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을 위한 미국 실업보험제도의 변화와 시사점 = Active Labor Market Policies and Unemployment Insurance in the United Stat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069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tive Labor Market Policies and Unemployment Insurance in the United StatesSoh-yeong Kim This article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employment Insurance(hereinafter UI) in the United States by reviewing the active labor market context for UI policy. In 1935, an unemployment system was established in order to provide economic security for workers during periods of temporary unemployment. Over the years the UI system which relies on cooperative federal-state programs has changed in response to demands placed on the system by unpredictable economic events. The most effective way to provide income security to jobless persons is to help them find new jobs. By supporting a return to work, the UI system can provide income security to more people with lower costs per person. For several decades Congress took a piecemeal approach and adopted various programs to encourage job training and placement for the chronically unemployed, i.e., Welfare-to-Work Partnership, Worker Profiling and Reemployment Services, employment services in One-stop Career Center, etc.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employment services be integrated with other services since job search assistance and access to labor market information is crucial in finding a job,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the workforce system. Also worth emphasizing, employers should be given an incentive to post jobs with the public employment service at the same time they post jobs through private internet job search systems.
      번역하기

      Active Labor Market Policies and Unemployment Insurance in the United StatesSoh-yeong Kim This article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employment Insurance(hereinafter UI) in the United States by reviewing the active labor market context for UI...

      Active Labor Market Policies and Unemployment Insurance in the United StatesSoh-yeong Kim This article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employment Insurance(hereinafter UI) in the United States by reviewing the active labor market context for UI policy. In 1935, an unemployment system was established in order to provide economic security for workers during periods of temporary unemployment. Over the years the UI system which relies on cooperative federal-state programs has changed in response to demands placed on the system by unpredictable economic events. The most effective way to provide income security to jobless persons is to help them find new jobs. By supporting a return to work, the UI system can provide income security to more people with lower costs per person. For several decades Congress took a piecemeal approach and adopted various programs to encourage job training and placement for the chronically unemployed, i.e., Welfare-to-Work Partnership, Worker Profiling and Reemployment Services, employment services in One-stop Career Center, etc.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employment services be integrated with other services since job search assistance and access to labor market information is crucial in finding a job,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the workforce system. Also worth emphasizing, employers should be given an incentive to post jobs with the public employment service at the same time they post jobs through private internet job search syste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90년대 이후 고학력화가 급속히 진전됨에 따라 하향취업 문제와 이로 미국의 실업보험제도는 애초에 순수보험형 실업보상제도로서 출발하였으나, 노동시장의 구조변화에 부응하여 직업안정 및 직업훈련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변화되어 왔다. 실업보험이 재취업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을 강화할수록, 경우에 따라서는 사회보험의 원칙과 사회적 타당성이 충돌 내지 경합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측면에서 미국 실업보험의 사회보험적 성격은 점차 희박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최근에는 고실업과 예산 부족으로 인해, 실업보험정책은 어떻게 하면 지출을 덜하면서 더 많은 수급자에게 적절한 경제적 안정을 부여할 수 있느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을 위한 미국 실업보험제도의 경험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은, 실업급여의 목적에 맞추어 수급률을 제고하되, 동시에 도덕적 해이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과, 직업상담서비스와 실업급여 프로그램의 연계를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번역하기

      1990년대 이후 고학력화가 급속히 진전됨에 따라 하향취업 문제와 이로 미국의 실업보험제도는 애초에 순수보험형 실업보상제도로서 출발하였으나, 노동시장의 구조변화에 부응하여 직업안...

      1990년대 이후 고학력화가 급속히 진전됨에 따라 하향취업 문제와 이로 미국의 실업보험제도는 애초에 순수보험형 실업보상제도로서 출발하였으나, 노동시장의 구조변화에 부응하여 직업안정 및 직업훈련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변화되어 왔다. 실업보험이 재취업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을 강화할수록, 경우에 따라서는 사회보험의 원칙과 사회적 타당성이 충돌 내지 경합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측면에서 미국 실업보험의 사회보험적 성격은 점차 희박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최근에는 고실업과 예산 부족으로 인해, 실업보험정책은 어떻게 하면 지출을 덜하면서 더 많은 수급자에게 적절한 경제적 안정을 부여할 수 있느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을 위한 미국 실업보험제도의 경험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은, 실업급여의 목적에 맞추어 수급률을 제고하되, 동시에 도덕적 해이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과, 직업상담서비스와 실업급여 프로그램의 연계를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주요국의 고용보험제도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52-74, 1999

      2 "신판 노동법" 박영사 1077-1092, 2003

      3 "사회안전망체계의 국제비교연구(Ⅱ): 미국" 한국노동연구원 287-376, 2003

      4 "민간과 공공직업안정기관의 연계방안" 한국노동연구원 111-128, 2003

      5 "미국캐나다의 고용보험 재정전략 경험과 우리나라 고용보험 적립금 규모의 적정성" 한국노동연구원 6 (6): 115-132, 2001

      6 "미국의 실업보험제도 . 한국노동연구원" 11138-, 1992

      7 "미국의 복지개혁" 한국사회보장학회 19 (19): 23-58, 2003

      8 "고용보험제도 시행 5년의 평가와 발전방안" 5 (5): 75-96, 2000

      9 "고용보험법의 생성과 노동세력의 주장" 한국사회보장학회 14 (14): 61-88, 1998

      10 "고용보험법상 구직급여의 수급요건" 한국노동법학회 (8) : 131-152, 1998

      1 "주요국의 고용보험제도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52-74, 1999

      2 "신판 노동법" 박영사 1077-1092, 2003

      3 "사회안전망체계의 국제비교연구(Ⅱ): 미국" 한국노동연구원 287-376, 2003

      4 "민간과 공공직업안정기관의 연계방안" 한국노동연구원 111-128, 2003

      5 "미국캐나다의 고용보험 재정전략 경험과 우리나라 고용보험 적립금 규모의 적정성" 한국노동연구원 6 (6): 115-132, 2001

      6 "미국의 실업보험제도 . 한국노동연구원" 11138-, 1992

      7 "미국의 복지개혁" 한국사회보장학회 19 (19): 23-58, 2003

      8 "고용보험제도 시행 5년의 평가와 발전방안" 5 (5): 75-96, 2000

      9 "고용보험법의 생성과 노동세력의 주장" 한국사회보장학회 14 (14): 61-88, 1998

      10 "고용보험법상 구직급여의 수급요건" 한국노동법학회 (8) : 131-152, 1998

      11 "Workers' Compensation and Employee Protection Laws" West Group 139-149, 1999

      12 "Public Employment Policy and Unemployment Insurance in the United States" 27-158, 2002

      13 "Legal Protection for the Individual Employee" West Group 775-840, 2000

      14 "Labor Market Trends and the Employment Insurance System in Korea" 287-376, 2002

      15 "Kil-Sang Yoo et al.. “A Proposed Employment Insurance System for Korea” Unemployed Insurance Systems in Selected Countries edited by Kil-Sang Yoo and Manfred Ziemek" 253282-, 1993

      16 "Individual Employee Rights" West Group 253-263, 1995

      17 "Dominic M. Rotondi. “Unemployment Insurance in the United States Unemployed Insurance Systems in Selected Countries edited by Kil-Sang Yoo and Manfred Ziemek" 145-184, 1993

      18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Employment Service in the United States" Korea Labor Institute 313-354, 2005

      19 "Current Policy Themes for Unemployment Insurance in the United States" Korea Labor Institute 1-43,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 1.23 1.948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