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공단은 여행 트렌드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해양 레포츠를 포함한 여가문화 활성화를 위해 국립공원 생태 문화 · 교육플랫폼을 조성할 예정이다. 본 연구는 향후 조성될 플랫폼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213852
박헌춘(Heon-Choon Park) ; 심규원(Kyu-Won Sim) ; 김병국(Byung-Gook Kim) ; 김동훈(Dong-Hoon Kim)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2024
Korean
47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31-139(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국립공원공단은 여행 트렌드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해양 레포츠를 포함한 여가문화 활성화를 위해 국립공원 생태 문화 · 교육플랫폼을 조성할 예정이다. 본 연구는 향후 조성될 플랫폼의 ...
국립공원공단은 여행 트렌드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해양 레포츠를 포함한 여가문화 활성화를 위해 국립공원 생태 문화 · 교육플랫폼을 조성할 예정이다. 본 연구는 향후 조성될 플랫폼의 적절하고 차별화된 운영방안 수립을 위해 교차분석과 대응분석을 활용하여 플랫폼과 방문특성 간 연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교차분석 결과, 플랫폼과 정보습득 경로, 선호 시간대, 체류시간, 방문목적 간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대응분석결과, 정보습득 경로와 체류시간, 방문목적에서 해양생태교육센터와 해양기후대응안전센터는 반달가슴곰 공존센터와 갑사힐링센터와 다른 방문 특성 양상을 보였다. 방문 선호 시간대는 해양기후대응안전센터가 다른 플랫폼과 다르게 주중 시간대와 연관성을 보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생태 문화 · 교육 플랫폼별 운영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will create a national park ecoculture education platform to actively respond to travel trends and revitalize leisure culture, including marine leisure sports.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platforms and ...
Th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will create a national park ecoculture education platform to actively respond to travel trends and revitalize leisure culture, including marine leisure sports.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platforms and visit characteristics using cross-analysis and correspondence analysis to establish appropriate and differentiated operational plans for future platforms. Cross-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platforms and the path to information acquisition, preferred time, stay time, and purpose of visit. According to the correspondence analysis, the marine eco-education center and marine climate response safety center showed different visit characteristics from Asiatic black bear coexistence centers and Gapsa district healing centers in terms of information acquisition, stay time, and visit purpose. The preferred time to visit was associated with weekdays in the marine climate response safety center, unlike other platform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synthesized, and suggestions are made on how to operate each eco-culture education platform.
국립공원 탐방지 선택특성에 따른 집단간 탐방행태 비교 연구: 재방문 선호 및 신규 탐방지 선호 집단간 비교(2024)
무등산국립공원 수계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섭식기능군 및 군집안정성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