광주민속박물관 2000

      3 홍나영, "출토복식을 통해서 본 조선시대 남자 편복포의 시대구분" 한국복식학회 58 (58): 118-133, 2008

      4 이주영, "조선시대 직령의 유형과 특성" 한국복식학회 53 (53): 25-43, 2003

      5 광주민속박물관, "조선 중기의 우리옷" 광주민속박물관 2000

      6 안명숙, "전남지역 출토복식 일례에 관한 연구" 남도민속학회 18 : 167-195, 2009

      7 안명숙, "전남 영암 출토 최원립 장군 출토복식에 대한 고찰" 한복문화학회 4 (4): 2001

      8 안명숙, "장흥마씨 출토복식의 특징과 연대추정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49 (49): 63-71, 2011

      9 고부자, "일영 출토 고령 신씨 유물 소고"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 민속박물관 (17) : 1999

      10 안명숙, "유지경(1576~1650) 출토복식에 나타난 17세기 중기 의복 특징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49 (49): 25-33, 2011

      11 안명숙, "우리 옷 이야기" 예학사 2007

      12 국립민속박물관, "오백년의 침묵, 그리고 환생 : 원주변씨 출토유물 기증전 도록"

      13 온양민속박물관, "안동김씨분묘 발굴조사보고서" 온양민속박물관 1989

      14 송미경, "김확(金?:1572~1633)묘 유물을 통해 본 17세기 남자 포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57 (57): 98-107, 2007

      15 안명숙, "광주출토 장택고씨 복식유물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24 (24): 2000

      16 안명숙, "17세기 여자 출토 장의의 구성법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57 (57): 45-52,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4 1.02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